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복지교사의 고용문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박해선(Hae Seon Pak),김현옥(Hyun Ok Kim) 한국아동복지학회 2011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5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빈곤아동의 방과후 보육과 교육을 담당하는 아동복지교사들이 경험하는 고용문제에 따른 질적연구이다. 아동복지교사가 다양한 고용문제를 경험하면서 심리적인 소진에 이르며 이에 대한 대응과정을 보다 심층적으로 내부자적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10명의 아동복지교사들을 대상으로 포화상태에 이르기까지 심층적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N-vivo2를 통하여 질적연구방법 중 근거이론을 통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아동복지교사직의 생성배경과 아동복지교사들이 경험하는 3가지 고용문제인 고용불안정, 이중적 소속, 낮은 수입의 문제를 면밀히 분석하였으며, 그에 따른 소진과 대응에 대한 내용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먼저 고찰한 후, 질적 연구를 따라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개방코딩 단계에서, 총 112개의 개념과 39개의 하위범주, 이를 추상화시킨 결과 15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축코딩 단계에서, 인과적 조건은 "아동복지교사의 길로 들어섬", 현상은 "불안", "마음고생", "소진", 맥락적 조건은, "지역아동센터와의 초기경험", "불안정한 직업", "사명의 본질에서 벗어남", "불만족스러운 보상체계", 중재적 조건은 "사적 체계의 지지", "공적 체계의 기반 미비",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마음가짐을 새롭게 함", "역량강화", "동료 보듬기", 결과는 "성장의 발판 마련", "새로운 미래 설계"이 도출되었다. 선택코딩에서는 "전문성 향상을 성장의 발판으로 새로운 미래를 열다"가 핵심범주로 도출되었으며 이 분석을 토대로 논의와 사회복지적 제언 및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on child support teachers who are in the charge of the indigent children`s educare in after-school programs. The study explores child support teachers experiences of various employment problems, which leads to psychological burn out, and how they cope with these problems from an emic perspective. Ten study participants who have been child support teachers for at least 2 year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until saturation of the interview contents was achieved. Grounded theory method was employed to analyze the interview data using N-vivo. In the open-coding, 112 concepts, 39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were drawn. Second, at the axis coding, the casual condition is identified to be "step into the child welfare worker`s life", the phenomena are "anxiety", "suffering anguish", "burnout", contextual conditions are "the early experiences at the child-center", "job insecurity", "break away the core mission", "discontented reward system", the intervening conditions are "support of the private system", "inadequate public system", the interactional strategies are "refresh the mind" "empowerment", "support the peer-group" and the results are "gain a foothold for the growth", "future design". Finally, through selective coding, we found that the core category is "begin to plan for the new future through professional devlopment".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for children and the child support teachers, and the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section.

      • KCI등재

        아동학대와 빈곤요소의 군집분포에 대한 지역별 특성 및 함의

        김현옥 ( Kim Hyun-ok ),박해선 ( Pak Hae-se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4

        본 연구는 아동학대발생과 아동학대잠재성, 아동학대 미신고, 지역빈곤, 양극화의 개념적 근접성 분석을 통하여 아동학대와 빈곤요소의 지역별 분포를 규명하고 관련요인의 우리나라에서의 구체적인 분포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한국노동패널과 한국아동청소년패널의 자료 및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의 공시자료를 통하여 각각 아동학대 발생지수와 아동학대 잠재성, 아동학대 미신고, 지역빈곤지수, 양극화지수를 산출하였다. 첫째, 아동학대 발생과 근접한 개념 근접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클리디안 거리측정을 활용하였다. 둘째, 아동학대 발생지수와 아동학대 잠재성, 아동학대 미신고, 지역빈곤, 소득 양극화의 분포를 평가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16개 시·도를 투입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군집1은 아동학대 발생은 낮고, 아동학대 미신고, 지역빈곤, 양극화가 낮은 지역으로서 안정적인 공간으로 분류되었고, 군집2는 아동학대 발생과 아동학대잠재성, 아동학대 미신고 및 지역빈곤이 낮은 곳으로 분류되었다. 군집3은 높은 아동학대 발생과 아동학대 잠재성을 보여 아동학대의 부정적인 요소를 갖춘 지역으로 분류되었고, 군집4는 아동학대 발생지수와 지역빈곤이 가장 높고 양극화가 높은 지역으로 분류되어 박탈적 위험요소가 존재하는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마지막으로, 군집5는 아동학대 발생지수와 아동학대 미신고가 높으며 아동학대 잠재성이 가장 높지만, 지역빈곤과 양극화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제언을 전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child abuse and poverty factors through the conceptual proximity analysis of child abuse, child abuse potential, child abuse neglect, regional poverty, and polarization, and to analyze the specific distribution in Korea. Specifically, data on child abuse incidence, child abuse potential, child abuse ㅕunder report, community poverty, and polarization index were calculated through data from the Korea Labor Panel, the Korea Childhood Youth Panel and Korea child protection institution. First, the Euclidean distance measure was used to evaluate conceptual proximity to child abuse. Second,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of child abuse, 16 provinces of Korea were introduced and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Cluster 1 was classified as a stable space with low child abuse, low child abuse under report, low poverty, and low polarization, and Cluster 2 was classified as low child abuse, low child abuse potential, low child abuse under report, and low local poverty. Cluster 3 was classified as a region with high child abuse incidence and child abuse potential, with negative factors in child abuse. Cluster 4 was classified as a high child abuse incidence and region with the highest poverty and high polarization. Finally, in cluster 5, child abuse incidence and child abuse undeer report are high, child abuse potential is highest, but community poverty and polarization are low.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e discussed and suggested some suggestions.

      • 아동학대와 양극화, 지역빈곤 및 사회적 고립에 대한 개념적 근접성 분석

        김현옥(Hyun Ok Kim),박해선(Hae Seon Pak)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17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3 No.1

        본 연구는 아동학대와 양극화, 지역빈곤 및 사회적 고립의 개념적 근접성 분석을 통하여 아동학대를 유발하는 지역사회 요인을 규명하고자 이루어졌다. 또한 아동학대와 관련된 보다 거시적인 관점인 사회구조적 접근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주요 변수의 분포적 차이에 따른 아동학대 방지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한국노동패널과 한국아동패널의 자료 및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의 공시자료를 통하여 각각 양극화지수와 사회적 고립지수 및 아동학대 발생지수를 산출하였다. 먼저 아동학대와 양극화, 지역빈곤, 사회적 고립의 근접성 평가를 위하여 표준화한 각 변수값의 유클리디안 거리측정을 활용하였다. 둘째, 아동학대와 양극화, 지역빈곤 및 사회적 고립의 분포를 평가하기 위하여 산출된 가중치 지수를 곱한 후 경상남도시ㆍ군을 투입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아동학대는 양극화와 개념적 근접성이 가장 가까웠으며 지역빈곤, 사회적 고립의 순으로 개념적 근접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상남도 시군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역시 양극화가 아동학대와 가장 밀접한 관련성 있는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제언을 전개하였다. Through the conceptual proximity analysis about child abuse, social polarization, and social isola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ild abuse community factors. And examining the feasibility of social structural approach on child abuse, child abuse prevention policies is suggested on disparities of community-level factors. Using ‘Korean Labor & Income Panel’data, ‘Korean Children Panel’data, and‘Central child protection institution’data, we compute polarization index, social isoloation index and child abuse index. We analyzed the euclidean distances between these variables for conceptual proximity, and the disparities on these variables in KyungSangNamDo through cluster analysis. Child abuse has most conceptual proximity to the polarization, and in order community poverty, social isolations. The result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that social structural factor is crucial on child abuse. Related discussions and child abuse prevention policies is suggested.

      • KCI등재

        빈곤아동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자-가족요인에 관한 지역사회 지지요인의 조절효과

        김현옥 ( Kim Hyun-ok ),박해선 ( Pak Hae-se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3

        본 연구는 빈곤 아동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자와 가족의 요인을 분석하고 지역사회 지지요인의 유의한 조절 여부를 분석하여 빈곤 아동의 발달과 행동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지역사회 지지요인을 규명하고자 2014년 한국아동패널 7차 데이터 자료 중 1620명의 어머니에 대한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빈곤어머니는 양육부담, 통제적 양육을 더 많이 하며 빈곤가족은 응집성과 유연성이 비빈곤가족보다 낮은 것으로,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빈곤아동은 비빈곤아동보다 내재화행동문제를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효능감이 빈곤아동의 내재화 행동문제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온정적 양육, 빈곤가족의 유연성이 빈곤아동의 외현화 행동문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와 지역기관 충분성, 지역사회 안전성은 양육자 요인이 빈곤아동의 내재화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사회적 지지와 사회안전성 및 시설편리성은 양육자 요인이 빈곤아동의 외현화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of caregiver and family affecting behavioral problems of poverty children and analyze the factors of community factors that can prevent development and behavior problems of poverty children.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of 1,620 mothers among the 7th Korean child panel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oor mothers have more sharing of parenting and control, and the poor families have more cohesiveness and flexibility than those of non - poverty families and experienced more social support. Poor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have internalized behavior problems than non - poverty children. Second,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efficacy affected significantly internalizing behavior of poor children, mothers’ parenting stress, temperate parenting, and flexibility of poverty family affected significantly externalizing behavior of poor children. Finally, social support, community institutional sufficiency, and community safety control the effects of caregiver factors on the problem of internalizing behavior of poor children. Social support, social safety and facility convenience were found to control the effects of caregiver factors o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poor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discussion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