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에서 한국과 중국 여대생의 웨딩드레스 구매현황과 구매의도

        반가(Ge Pan),박혜령(Hea Ryung Park),박미령(Mi Ryung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웨딩드레스의 구매현황과 구매 의도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기존 연구에서 온라인상에서 웨딩드레스 구매 부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온라인상에서 웨딩드레스 구매에 대한 연구를 좀더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연구는 미래의 웨딩 시장의 소비자인 한국과 중국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웨딩드레스 구매현황과 온라인에서 웨딩드레스 구매 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설문지 조사내용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연구 도구는 설문지로 조사하였으며 한국 여대생 191부, 중국 여대생 199부를 설문 조사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해 보면 첫째 웨딩드레스 구매현황으로 중국 여대생들은 한국 여대생보다 결혼식에서 웨딩드레스를 매우 중시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고품질, 고가의 웨딩드레스를 구입하거나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여대생은 온라인상에서 웨딩드레스 구매를 2.6%를 구매한 것과는 다르게 중국 여대생은 웨딩드레스 구매를 온라인 웨딩 샵에서 11.1% 구매하여 한국보다 중국 여대생이 온라인상에서 웨딩드레스 구매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online purchase status and intention of Korean and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to buy wedding dress. This study aimed to further compare and study,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students , the purchase of wedding dresses online a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is topic currently .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purchase wedding dres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China was then compared using an objective data statistical analysis. As stated already, the research tool for this purpose was a questionnaire, and 191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199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surveyed. The SPSS 25.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frequenc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and t-test were performed on the data. To summariz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f you look at the status of wedding dress purchases, it can be seen that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place much more importance on wedding dresses than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t is also true that Chinese students purchase or prefer high-quality and expensive wedding dresses. Second, when looking at the intention to purchase wedding dresses online, Chi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11.1% purchase intention was higher than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2.6%.

      • KCI등재후보

        한·중 여대생의 결혼관과 웨딩드레스 디자인 선호도

        반가,박혜령,김은하,이창식,Pan, Ge,Park, Hey-Ryung,Kim, Eun-Ha,Lee, Chang-Seek 대한산업경영학회 2020 산업융합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한·중 여대생의 결혼관과 웨딩드레스 디자인 선호도를 비교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한국 여대생 191명과 중국 여대생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PC+ 25.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신뢰도 분석, 교차분석, 평균비교분석이었고, 검증은 카이 스퀘어 및 t검증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여대생은 결혼하겠다는 응답이 중국 여대생보다 높았다. 중국 여대생은 결혼을 희망하는 이유로 경제, 생활, 부모 관련 문항에서 한국 여대생보다 높았다. 또한 결혼을 희망하지 않는 이유로는 배우자에 관한 걱정, 일에 대한 걱정, 경력에 관한 걱정 등에서 중국 여대생이 높았다. 둘째, 한국과 중국 여대생이 선호하는 웨딩드레스 디자인은 네크라인에서 차이가 있었다. 끝으로 미래 웨딩산업의 중국 진출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spective of marriage and preferences of wedding dress design for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for 191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and 199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C + 25.0, and the applied statistical techniques were reliability analysis, cross-tab analysis, and mean comparison analysis.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chi-square and t-test were use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marry than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For the reason of wishing to marry,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higher than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in economic, life, and parent-related items. The reason for not wanting to get married is that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high in worrying about their spouse, work, and their career. Second, the wedding dress design preferred by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was different in the neckline. Finally, the policy measures for consumer preference and satisfaction in the future wedding industr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