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선행스케줄링에서 배타적 자원접근

        박학봉(Xuefeng Piao),한상철(Shangchul Han),김희헌(Heeheon Kim),민규(Minkyu Park),조성제(Seongje Cho),조유근(Yookun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A

        선행스케줄링(pre-scheduling)은 정적인 작업(periodic job)과 동적인 작업(sporadic job)을 유연하게 처리하기 위해 제안된 스케줄링 방식이다. 이 방식은 오프라인 컴포넌트와 온라인 컴포넌트로 구성되며 오프라인 컴포넌트에서는 비주기적으로 도착하는 동적인 작업들을 고려하여 정적인 작업들을 여러 부분작업으로 분할하고, 그리고 각 부분작업들의 실행시간, 준비시간, 마감시간을 부여하고 실행순서를 결정한다. 온라인 컴포넌트에서는 이 정보들을 이용하여 정적인 작업들을 정해진 실행순서에 따라 스케줄하고, 동적인 작업이 도착하면 EDF(Earliest Deadline First) 스케줄링 방식으로 처리한다. 그러나 선행스케줄링에서는 자원공유문제를 고려하지 않고 실행시간을 부여하였으므로 여러 정적인 작업들이 하나의 자원을 공유할 경우에 배타적인 자원접근을 보장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처리기 환경에서 여러 정적인 작업들의 자원공유를 고려하여 자원의 배타적 사용을 보장하는 선행스케줄 생성기법을 제시한다. 이 기법은 각 작업의 자원방출시간을 예측하고 예측시간에 근거하여 각 작업의 자원사용구간이 중복되지 않도록 실행시간을 결정한다.

      • 대규모 온라인 게임을 위한 XML 기반의 클라이언트 - 서버 메시지 정의 시스템

        박학봉(Xuefeng Piao),신지원(Jiwon Shin),오삼권(Samkweon Oh)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Ⅱ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s)와 같은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대규모 온라인 게임은 정보 전송을 위한 많은 메시지들을 정의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게임의 기획이나 내용 및 기타 게임 요소들이 변경되면 개발자들은 메시지를 추가하거나 변경하는 문서를 작성해야 하고 작성된 문서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의 수정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온라인 게임의 내용확장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메시지의 추가 및 변경 작업을 용이하게 해주는 XML 기반의 메시지 정의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메시지 정의에 있어서 데이터의 구조 표현과 내용 표현이 동시에 가능한 XML을 이용했으므로 다양한 형식(format)의 메시지를 정의할 수 있으며, 대규모 온라인 게임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일반 통신 응용 프로그램에도 사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잉여 여유시간을 이용한 연성 비주기 태스크들의 효율적인 스케줄링

        김희헌(Heeheon Kim),박학봉(Xuefeng Piao),문주(Moonju Park),민규(Moonju Park),조유근(Yookun Cho),조성제(Seongje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6 No.1

        마감시간이 있는 주기 태스크와 마감시간이 없는 비주기 태스크가 공존하는 경성 실시간 시스템에서는 주기 태스크의 마감시간과 비주기 태스크의 빠른 응답시간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비주기 태스크 처리에 효율적이면서 잘 알려져 있는 알고리즘인 Total Bandwidth Server(TBS) 보다 향상된 알고리즘인 Enhanced TBS(ETBS)를 제시한다. ETBS는 Earliest Deadline First(EDF)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단일처리기 시스템에서 주기 작업의 단위 수행시간마다 확보할 수 있는 잉여 여유시간을 이용해 온라인으로 비주기 태스크에 마감시간을 부여하는 알고리즘이다. 제시한 알고리즘은 주기 및 비주기 태스크들이 처리기의 이용률을 모두 이용할 수 있게 하며 주어진 주기 태스크들의 마감시간을 보장한다. ETBS 알고리즘은 TBS와 같은 계산 복잡도 O(1)을 가지면서도 TBS보다 좋은 응답시간을 가짐을 이론적으로 보였고, 정량적인 응답시간 차이는 모의실험을 통해 보였다. In a real-time system with both hard real-time periodic tasks and soft real-time aperiodic tasks, it is important to guarantee the deadlines of each periodic task as well as obtain fast response time for each aperiodic task. This paper proposes Enhanced Total Bandwidth Server (ETBS) with possibly shorter response time than Total Bandwidth Server (TBS), which is efficient and widely used for servicing aperiodic tasks. For uniprocessor system using Earliest Deadline First (EDF) scheduling algorithm, ETBS assigns an on-line deadline to each aperiodic task considering a surplus slack time which gained for every unit execution time of periodic job. The proposed method can fully utilize the processor while meeting all the deadlines of periodic tasks. We show that the proposed ETBS provides better response time of aperiodic tasks than TBS theoretically, but has the same computational complexity as TBS, O(1).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response time of aperiodic tasks with ETBS are shorter than one with TBS.

      • KCI등재

        소프트웨어 라디오 시스템을 위한 전력 관리 기법

        구본철(Boncheol Gu),박학봉(Xuefeng Piao),허준영(Junyoung Heo),전광일(Gwangil Jeon),조유근(Yookun Cho)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6 No.11

        소프트웨어 라디오는 기존에 특화된 하드웨어칩으로 구현되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하여 실행하는 기술이다. 새로운 프로토콜의 적용과 기존 프로토콜의 수정이 동적인 프로그래밍만으로 가능해지기 때문에 무선 통신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라디오 시스템은 범용 프로세서와 통신 하드웨어를 동시에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전력 소모가 크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소프트웨어 라디오 시스템을 위한 전력 관리 기법인 복합 변조/전압 스케일링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된 기법의 전력 절감 효과를 수치적인 결과를 통해 분석한다. 결과적으로 복합 변조/전압 스케일링 기법은 주어진 데이터 전송률을 충족시키면서 무선 통신의 변조 레벨과 프로세서의 전압을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킨다. Software defined radio(SDR) technology implements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as software instead of dedicated hardware. SDR enables reconfigur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without expensive hardware modification. However, as the SDR systems are equipped with additional programmable processors, they suffer significant power dissipation. This paper proposes a novel power management technique for SDR systems, called the combined modulation and voltage scaling (CMVS). Numerical analys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MVS. The results show that CMVS minimizes power dissipation while satisfying the given data transfer 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