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립러닝 환경에서 자기주도 학습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교사의 자율성지지, 학습 성과 간의 관계

        박현경 ( Hyeonkyeong Park ),이정민 ( Jeongmi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예측변인에 대해 탐구하고,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플립러닝 교수·학습 설계 시 고려해야할 요소와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예측변인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교사의 자율성지지를 설정하고, 준거변인으로 성취도와 흥미를 상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A 고등학교 문학 플립러닝 수업에 참여하는 고등학교 2학년 117명이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취도를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자기주도 학습능력으로 나타났으며 흥미를 예측하는 변인으로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교사의 자율성지지로 확인되었다. 또한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흥미 간 관계,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흥미 간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습 과정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학습자일수록 높은 성취도와 흥미를 갖게 되고, 협력활동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학습자와 교사에게 지지를 받은 학습자가 학습의 전반적인 과정에 흥미를 가지게 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플립러닝 환경에서 성취도와 흥미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교사의 자율성지지를 고려해야 하며,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자의 다양한 전략 및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strategies in flipped learning by exploring variables of learning outcom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learning outcome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in a flipped learning.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7 high school seniors who participated in literature flipped learning in A high school at Daegu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ignificantly predicted achie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eachers’ autonomy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ed interest. Also, self-efficacy for group work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intere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inter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earners who active participate in flipped learning have higher achievement and interest, and learners wh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cooperative activities and learners who are supported by the teacher are interested in the learning.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achievement and interest in flipped learning, it is important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efficacy for group work, teachers’ autonomy support. Thus,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various strategies in flipped learning context.

      • KCI등재

        대학교 전임교원의 역량 모델 개발 및 생애주기별 교육요구도 분석

        김동심 ( Dongsim Kim ),박현경 ( Hyeonkyeong Park ),이영선 ( Youngsun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대학교 전임교원의 총체적 역량을 행동지표로 개발하고, 생애주기에 따른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과 개방형 설문면담, 전문가 검토를 바탕으로 교원 역량모델링을 실시한 후,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교수역량, 연구역량, 기본역량을 측정하는 13개 영역 50문항을 개발하였다. 대학교교원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소재 A대학교 전임교원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증, Borich 요구도 공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전임교원의 역량은 ① 수업 설계, ② 강의 계획서 작성, ③ 테크놀로지 활용, ④ 수업 운영, ⑤ 커뮤니케이션, ⑥ 평가 및 피드백, ⑦성찰과 개선, ⑧ 연구 수행, ⑨ 연구 윤리, ⑩ 직업 윤리, ⑪ 조직 헌신, ⑫ 학생 상담, ⑬협업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전임교원의 연령과 경력에 따라 각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수업 설계,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운영, 연구 및 학생 상담에 대한 역량의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교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대학교 전임교원의 역량을 총체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교육을 통해 증진가능한 영역을 다루고자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competencies for developing faculty’s competenc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competencies at university. The measurement tool was adapted from existing studies relevant to the faculty competencies for developing faculty’s competency. The tool includes 50 items on a 5-point Likert scale, measuring current performance and perceived importance as well. The Borich formula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3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from all faculty members. They included ① instructional design, ② write syllabus, ③ use technology, ④ operate class, ⑤ communication ⑥ evaluation and feedback, ⑦ reflection and improvement, ⑧ research, ⑨ research ethics, ⑩ work ethics, ⑪ organizational commitment, ⑫ student counseling, and ⑬ cooperation. Second, The differences in importance-performance of competence were confirmed by the age and experience of the faculty. Thir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ducational needs of competencies on instructional design, use technology, operate class, research and student counseling were ranked within top f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educational programs for enhancing faculty competencies in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