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테라바다(Theravāda)의 붓다관―Pubbakammapiloti를 중심으로 (I)

        박청환(Park Cheong-hwan) 불교학연구회 2006 불교학연구 Vol.15 No.-

          After the Parinibb?na of the Buddha, the concept of the Buddha in the Buddhist community has been divided. On the one hand, there was a human Buddha,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upramundane Buddha. In other words, some put emphasis upon the historical Buddha while others on the deified Buddha. However, whether they preferred the supramundane Buddha or the historical Buddha, all Buddhist schools faced a problem of interpreting some ambiguities in the biography of the Buddha. At the same time, these ambiguities gave them a chance to establish their own theories. Most ambiguities of his biography were related to inconsistent statements about and by the Buddha in the early canons.<BR>  In the early canons, the Buddha not only performs miracles and is endowed with physically distinctive marks but also suffers from illnesses and torments. Finding a consistent interpretation of the Buddha was very important to all Buddhist schools. To justify their doctrine, they even seemed to have modified the early canon. That is why we now have different versions of the same story. In the meantime, regardless of their doctrines, Buddhist schools seemed to have been required to provide their own interpretation of the Buddha who suffered from very worldly afflictions.<BR>  Especially, the question often arises, as much in the canonical texts as in the postcanonical, of the illnesses and torments endured by the Buddha: 1. Injury to his foot; 2. Thorn prick; 3. Return with an empty bowl; 4. Sundar?’s slander; 5. Ci?c?’s slander; 6. Barley eating; 7. Six years of austerities; 8. Dysentery; 9. Head and backache, etc. Collectively, these are called, in P?li, Pubbakammapiloti.<BR>  How can a being as perfect as the Buddha be subject to sufferings? The problem drew the attention of Buddhist schools, and various answers were given.<BR>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Buddha through the debates on the nature of the Buddha in Therav?da Buddhism. This article tries to understand, especially, why the idea of the Pubbakammapiloti is specific to Therav?da Buddhism.

      • KCI등재

        초기불교 내러티브의 여성에 대한 부정관(asubhabhavana) 유형 연구

        박청환 ( Park Cheong-hwa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0

        부정관은 탐욕 또는 감각적 욕망을 제어하기 위한 수행이다. 외적으로는 타인의 시신이나 육체가 부패하여 백골로 변해가는 모습을 보고 이 모습을 다시 관하는 방법과 내적으로는 자신의 몸을 구성하는 요소를 다시 관하면서 부정하다고 인식하는 수행법이다. 불교 내러티브(narrative)들은 이러한 부정관을 특히 여성을 대상으로 극적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면 묘지를 배경으로 여인의 아름다운 몸과 시신의 참혹함을 극과극으로 비교하여 부정관에 대한 효과를 높이기도 한다. 혐오스러운 환경과 애욕을 다루는데 있어서 공동묘지는 최적의 장소이기 때문이다. 또한 불교 내러티브들은 교리서의 이성적이고 분석적인 부정관과는 달리 다양한 상황설정을 기반으로 한 감각적이고 감성적인 접근을 통하여 부정관에 대한 독자의 높은 공감대를 이루어내고 있다. 초기불교 내러티브 속의 부정관은 붓다가 출가 직전에 궁중에서 마주한 여인들의 헝클어진 모습에 혐오를 느껴 출가한 장면으로 대표된다. 대부분의 장로나 비구들의 출가 이야기는 이 유형을 따르고 있다. 이 유형은 무상한 몸에 대해 특히 여인으로 대변되는 애욕에 대해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한편 이런 직접적인 부정관과는 다른 접근을 보이고 있는 내러티브들이 있다. 이런 면에서 『꾸사자따까(Kusa-jataka)』는 주목할만 하다. 『꾸사자따까』에서 여인은 버려야 할 대상이 아니라 조복받고 타협해서 같이 살아야 할 대상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러므로 여인에 대한 관점도 직접적인 부정관의 입장 보다는 은유적이고 간접적인 방법으로 부정관을 선보이고 있다. 아함경이나 아비달마논서들에서 다루어지는 부정관에 대한 교리적 관심과 비교하여 스토리텔링을 주요기능으로 하는 불교 이야기들 내지 내러티브들 안에서 다루어지는 부정관 특히 여성을 대상으로 한 부정관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미약하였다. 본 논문은 초기불교 내러티브에서 여성을 대상으로 한 부정관의 두 가지 접근방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부정관에 대한 이해를 다양화하고 있다. Monks of the early sangha spent time in the charnel fields of cremation grounds practicing a meditation technique called the meditation (bhavana) on foulness (sanskrit, asubha; Pali, asubha) in which the meditator contemplates corpes in various stages of decay. This form of meditation was praised by the Buddha. Though the practice of contemplating corpes in the cremation ground is not for everyone, developing a sense of aversion toward impermanent things is nevertheless considered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liberation. The aversion that comes from seeing the world as it really is (yathabhuta) leads to passionlessness to liberation. The use of shocking and unconventional literary styles is a means of developing a sense of aversion that is frequently met with in the early Buddhist narratives. By presenting alluring female bodies as food for worms and beasts, cremation-ground reveries enable Buddhist texts to deal with on the uselessness of beauty and the improperness of sexual desire. While the contemplations of foulness in the narratives are mainly dealt directly, there are some dealt indirectly. The direct contemplation of foulness is represented by the scene where Gotama sees the beautiful women of his harem whose bodies contorted in sleep like stiffening corpses. He recognizes the improperness of seeking satisfaction in the body and renounces the world. Most stories of the Elders and monks follow this model. This model takes direct and negative stance on the sexual desire based on the impermanent feminine body. From the indirect viewpoint of the contemplation of foulness, Kusa-jataka is noteworthy. In the Kusa-jataka, the Buddha gives a lesson to a backsliding monk who fell in love with a lady during his rounds for alms. The Buddha tells that through falling in love with a woman, even the sages of old and mighty lost their power and came to misery and destruction. Then the story of past follows. However, this story of the past does not follow the direct model which leads to feel aversion to the worldly desire and renounce the world. In the Kusa-jataka, Pabhavati, main female character, is not the object of foulness and aversion. Instead, she is described as one who should be tamed and lived together with Kusa. Therefore she becomes the symbol of the metaphoric and indirect instead of direct contemplation of foulness. In other words, Kusa-jataka is an interesting model from the viewpoint of providing the indirect approach to the concept of contemplation of foulness on the feminine.

      • KCI등재

        투고 논문 : 석가족 몰살의 내러티브 고찰: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雜事)를 중심으로

        박청환 ( Cheong Hwan Park ) 인도철학회 2012 印度哲學 Vol.0 No.34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는 다른 율장이나 경전들에 비해 내러티브가 상당히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른 율장이나 경전들이 메시지 전달에만 치중해서 단순하게 스토리를 전개하고 있는 반면에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에 소개된 많은 이야기들은 내러티브의 구조가 상당히 복잡해지고 다양한 복선이나 장치를 설정해 놓음으로써 문학적인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 그리고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의 내러티브들은 믿음(bhakti)과 業사상을 기반으로 한 공덕쌓기와 현세나 내세에서 그 과보를 받는 신앙적인 면이 강조된 아바다나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본고는 석가족의 몰살 이야기를 중심으로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雜事』속의 이 이야기가 다른 율장이나 경전 속의 이야기들보다 얼마나 내러티브 기능이 우월한가를 보이고자 한다. This story of the Sakyas` massacre is in the Mulasarvastivadavinayaksudrakavastu (MSVKv). This is a good example to show how an avadana though fictional is based on historical foundations, and develops and serves its purpose through literary embellishment. Besides, this avadana is unique in that it deals with the collective karma of the Sakyas, including the Buddha. From a comparison between versions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traditions, I demonstrate how this avadana of the MSVKv is unique in developing the story by adopting the main story-telling techniques of the versions from both traditions. In this narrative of the MSVKv, while the main story tells of the Sakyas massacred by Virudhaka, compared to its Theravadin counterpart, where only the Sakyas` bad deeds are mentioned, the MSVKv expands the episode to insert a karmic message and to allow for literary embellishment. The episode of Virudhaka`s massacre of the Sakyas is central to this whole avadana. The message conveyed is that even the Buddha cannot save his clan due to their past karma or alternatively, that the Buddha enables the Sakyas to take refuge in the Three Jewels. The Mulasarvastivadins` strict karmic position even presents the Buddha as an executioner and a guardian of karma in the episode of the two boys` death. The study shows that this avadana is unique in a sense that the whole story ends with the Buddha`s prohibition of the monks to carry ornaments which is one of the origins of the Vinayatisaras.

      • KCI등재

        아빠랄라 나가(Apalala naga) 이야기를 통해 본 불교 내러티브 연구

        박청환 ( Cheong Hwan Park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0

        본고는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根本說一切有部毗奈耶藥事)』에 들어있는 아빠랄라나가(Apalala naga, 무도간용왕(無稻稈龍王))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를 다각적 분석을 통해서 이 이야기가 함유하고 있는 다양한 모습들을 보이고자 한다. 먼저 내용 분석을 통하여 이 이야기가 가지는 특성을 주목할 것이다. 불교 메시지의 효과적 전달을 위해 내러티브 속에서 고안된 다양한 도구 내지 설정들이 얼마나 풍부하고 다양한 함의를 내포하고 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구조 분석을 통하여 이런 불교 설화가 가진 내용이나 구조가 어떻게 불교의 현지화 내지는 토착화에 기여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이해해 보고자 한다. This story of Apalala naga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the characters shift their ethical position several times. From a literary viewpoint, this motif provides the means for an unlimited expansion of stories in which it is not necessary to make a distinction between the good and bad characters. In the same story, a character is designated as good, then at another time the same character is destined to be bad. From a doctrinal viewpoint, no distinction is made between good and bad among ordinary characters as long as they only pursue worldly profit in their lives. Their lives cannot but bring mixed results of good and bad karma, in contrast to the good karma of the Buddha, which led him to Buddhahood. This story is a good example of how the Mulasarvastivadin Vinaya re-organizes the story based on the Indian folk tradition in which naga takes important roles. As Buddhism spread outside the boundaries of areas where the historical Buddha was originally believed to have lived, the Buddhists faced the dilemma. If sacred sites were primarily sanctified by the presence of the Buddha himself, did that mean that as the religion spread there were to be no easily accessible sacred places for the new believers? To cope with this problem, new Buddhist sacred sites were constructed in regions like Gandhara, which was far from Buddhism`s original seat. During this process of localizing sanctity, narratives were produced. The local Buddhist narratives reflect not only the localized sanctity of specific sites but also other aspects like socio-historical situations. This paper aims to show the diverse aspects of the Buddhist narrative by the structural analysis on the story of Apalala in the Mulasarvastivadavinayabhaisajyavastu.

      • KCI등재

        에띠엔 라모뜨의 -대지도론- 번역과 주석에 대한 소고 - 제1권 1장을 중심으로 -

        박청환(Park, Cheong Hwan)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0 No.-

        잘 알려져 있듯이, 에띠엔 라모뜨(Étienne Lamotte, 1903-1983)의 󰡔대지도론󰡕 번역과 주석은 원문 번역의 정확성뿐만 아니라, 방대한 각주로 인하여 찬란한 주석들의 기록’으로 불린다. 다양한 경전들과 논서들로부터 찾아낸 원문 출처뿐만 아니라 불교학 연구사의 세세한 부분까지 치밀하게 정리하여 제시한 방대한 각주들로 인해 그의 저서는 불교학 연구에서 ‘문헌 비평과 해석’의 교과서이자 현대 불교학 연구에 반드시 필요한 백과사전으로 지칭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학계는 언어적 장벽으로 인하여 라모뜨가 제시하는 불교학 연구의 성과물들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드물었다. 라모뜨는 󰡔대지도론󰡕 번역과 주석에서 고전 불교 언어인 한문, 범어, 빨리 어, 티벳어로 쓰인 경전과 논서들을 자유자재로 인용할 뿐 아니라 불어는 물론 영어, 독일어, 일본어, 중국어 및 서양고전어인 희랍어로 된 연구 자료까지 섭렵한 성과를 각주에 담고 있는 관계로 내용에 접근하기 위한 언어적 장벽이 상당히 높다. 본 연구는 그의 󰡔대지도론󰡕 번역과 주석에서 제1권 1장의 분석을 통하여 당시까지의 근대 불교학 연구의 성과가 그의 주석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한편으로 그의 불어 번역이 한글 번역본들과 비교하여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려고 한다. Étienne Paul Marie Lamotte (November 21, 1903 – May 5, 1983) was a Belgian priest and Professor of Greek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Louvain, but was better known as an Indologist and the greatest authority on Buddhist studies in the West in 20 th century. He is also known for his French translation titled Le Traite de la Grand Vertu de Sagesse de Nagarjuna of the 󰡔大智度論, (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a text attributed to Nāgārjuna. In 1944 the first volume of Le Traité de la Grand Vertu de Sagesse de Nāgārjuna (Exposition of the great Sūtra of the Perfection of Wisdom) was published. Five volumes with altogether 2451 pages of text and 151 pages of introductory matter have been published (I, 1944; II, 1949; III, 1970; IV, 1976; V, 1980). His translation is based on the Chinese version of Kumarajiva (404-406 C.E.). It is a very comprehensive exposition of classical Indian Mahayana Buddhism. This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represents a real encyclopedia of Buddhism in which the doctrine of ancient Buddhism and the scholasticism of Abhidharma philosophy are presented in great detail. The five volumes contain many thousands of comprehensive notes and thereby form a marvelous source of information on early and classical Buddhism. Étienne Lamotte’s work of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is called the guidebook of the annotated translation and the essential encyclopedia of modern buddhist studies. However, due to high language barrier, his academic works were not easily accessible by korean scholars. In his annotaed translation of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Lamotte consults not only on the buddhist texts written by classical languages like Sanskrit, Pāli, Tibetan, Chinese, but also on modern resources written by French, English, German, Japanese and modern Chinese as well as classical Greek. This makes considerably difficult to get access to his work. This paper aims to consider how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odern buddhist studies is reflected in his annotated translation of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and how his annotated translation is different from Korean counterparts.

      • KCI등재
      • KCI등재

        에띠엔 라모뜨의 『대지도론』 번역과 주석에 대한 소고 (Ⅲ) - 제1권 4장과 5장을 중심으로 -

        박청환 ( Park Cheong-hwa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5

        나가르쥬나가 짓고 구마라집이 한역한 『대지도론』은 三論인 『中論』, 『百論』, 『十二門論』과 함께 한문 불교권에서 인도 중관학의 四論으로 꼽히는 중요한 논서이다. 그리고 『대지도론』은 여시아문, 바가바, 왕사성, 비구대중, 보살 등 불교의 중요한 기본개념들을 다루는 백과사전적 논서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대지도론』은 설일체유부의 자료를 많이 이용하면서도 동시에 여러 부파의 다양한 이론 소개를 위해 각종 자료들을 인용하고 있다. 에띠엔 라모뜨(Etienne Lamotte, 1903-1983)는 『대지도론』이 인용하는 자료들의 근거를 밝히고 연구하는 작업에 40여년을 전념하였다. 그의 작업은 『대지도론』에 대한 이해가 한문본을 넘서 불교 경전에 대한 폭넓은 시야가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는 에띠엔 라모뜨의 『대지도론』 번역과 주석 (Le Traite de la Grande Vertu de Sagesse de Nagarjuna (Mahaprajnaparamitasastra)), 전 5권 중 제1권 4장과 5장을 다룬다. 제1장이 마하반야바라밀을 설한 인연을 다루고, 제2장과 제3장이 如是我聞의 의미를 다룬다면, 제4장은 佛 또는 바가바(Bhagavat)에 대한 것으로서, 바가바의 의미를 다루고 있으며, 제5장은 왕사성(Rajagrha)으로서 붓다가 왕사성에 머무른 인연을 다루고 있다. 본고는 라모뜨의 『대지도론』에 대한 번역과 주석에서 보이는 접근방식을 한글역들과 비교하고, 그리고 무엇보다도 텍스트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라모뜨 방식의 유효성을 드러내 보이고자 한다. Etienne Lamotte (1903 - 1983) is well known for his French translation titled Le Traite de la Grand Vertu de Sagesse de Nagarjuna (Mahaprajnaparamitasastra) in 5 volumes. Nagarjuna’s original Sanskrit work has not come down to us, but only through a Chinese translation, the 『大智度論』 by Kumarajiva. Lamotte’s annotated translation is based on this Chinese version. The 『大智度論』 is regarded as a key treatise of the Indian Madhyamika school together with the Three Madhyamika Treatises of the 『中論』(Madhyamika-sastra), the 『百論』(Sata-sastra) and the 『十二門論』(Dvadasa-nikaya-sastra) in Chinese Buddhism. At the same time, the 『大智度論』 is markedly collected systematic explanations of classical Indian Mahayana Buddhism which deals with the key Buddhist concepts like Evam maya srutam, Bhagavat, Rajagrha, Bodhisattva etc. Lamotte’s annotated translation of the Mahaprajnaparamitasastra is famous for many thousands of comprehensive notes based on his lifelong academic endeavor. This enables the full understanding of Nagarjuna’s original Sanskrit work. This paper deals with the chapter 4 and 5 of the volume 1 out of 5. The chapter 4 is about the meaning of the Bhagavat or the Buddha and the chapter 5 is about the Buddha’s preference for Rajagrha. According to the Mahaprajnaparamitasastra, the exposition of Bhagavat and Rajagrha is regarded as important in the sense of achieving the credibility of the entire work. This paper aims to show Etienne Lamotte’s scholastic achievement in his annotated translation of Mahaprajnaparamitasastra through the analysis on his academic approach based on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his work and korean counterparts.

      • KCI등재

        근본설일체유부 내러티브의 표현양식 고찰

        박청환(Park, Cheong-Hwa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2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M?lasarv?stiv?davinayabhai?ajyavastu:MSVBv)』는 『대반열반경(Mah?parinirv??a-s?tra)』을 바탕으로 붓다의 마지막 행적을 묘사한 내러티브를 담고 있다. 붓다의 마지막 모습을 다양한 극적 장치와 플롯(plot)으로 감동적으로 그리고 있다. 그리고 근본설일체유부가 방대한 그들의 비나야(vinaya)를 통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것은 업(業)의 절대성이다. 본고는 이러한 점을 MSVBv 제5권의 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MSVBv는 붓다의 마지막 행적의 순서를 다른 경과는 다르게 편성하고 있는데 이는 자체적인 편집에 의한 사건들의 순서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낱낱의 사건이 전반적인 구도 안에서 이해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와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 그리고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사이에 섭송(udd?na)의 사용 내지는 용도에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편집시기의 차이에 따라 섭송이 분명하게 쓰이기도 하고 아니기도 한 모습을 보여준다. MSVBv 제5권의 전반부에서 붓다와 함께 내러티브를 이끄는 인물은 아자따사뚜이다. 그의 악업과 붓다에게의 귀의 그리고 공양은 사건들의 극적 구성 속에서 결국에는 긍정적인 인물로 그를 그려낸다. 그의 교화시에 붓다가 보인 신통력은 아바다나라는 장르의 성격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MSVBv 제5권의 후반부는 붓다의 과거업의 이야기이다. 왕위에 못 오르게 되자 출가하여 벽지불이 된 후에 열반에 든 아들에게 붓다의 전생이었던 대선현왕이 그의 스뚜빠에 공양한 공덕을 그리는 에피소드이다. 같은 이야기가 다른 경전에도 있으나 MSVBv는 주인공의 세속적인 좌절과 출가 후의 벽지불이 되는 과정을 극적으로 그리고 있다. 마지막으로 MSVBv 제5권에서 아자따사뚜와 붓다의 선업은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에 나오는 석가족 몰살 부분의 위류다까의 악업과 붓다의 과거 악업과 비교된다. 이는 업(業)의 중요성을 강조하려는 근본설일체유부의 의도적인 구성이다. 근본설 일체유부는 교리적인 접근 보다는 극적인 내러티브 속에서 그들이 전달하려는 업(業)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고 하겠다. The M?lasarv?stiv?davinayabhai?ajyavastu (MSVBv) contains the narrative of the Buddhas last journey based on the Mah?parinirv??as?tra. It describes the Buddhas last scenes with a variety of dramatic instruments, and plots. Besides this, the M?lasar v?stiv?dins attempt to display the ultimate principle of karma through their vinaya. This paper aims at demonstrating their inten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chapter five of the MSVBv. First of all, it is pointed out that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the Vai??l?prave?a of the MSVBv, is the timing of the event. A possible explanation lies in the sequence of events in this context, rather than historical order or consistency with other texts. When the M?lasarv?stiv?dins compiled these stories, the sequence of events and the relation between stories were care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considering the M?lasarv?stiv? davinayabhai?ajyavastu (MSVBv), M?lasarv?stiv?davinayasa?ghabhedavastu (MSVSv), and M?lasarv?stiv?davinayak?udrakavastu (MSVKv), we note the following observation. The different uses or functions of udd?na strongly suggest that compared to the well -organized MSVKv, the loosely structured MSVBv and MSVSv may have been compiled earlier. In the beginning of chapter five of the MSVBv, Aj?ta?atru is the character who leads the narrative. His bad karma, his refuge in the Buddha, and offerings, give him a positive image in the dramatic structure of events. During his conversion by the Buddha, the magical power manifested by the latter, effectively shows the characteristic of avad?na. The last part of chapter five of the MSVBv is about the past good karma of the Buddha. As a father, the Buddha in his past adorned the st?pa of his son who had become a pratyekabuddha. Though the story is similar in the other texts, the MSVBv dramatically presents the protagonist’s secular failure of becoming a cakravartin and attaining the pratyekabuddha-hood. Lastly, in chapter five of the MSVBv, the good karma of Aj?ta?atru and the Buddha contrasts with the bad karma of Vir??haka and the Buddha in the MSVKv. This is a marked structure of the M?lasarv?stiv?dins, who stress the importance of karma. Instead of the doctrinal approach, the M?lasarv?stiv?dins express their interest in karma, through the dramatic narrative.

      • KCI등재

        < 연구논문 > : 『근본설일절유부비나야(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에서의 인과응보에 관한 내러티브 고찰 -붓다의 주변 인물들을 중심으로

        박청환 ( Cheong Hwan Par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3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의 내러티브들은 믿음(bhakti)과 인과응보 사상을 기반으로 한 공덕쌓기와 현세나 내세에서 그 과보를 받는 신앙적인 면이 강조된 아바다나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때문에,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에는 붓다의 선악업에 관한 이야기들이 많이 담겨져 있다. 또한,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에는 붓다 이외에도 그의 제자들과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도 있는데, 그들의 이야기는 불교도들에게 더욱 성취 가능한 모델을 제공하고 있다. 야소다라와 라훌라의 전생 악업 이야기는 각자의 업과 공동업을 통하여 가족으로서의 애착과 그들이 받는 과보를 그리고 있다. 목갈랴나는 그가 신통제일임에도 불구하고 지혜의 부족으로 인해 받는 과보와 부모와의 업연을 보여주고 있으며, 아난다는 그의 뛰어난 재주와 함께 전생의 악업으로 인한 고통의 이야기들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붓다의 주변 인물들, 야소다라와 라훌라, 목갈랴나와 아난다의 이야기를 통해서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에서 인과응보 내지는 업을 강조하는 내러티브의 특성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특히 악업 내러티브를 통하여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In the Mulasarvastivadavinaya, there are a number of the Buddha``s karmic narratives or avadanas. Besides, the Mulasarvastivadavinaya provides a significant number of karmic narratives of the characters around the Buddha. Their stories are about their past karma, retribution, aspiration and attainment of arhat or nirvana. Since they are inferior to the Buddha, they supply the possible models to ordinary monks and lay-people. The attitude of the Mulasarvastivadavinaya to the Buddha and his family, especially Yasodhara and Rahula, is more complex, and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karmic episodes. Besides the Buddha and two characters creating collective karma, each of them makes their own individual karma. This structure is difficult to explain just using the "good deed brings good result, bad deed brings bad result" formula. Maudgalyayana with Sariputra did not participate in the collective bad karma of the Buddha in the past. While the future Gautama Buddha and his 498 disciples were insulting monks, saying they should be given barley, these two disciples said that Vipasyin Buddha deserved the celestial food offering. That is the reason why later, while the Buddha and his other 498 disciples were suffering from eating barley which was horse fodder, Maudgalyayana and Sariputra received the celestial food offering. Regarding Maudgalyayana``s bad karma, there are two references in the Mulasarvastivadavinaya: One is a verse in the section on disciples`` karma episodes in the Bhaisajyavastu, while the other is in the Ksudrakavastu. It is noteworthy that among the thirty-six Elders`` stories of the Bhaisajyavastu of the Mulasarvastivadavinaya, there is no story of Ananda. However, his karmic episodes are contained in the Samghabhedavastu of the Mulasarvastivadavinaya. Unlike in the Apadana, the Mulasarvastivadavinaya tells good and bad karmic stories of Ananda. Moreover, his life in the Mulasarvastivadavinaya is different from that in other texts. This paper aims to show the characteristic of the karmic causality of the narratives of the Mulasarvastivadavinaya through the stories of the characters around the Buddha like Yasodhara, Rahula, Maudgalyayana and Ananda.

      • KCI등재

        붓다의 질문에 관한 연구 - 빨리어본 니까야를 중심으로

        이복희(Lee, Bok-Hui),박청환(Park, Cheong-Hwa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2 佛敎學報 Vol.- No.100

        불교는 붓다의 깨달음에서 시작되었고, 그 깨달음은 고따마 싯닷타의 출가에서 비롯되었다. 본 연구는 그 출가의 동기를 ‘왜 나는 스스로 생겨남에 묶여 있으면서 또한 생겨남에 묶여 있는 것을 구하는가?’라는 붓다 유년의 질문에서 찾고자 한다. ‘질문과 답’은 짝을 이루는 하나의 맥락이며 붓다의 깨달음이란 유년의 질문에 대한 답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질문을 통해 싯닷타는 익숙함을 낯설게 보았고, 멈추어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떠남을 선택하고, 스스로 깨달은 붓다가 되었다. 이렇듯, 질문은 싯닷타의 삶을 전환시키는 원동력이 되어, 존재의 속박에서 깨어난 자각과 열반의 만족한 상태에 이르게 하였다. 이를 밝히기 위해 본고는 『맛지마니까야(Majjhima Nikāya)』의 「고귀한 구함의 경(Ariyapariyesanāsutta)」과 「쑻짜까에 대한 큰 경(Mahāsaccakasutta)」을 바탕으로, 붓다 생애의 결정적 순간들인 ‘출가 ․ 구도 ․ 깨달음’ 속에서, 질문의 작용을 분석했다. 먼저 출가동기와 관련된 질문을 ‘현실인식-문제자각-문제해결의 방향고려’라는 맥락에 맞게 구분한 뒤, 그 질문이 답이라는 목적에 이르기 위해서 조건을 수정해가며 구도의 동력으로 작용함을 분석하고, 깨달음이라는 결과에 질문이 원인으로서 작용함을 드러내었다. 왜 질문이 중요한가? 불교가 시작된 지점의 원인을 알아야 그 결과인 깨달음의 가르침을 원인에 맞춰 이해할 수 있으며, 원인과 결과로 짝을 이룬 맥락 속에서 붓다의 가르침의 가치는 뚜렷해지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그의 고뇌가 우리의 고뇌와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명확히 알게 됨으로써 그의 가르침은 우리의 괴로움을 해결할 답이 된다. 붓다의 가르침은 ‘와서 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누군가의 특수한 상황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삶의 괴로움을 해결하는 보편적 가르침이라는 뜻을 드러낸다. 붓다가 성취한 깨달음의 이러한 보편성은 질문이 관통하는 출가 ․ 구도 ․ 깨달음이라는 구체적인 맥락에서 시작되었다. 이 사실에 중심을 둔 연구를 시도했음이 이 논문의 의의가 될 것이다. Buddhism began with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which began with the Gotama Siddhatthas renunciation of secular life. This study focuses on the root cause of Siddhatthas renunciation, considering the questions he asked himself in his youth. Such questions include “Why, being myself subject to birth, do I seek what is also subject to birth?” The Buddha’s enlightenment can be said to have arisen as an answer to the questions of his youth. Through this questioning process, Siddhattha saw familiarity as unfamiliar; he stopped and searched for a new direction, eventually choosing to leave his worldly life behind, and became a self-awakened Buddha. The questioning became the driving force that transformed his life, it was the path to awaken him from the bondage of being, and it brought him to a state of satisfaction through awareness, and finally, Nibbāna. In this study, the functioning of questions in the decisive moments of the Buddhas life is analyzed based on The Noble Search (Ariyapariyesanāsutta) and The Longer Discourse to Saccaka (Mahāsaccakasutta). First, the questioning is deliberated as it is related to the motivation of renunciation. This can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three categories: recognition of reality, awareness of problems, and consideration of the means of solving those problems. Next, the questioning process was analyzed as to how it acted as a driving force for seeking truth and how these questions functioned as a cause of enlightenment. Why is questioning important? When the cause of the beginning of Buddhism is known, the teachings of enlightenment can be better understood. The value of the Buddhas teachings becomes evident in the context of its cause and effect. The teachings of the Buddha are the answer to suffering as it is made clear that His suffering is no different from the sufferings of other beings. The teachings of the Buddha have been described with the term “come and see.” It is not a solution for a specific situation but rather reveals a universal teaching that eases the suffering of life. This universality of enlightenment achieved by the Buddha began in the concrete context of renunciation, truth-seeking practice, and enlightenment through which questions penetrated doubt.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being centered on this f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