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요골동맥-요측부정맥 동정맥루의 조기 기능이상: 혈관 확장술의 1차 및 누적 개통률

        김영옥 ( Kim Yeong Og ),윤선애 ( Yun Seon Ae ),김영수 ( Kim Yeong Su ),김미경 ( Kim Mi Gyeong ),오현종 ( O Hyeon Jong ),구영미 ( Gu Yeong Mi ),송하헌 ( Song Ha Heon ),김기태 ( Kim Gi Tae ),장윤식 ( Jang Yun Sig ),방병기 ( Bang Bye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4

        배 경 : 요골동맥-요측부정맥 동정맥루는 혈액투석 환자에서 혈로로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일단 정맥 성숙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개존율이 높고 합병증이 낮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인 혈로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환자의 20-30%는 조기 폐쇄되는 단점이 있다. 방 법 : 대상환자는 1997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가톨릭의대 의정부성모병원에서 요골동맥-요측부정맥 동정맥루 수술 후 1년 이내에 발생한 동정맥루 기능이상으로 혈관 확장술을 받은 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상완정맥이나 중심정맥에 발생한 병변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혈관 확장술 후 협착증이 재발된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혈관 확장술을 재시행하였다. 동정맥루의 개존율은 환자 사망이나 추적 관찰 소실을 censored data로 처리하여 Kaplan-Meier 방법으로 구하였다. 당뇨병 유무, 연령, 성별, 동정맥루 기능이상 발생시기, 혈전 동반 등의 요인에 따른 개통률의 차이는 log-rank test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54±13세였으며 이증 남자 환자는 16명 (41.2%)였다. 당뇨병은 24명 (61.5%)이었다. 정맥 조영술에서 발견된 총 39예의 동정맥루 기능이상 중 33예 (84.6%)는 혈전 없이 정맥 협착증만 있었고 나머지 6예 (15.4%)에서는 혈전이 동반되었다. 발생시기는 수술 후 평균 5.3±3.6개월이었으며 11명은 첫 주사기 삽관 전에 발생하였다. 전체 39명의 환자에서 총 54회의 혈관 확장술이 시행되어 49회에서 성공하였다 (94.2%). 1차 시술 후 개통률은 6, 12, 24, 48개월에 각각 74.8%, 55.8%, 55.8%, 55.8%였고, 2, 3차 시술 후 누적 개존율은 각각 89.7%, 86.1%, 81.8%, 81.8%였다. 전 예에서 출혈이나 혈관 파열 등의 심각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 론 : 요골동맥-요측부정맥 동정맥루를 통해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에서 혈관 확장술은 수술 후 1년 이내에 발생하는 조기 기능이상의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The radiocephalic arteriovenous fistula (AVF), which provides the best vascular access for hemodialysis, continues to have a high incidence of early failure. This was studied to determine primary and secondary patency rate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PTA) in hemodialysis patients who had early dysfunction of this AVF within 1 year after the operation. Methods : This retrospective study enrolled 39 hemodialysis patients with early dysfunction of radiocephalic AVF who received PTA between January, 1997 and December, 2002 at Uijongbu St. Mary`s Hospital. The lesions occurred at proximal vein of upper arm and central vein were excluded. The primary and secondary patency rate of PTA was evaluated using Kaplan-Meier method. According to diabetes, age, sex, onset of AVF dysfunction after the opertation, thrombosis, patency rate was compared with log-rank test.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4±13 years and the number of male was 16 (41.2%). Twenty-four patients (61.5%) had diabetes and Among 39 lesions observed at venography, there were 33 cases of stenosis and 6 cases of complete occlusion due to thrombosis. The onset of AVF dysfunction after the operation was 5.3±3.6 months and 11 cases developed before the first needling. Total PTAs were performed and initial success rate was 94.2% (n=49). Primary patency rate at 6, 12, 24, and 48 months was 74.8%, 55.8%, 55.8%, and 55.8%, respectively. Secondary patency rate at 6, 12, 24, 48 months was 89.7%, 86.1%, 81.8%, 81.8%. Diabetes, age, sex, onset of AVF dyfunction after the operation, thrombosis did not influenced primary patency rate of PTA. There was no PTA-related complication. Conclusion :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for early dysfunction of radiocephalic arteriovenous fistula in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 Nephrol 2003;22(4):414-4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