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IDO 2.0 기반의 웹 브라우저 안전 저장소를 이용하는 군 정보체계 사용자 인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재 연,이 재 ,이 형 석,강지원,권 혁 ,신동일,신동규 한국융합보안학회 2019 융합보안 논문지 Vol.19 No.4

        Recently, a number of military intranet infiltrations suspected of North Korea have been discovered. There was a problem that a vulnerability could occur due to the modification of user authentication data that can access existing military information systems. In this paper, we applied mutual verification technique and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gery / forgery blocking and obfuscation to solve the authentication weakness in web browsers that comply with FIDO (Fast IDentity Online) standard. In addition, user convenience is improved by implementing No-Plugin that does not require separate program installation. Performance tests show that most browsers perform about 0.1ms based on the RSA key generation rate. In addition, it proved that it can be used for commercialization by showing performance of less than 0.1 second even in the digital signature verification speed of the server. The service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improving military information system security as an alternative to browser authentication by building a web secure storage. 최근 북한 소행으로 의심되는 군 인트라넷 침투 정황이 다수 발견되고 있다. 기존의 군 정보체계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인증 데이터 변조가 가능하여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했다. 본 논문에서는 FIDO(Fast IDentity Online) 표준을 따르는 웹 브라우저에서 인증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호 검증 기법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위/변조 차단 및 난독화를 적용하였다. 또한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를 요구하지 않는 No-Plugin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도 향상된다. 성능 테스트 결과 RSA 키 생성 속도 기준으로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약 0.1ms의 성능을 보인다. 또한 서버의 전자서명 검증 속도에서도 0.1초 이하의 성능을 보여 상용화에 사용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해당 서비스는 안전한 웹 저장소를 구축하여 브라우저 인증이라는 대체방안으로서 군 정보체계 보안 향상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 KCI등재

        전기안전 IoT장치 적용을 위한 LoRa 자가망 시스템 구현 및 성능 측정

        홍 성 준,정 용 욱,강 석 우,김 태 원,김 재 현, 광 묵, ,이 상 익,방 선 배 대한전기학회 2019 전기학회논문지 P Vol.68 No.1

        With the spread of embedded system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and demand for Internet of things. Technologies such as Wi-Fi, Zig-Bee, and Bluetooth can transmit relatively large amounts of data, but consume high power and have a narrow communication range. As a result, LPWAN technologies such as LoRa, Sigfox, NB-IoT, and Wi-SUN are emerging as attractive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Internet of things. In this paper, we use LoRa, one of the low power long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construct the self wireless network including gateways and measure the performance to transmit data of electric safety IoT devices. Instead of using the existing commercial network, we used the 900MHz frequency band to communicate with the gateway.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implemented system, we verified the packet SNR and the RSSI value by chang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ic safety IoT device and the gateway inside and outside, inside and outside of the distribution panel, and di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