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적 상황이야기가 고기능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반지정 한국심리협회 2010 심리행동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 프로그램을 통하여 고기능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으로 DSM-Ⅳ, CARS에 의해 자폐 장애로 진단된 아동 중 Tsai의 고기능 자폐 장애의 진단 범주를 적용하여 일반 초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남자아이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기초선은 2010년 3월 22일부터 3월 29일까지 3회기 측정되었고, 사회 상황이야기 중재 프로그램은 4월 5일부터 7월 7일까지 27회기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유지기간으로 7월 12일부터 7월 28일까지 4회기 측정되어 총 34회기가 진행되었다. 또한 연구의 설계는 실험 전, 후 본 연구자와 보조 관찰자 1명이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총 34회기 중 50%에 해당하는 회기에 대한 관찰자간 신뢰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 사회 상황이야기 중재프로그램이 고기능 자폐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이야기 다시 말하기를 통한 ADHD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 문법 표현능력 및 구문 복잡성 비교

        반지정,서경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는 이야기 다시 말하기를 통하여 ADHD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 산출 능력을 비교하여 ADHD아동의 산출 특성과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ADHD아동 16명과 일반아동 16명을 대상으로 [Frog, where are you?]라는 책의 내용을 그림과 함께 들려준 후 아동이 회상하여 다시 말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문법 표현능력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장애 유무 내 성별 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ADHD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에서 성별 간의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구문 복잡성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장애 유무 내 성별 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ADHD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에서 성별간의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ADHD아동의 언어적인 특성을 고려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현장에서 이들을 위한 치료, 그리고 ADHD아동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용적인 교육 방법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교육 리더십에 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 및 특수교사들의 인식비교

        반지정 한국심리협회 2011 심리행동연구 Vol.3 No.1

        사회와 경제 및 교육 전반에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도래되고 있다. 지식 경영 시대에 대비한 교육개혁이 일어나고 있으며, 교육의 주체적인 변화를 가져올 자율성과 책무성을 강조하는데 무엇보다 교사의 사고와 행동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는 교사의 질과 관련되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간의 교육 리더십의 인식을 비교하는데 목적을 둔다. 또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리더십의 종류들 중에서 어떠한 부분이 가장 우세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기술간의 통계치를 측정하였다.

      • 주의력 향상 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주의력과 학습동기향상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반지정 한국심리협회 2012 심리행동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주의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ADHD아동의 주의력과 학습동기향상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대상으로 신경정신과에서 ADHD로 진단을 받고, ACTeRS,K-WISC-Ⅳ의 기준을 충족하는 아동 14명을 선정하였다. 집단구성 은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아무런 중재를 가하지 않는 통제집단으로 각 각 7명씩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는 FAIR주의력 검사와 학습태도 검사, 학습동기검사 를 실시하여 사전·사후·유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의력 향상 프로그램은 15회기 진 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유지기간으로 3회기 측정되어 총 18회기가 진행되었다. 자료 처리는 SPSS for Windows 18.0을 이용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 주의력 향상 프로그램이 ADHD아동 의 주의력과 학습태도 및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인지행동적 분노조절프로그램이 공격성향이 있는 아동의 분노통제능력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서경희,반지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nger-control program on the reduction of children's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 in children with aggressive tendenc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 selected boys and girls in their second and third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These children were nominated as children with aggressive tendency by their teachers. The anger-control program was conducted a total of 12 sessions, twice a week. One session was about fifty minutes. Each class consisted of three stages of an introductory game, main activities, and finishing activities. They were also given an assignment on the basis of the class. To certify the effects of anger- control program, three tests(The Novaco anger test, The Anger control test, The Recognition of Peer Relationship Test) were given at both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paired t-test using SPSS 14.0 program for window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nger-control program had decreased anger and aggression and increased recognition of Peer Relationship in children with aggressive tendency. 본 연구는 부산 J초등학교 재학 중인 2, 3학년 남, 여 아동 중 담임교사로부터 공격성을 보이며 또래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아동으로 지명되고 부모가 연구참여에 동의한 20명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적 분노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분노를 덜 느끼고, 분노조절능력을 향상시키며 이로 인해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노조절을 위한 프로그램의 과정 중에 자신의 화를 인지하고 화난 감정을 조절하고, 화난 감정을 바르게 표현하는 방법과 비합리적 사고를 스스로 찾아내어 고쳐가고 역할극을 통하여 친구들의 입장과 바꾸어 생각해보게 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분노유발상황에서 인지영역과 행동영역에서 나타나는 분노를 덜 느끼고, 분노조절능력의 향상과 이로 인하여 또래관계에 대한 인식 개선에 효과가 나타났다.

      • KCI등재

        이야기 다시 말하기를 통한 ADHD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 문법 표현능력 및 구문 복잡성 비교

        서경희,반지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2

        본 연구는 이야기 다시 말하기를 통하여 ADHD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 산출 능력을 비교 하여 ADHD아동의 산출 특성과 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ADHD아동 16명과 일반아동 16명을 대상으로 [Frog, where are you?]라는 책의 내용을 그림과 함께 들려준 후 아동이 회상하여 다시 말한 내용을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이야기 문법 표현능력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장애 유무 내 성별 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ADHD아동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에서 성별 간의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구문 복잡성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장애 유무 내 성별 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ADHD아동 집단과 일반 아동 집단에서 성별간의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ADHD아동의 언어적인 특성을 고려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현장에서 이들을 위한 치료,그리고 ADHD아동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실용적인 교육 방법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production abilities analysis both for children with ADHD and for peers without disabilities. In search of the answer for this study, story retelling was administered to both 16 children with ADHD and 16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grades 1-3. In order to have them retell a story, this article used a picture book without words, “Frog, where are you?", as a story task “Frog, where are you?" consist of 5 episodes and each episode consists of 6-15 sentences. The study procedure was to tell children one story, to ask them to retell it, and to conduct the comprehension task. An independent-sample t-test was employed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groups, and Nested design was adopted to test the difference in gender in each group. The comparing study was carried out as to their grammar expression ability, construction complexity in the story tas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ers; First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ir grammar expression in story task, the group with ADHD showed a lower ability rate than the normal children’s group did.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ir construction complexity in story task, the group with ADHD showed a lower ability rate than the normal children’s group did. The results imply that although receptive language ability is similar between ADHD child and normal child, story retelling ability of child with ADHD is lower. Therefore a more suitable educational approach and method for children of ADHD should be persistently sought. In addition, the research should be focused not only on their behavioral problems but also on their problems of language acquisition.

      • KCI등재

        한국판 문제행동 평가도구(Behavior Problems Inventory-01) 표준화 연구

        최미지(Miji Choi),김예니(Yeni Kim),반지정(Ji-Jeong Ban),황석현(Samuel Suk-Hyun Hwang),김붕년(Bung-Nyun Kim),양영희(Young-Hui Yang)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7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8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havior Problems Inventory (BPI-01)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between 3 and 18. Methods: The control group consisting of one hundred children and adolescents was recruited from schools and the patient group consisting of forty one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recruited from a hospital. We compared the measurements of both groups. To assess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BPI-01, we compared the problem behavior index of the Korean Scale of Independent Behavior-Revised (K-SIB-R) and, to assess the discriminant validity, we compared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The Cronbach’s alpha of the BPI-01 was measured to assess its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the BPI-01 and the other scale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former’s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Results: The pati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for all three subscales of the BPI than the control group. The Cronbach’s alpha was 0.92 for the total severity score of the BPI and ranged between 0.67–0.89 for each subscale in the patient group. All subscales of the BPI-01’s, i.e., self injurious behavior, stereotyped behavior and aggressive/destructive behavio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orresponding subscales of the K-SIB-R. The BPI-01 generally did not demonstrat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otional items such as anxiety/depression in the K-CBCL. Especially, the BPI-01’s stereotyped behavior subscale showed little correlation with externalizing behaviors such as social problems and aggressive behaviors.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Korean version of BPI-01 is a reliable and valid behavior rating instrument for problem behavior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