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량행위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 학교폭력 가해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정신병리(V)

        박지도,최현경,장우성,조동환,김정기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4

        연구목적 : 이 연구는 불량행위 청소년군과 학생군을 대상으로 학교내외에서 행하는 폭력행동의 특징을 알아보고 특히 가해자의 정신병리와 청소년의 폭력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학교폭력의 이해와 대처방법 그리고 예방프로그램의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방 법 : 불량행위 청소년(청소년 선도프로그램인 BBS참석자) 남자 331명과 남자 중고등학교생 394명을 폭력의 유형을 괴롭힘, 금품갈취, 신체적 폭력, 언어적 폭력, 위협 등의 5가지 유형으로 나눈 설문문항을 바탕으로 각 경우의 경험빈도를 5점 척도로 하여 각 문항에서 3점 이상을 가해자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한 조사와 정신병리의 측정도구로서 한국판 아동-청소년 문제행동 평가 척도표(CBCL : Child Behavior Checklist, 청소년용)및 청소년의 자기개념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피어스-해리스 소아 자기 개념척도(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Piers, 1984, 이하 자기개념척도)를 적용하였으며 Chi-square test, T-test, 그리고 Two-way ANOVA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서는 대부분의 요인에서 불량행위군과 학생군 그리고 가해자군과 비가해군간에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흡연과 음주하는 비율이 불량행위군과 학생군 두 군 모두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보다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부부싸움 빈도는 불량행위군에서는 가해자와 비가해자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생군에서는 가해자군에서 종종 싸운다는 비율이 의미있게 높게 나타났다. 학교생활에서는 성적이나 교우관계에서는 두 군 사이와 가해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성적은 불량행위군이 학생군에 비해 낮은 반면 가해여부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학생군에서는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보다 성적이 낮았으며 만화방을 이용하는 빈도도 가해자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폭력물 시청 시 느낌은 불량행위군과 학생군 모두에게서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에 비해 흥분된다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CBCL(Child Behavior Checklist)척도는 불량행위군의 경우 비행, 공격성, 외현화, 사회성 척도가 학생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위축, 사회적 미성숙, 사고문제, 주의집중, 내재화 척도는 학생군에서 불량행위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전체 대상군을 가해자군과 비가해자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신체증상, 사고문제, 주의집중, 비행, 공격성, 내재화, 외현화척도에서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군과 가해여부의 상호작용효과 검증결과에서는 유의한 상호작용을 보이는 척도는 없었으나 각 집단의 모든 척도에서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으며 불량행위군의 경우 가해자군일수록 비행, 공격성, 외현화 척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학생군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 비행, 공격성, 외현화 척도에서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기개념 척도는 불량행위군의 경우 행동, 지적학업척도에서 학생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불안, 인기척도는 학생군에서 불량행위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전체 대상군을 가해자군과 비가해자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행동, 지적학업척도는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여주었으며 각 군과 가해여부의 상호작용검증결과에서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보인 것은 없었으나 두 군 모두 행동척도가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결 론 : 불량행위군과 학생군에서의 폭력가해자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에서는 비가해자와 유사한 특징을 가지나 각자의 내재된 심리상태와 정신병리에 따라 폭력 영상물과 음주 흡연의 가능성증가 그리고 가정에서의 폭력의 학습 등 주변의 위해 요인에 가해자군이 비가해자군에 비해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학교폭력에 대한 대책수립 시 결과에만 초점을 맞춘 처벌 위주의 방식에서 벗어나 이들이 가진 심리적 특징과 정신병리를 이해하고 그에 따른 예방적인 대책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violence, self concept, psychopathology 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male aldolescent delinquency doing school violence. And we hoped to use this result as basic material for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through comparison of those of students group. Method : We surveyed 725 male adolescents including 331 deliquents from educational program called "Big Brothers and Sister" in Pusan. We us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 composed of demographic data and attitude to viole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sychopathology and self-concept, we used Child Behavior Check List, Youth edit, Korean version(CBCL) and the P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were Chi-square, t-test, two-way ANOVA. Result : The results show that in most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factor including age, education, socio-economic condition, religion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linquent and student gr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ully and non-bully in both group. The frequency of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were higher in bullying groups. For the feeling of watching violent mass-media, bullying delinquents reported more excited state than non-bullying delinquents in both group. On results of CBCL, subscales of delinquent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externalizing problem, social scale in delinquen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student group. Subscale of somatic complaints, thought problem, attention problem, delinquent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internalizing problem, and externalizing problem in bullying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nonbullying group. In both delinquent and student group, subscale of delinquent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and externalizing problem in bullying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nonbully group. In the results of self-concept scale, subscales of behavior, intellectual and school status in delinquent group were lower than those in student group. Subscale of somatic complaints, thought problem, attention problem, delinquent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internalizing problem, and externalizing problem in bullying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nonbully group Conclusion : In both delinquent and student groups, most psychosocial factors in bully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ose in nonbully group. Bully group was more influenced by internal psychic state, psychopathology and environmental factor than nonbully group.

      • Mirtazapine 사용과 연관된 고혈당증 환자 1례

        홍영재,박지도,김정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1

        Mirtazapine은 고전적 우울증 치료제의 부작용과 독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도로 개발된 여러 가지 약제들 중 하나로 α2-noradrenergic 자가수용체와 이종수용체에 대한 길항작용을 함으로써 norep-inephrine과 serotonin의 신경전달을 항진시켜 항우울 효과를 나타내며 흔히 진정, 체중증가, 현기증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Mirtazapine 사용과 연관되어 고혈당증이 발생하였다가 약물투여 중지이후 혈당이 정상으로 회복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향후 고혈당증이나 당뇨병을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을 투여하는 환자에서는 당뇨병에 대한 전반적인 검사 및 약물투여 기간 동안에 혈당에 대한 주의 깊은 추적검사가 시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Mirtazapine- a newly developed drug with reduce adverse effects and toxicity of original antidepressants- has been known to have antidepressant dffect by enhancing the transmission of norepinephrine and serotonin via blockade of α₂-noradrenergic autoreceptor and heteroreceptor and to have common side effects such as sedation, weight gain, and dizziness. We report a case of 50 years old female depressive patient who developed mirtazapine-associated hyperglycemia during treatment with mirtazapine and returned to normal glucose level after stopping the usage of mirtazapine. In patients who receive drugs with the risk of hypergly cemia and diabetes mellitus, we should consider the evaluation for diabetes mellitus and follow it up carefully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