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통 관리자의 개인적 특성(Personal Traits)과 감정 관련 변수가 다중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정근(Jungkun Park),Brian M. Rutherford,유원상(Weon Sang Yoo),이영희(Younghee Lee) 한국유통학회 2011 流通硏究 Vol.16 No.4

        본 연구는 미국의 유통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개인적인 특성 요인과 감정 관련 변수들이 일곱 가지 영역으로 분류된 직업 만족도 (관리, 직무, 회사 정책, 승진, 급여, 동료, 고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객과의 직접 대면이 많은 업무의 특성을 지닌 유통산업에서는 고객 접점에 있는 직원 뿐 아니라 관리자들에게도 감정 소진이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없이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감정의 소진은 직업 만족도의 7 가지 영역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적 특성이 감정 필요에, 감정 소진이나 감정 필요가 직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비스 접점 위치에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연구한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유통 서비스 산업의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고, 개인적인 특성을 세 종류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을 뿐 아니라, 직업 만족도 역시 7 가지 구성 요소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선행 연구들과 차별화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날로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져 가고 있는 유통 기업들이 서비스 경영의 핵심 요소인 내부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내부 마케팅 방안을 마련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유통 업체들은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개인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관리를 통하여 관리자들의 감정 필요나 소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도 논의되었다.

      • KCI등재

        『십이야』에 나타난 ‘차이’와 ‘정동’의 희극성

        박정근(Jungkun Park)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2 셰익스피어 비평 Vol.48 No.4

        Shakespeare’s Twelfth Night deals with the typical subject of romantic comedy such as fertility, reconciliation and harmony as well as the functional relation between desire for power and sexual desire in human life. Shakespeare tries to show that western society, with the arrival of Renaissance, entered the era in which the structure of economy and social status were changing and faced the fear of social fluidity, and that the relation of men and women changed through the mediation of idealistic marriage. That is to say, many people of middle class standing started to dream the promotion of social status by using the social fluidity of the Renaissance. Two characters can be contrasted in the viewpoint of 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in this work. Malvolio tries to fulfill the desire for power and sex through the coupling with Olivia even in daydream and by using distorted literal translation of the letter. In this process he imitates the images of high class prominence such as Olivia so that he just remains in monotonous repetition of them. Eventually he is forced to be isolated and punished by showing his hidden desire for her, explicated by Sir Toby. Sir Toby, as a deputy of power, strives to punish him into imprisonment, the punishment as Foucault’s concept, for which Malvolio announces his revenge to the community. In spite of Olivia’s asking for his understanding and forgiveness, he cannot transfer to good emotion on the border line between reconciliation and revenge. He enters into an ugly situation over the limit of revenge spirit, so that he cannot transfer to good emotions of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for the community by which he was punished. In contrast, Viola creates the difference by differentiating herself into various images through disguise into male person and unmasking as her strategy of survival. In addition, she leads Olivia and Orsino to overcome the sameness and to create the differences through ‘good meeting’ of Deleuze. Accordingly Olivia can escape from excessive sadness from her brother’s death through the meeting with Cesario(Viola) and comes to love Sebastian. Also, Orsino comes to marry Viola by overcoming his narcissism in loving Olivia. Sir Toby overcomes social status to marry Maria and shows mild attitude later about the punishment of Malvolio. In the end, Viola’s ensuing results in marriage with Orsino after her unmasking, by which the form of romantic comedy, endangered by the announcement of revenge, can be maintained even incompletely by restoring the comic vision.

      • 서비스 브랜드 확장에 관한 연구

        박정근(JungKun Park),임천보(Ren TianBao),김경영(KyoungYoung Kim),현효원(Hyowon Hyun) 한국유통학회 2017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4

        Purposes-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서비스 브랜드에서 확장된 제품 브랜드의 구매의도와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Methodology-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6 가지 주요 구성 요소가 연구 모델에 포함하였으며, 서비스 브랜드가 확장 된 제품 브랜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으며, Amos 20.0 을 활용하여 구조 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Findings- 충성도 transfer 이론을 통해 서비스에서 제품으로의 확장이라는 다중 모델분석을 분석하여 소비자 구매의도와 프리미엄 가격으로 지불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서비스 브랜드의 품질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 를 제외한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으며, Social influence 와 Service stickiness, Emotional attachment가 제품브랜드와 서비스브랜드 간 loyalty transfer 에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Originality/Value-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에서 이루어지지 않은 서비스 브랜드에서 제품 브랜드로의 확장에 관한 연구이며, 그 차별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브랜드의 충성도가 확장된 제품브랜드의 충성도 의도로 transfer 되는 과정에 조절효과를 보이는 변수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확장된 제품브랜드의 구매의도와 프리미엄 가격 지불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셋째, 확장된 제품브랜드의 구매의도가 프리미엄 가격 지불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실제 지불 의사에 대한 구매의도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의 차별성을 둔다. Limitation/Future Research- 첫째, 본 연구는 200 개의 표본만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향후 표본수의 확대가 필요하며 둘째, 서비스에서 제품으로의 확장 관계를 연구하였으나 추후 서비스에서 서비스로 확장된 브랜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면 새로운 비교연구가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유통산업 상하위직 종사자들 간의 감정흐름에 관한 연구

        박정근(JungKun Park),이영희(Younghee Lee),유원상(Weon Sang Yoo) 한국유통학회 2013 流通硏究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통산업에 종사하는 관리자와 접점 직원 감정의 구조적인 관계를 파악하여 감정노동의 해결을 통한 직원의 직무성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전략 수립과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의 만족도와 기업의 성과를 높이는 데 필요한 이론적 실무적 기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유통산업 관리자의 감정노동, 감정소진, 직업만족과 고객 접점 직원의 감정소진, 직업만족, 직무성과 분석을 통하여 유통산업 종사자들의 감정의 흐름을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실증 분석을 위해 국내 유통산업에 종사하는 관리자 233명과 접점 직원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조 방정식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접점 직원들의 직무성과는 접점 직원들의 직업만족에 영향을 받고, 이들의 직업만족은 이들의 감정소진에 영향을 받는다. 여기서 접점 직원들의 감정소진과 직업만족은 그들의 상위 관리자들의 감정소진과 직업만족에 각각 영향을 받고, 관리자들의 직업만족은 이들의 감정소진에, 관리자들의 감정소진은 이들의 감정노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도 함께 논의되었다.

      • KCI등재

        기업의 공익활동과 공익연계 마케팅이 제품 구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정근 ( Park Jungkun ),유원상 ( Yoo Weon Sang ),이영희 ( Lee Young Hee ),현효원 ( Hyun Hyowon ) 한국경영공학회 2017 한국경영공학회지 Vol.22 No.1

        Despite the recent economic recession, firms`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receives more and more attention.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 firm`s CSR and Cause-related marketing activities on the Word-of-Mouth (WOM)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process, the role of consumer trust on the firm is also investigated. Based on the literature, we hypothesize that consumer trust on a firm is influenced by consumer perception on CSR and cause-related marketing and their perceived need for those activities. 250 Korean consumers were surveyed, and their respons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for empirical validation of the hypotheses. The results show that consumers who perceive more need for CSR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 on CSR.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consumer trust on a firm has positive impact on their WOM and purchase intention. Finally, the results confirm that consumers` positive WOM increases the purchase intention. Implications for academicians, managers, and policy makers are discussed.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also addressed at the end of the paper.

      • KCI등재

        패션 브랜드 콜라보레이션의 제품속성이 지각된 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학습이론을 중심으로

        현효원(Hyun, Hyowon),박정근(Park, JungKun),김현진(Kim, Hyun-jin)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4

        최근 브랜드 차별화를 위한 전략 중 하나로 브랜드 콜라보레이션이 산업계의 관심을 받고 있다. 브랜드 콜라보레이션이란 각기 다른 분야에서 잘 알려진 둘 이상의 브랜드가 함께 새로운 브랜드나 소비자를 공략하는 마케팅 활동으로, 개별 브랜드 간 상호 보완의 수준을 넘어 새로운 가치를 융합하고 창조해내는 생산적 콜라보레이션의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종(異種)의 패션 브랜드 콜라보레이션의 내재적 속성, 외재적 속성이 지각된 가치 형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더불어, 브랜드 간 적합도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콜라보레이션 제품의 내/외재적 속성이 지각된 가치 형성과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브랜드 간 적합도는 내재적 속성과 구매의도의 관계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별 브랜드에서 실효성 있는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올바른 협업 방향을 제안한다. As one of the strategies for brand differentiation, brand collaboration has recently gained attention from many industries. Brand collaboration refers to a marketing activity of two or more well-known brands of different fields targeting consumers or a new market. Brand collaboration is advancing into a type of productive collaboration that creates and converges new consumer values beyond the mutual complementation among individual brands.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plore the influence of intrinsic and extrinsic attributes of fashion brand collaboration of different kinds on the perceived value formation and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fit between two brands (e.g. collaborator and collaborate).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intrinsic and extrinsic attributes of the collaboration produc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ceived value formation and purchase intention. Moreover,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the perceived fit between bra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basic foundation for establishing effective brand collaboration strategies for individual brands and suggests a proper direction of collaboration.

      • KCI등재

        디지털 시대 브랜드 옹호의 선행요인에 대한 연구

        장운덕(Chang, Woon Deog),박정근(Park, Jungkun)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6

        브랜드 옹호는 인터넷, 모바일 등이 발달한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고객을 확보하거나 기존 고객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 옹호를 이끌어내기 위한 메커니즘을 밝혀내기 위해 서비스 지배 논리의 가치공동창조, 관계마케팅의 브랜드 만족도, 매개변수로서의 브랜드 동일시를 결합하여 브랜드 옹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브랜드 옹호가 소비자의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인 관계 형성의 결과물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브랜드 진정성을 연구모델에 통합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가치공동창조가 브랜드 만족도를 거쳐 브랜드 옹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 만족도의 브랜드 옹호에 대한 관계에 부분매개 효과를 보였다. 브랜드 진정성 역시 브랜드 옹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전체적인 연구모델의 예측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고객과 진정성 있는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비자의 브랜드 옹호를 이끌어낼 수 있으며,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업이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을 추진함에 있어 AI가 분석한 패턴에 주로 의존함으로써 자칫 놓치기 쉬운 고객과의 진정성 있는 상호작용이 무엇보다도 중요함을 일깨워준다. Brand advocacy is known to be effective in recruiting new customers or retaining extant customers in the digital age when the internet and mobile devices are develop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n brand advocacy by combining value co-creation of service dominant logic, brand satisfaction of relationship marketing, and brand identific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to develop the mechanism for drawing brand advocacy.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brand advocacy is the result of form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brand of consumers,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by integrating brand authenticity into the research model. As a result, value co-cre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dvocacy through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identifica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satisfaction and brand advocacy. Brand authenticity was also prove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advocacy, and the predictive power of the overall research model was found to be good. This suggests that companies can build positive relationships by authentic interactions with customers, which can lead to consumer brand advocacy, and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through interaction with customers.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remind companies that authentic interactions with customers, which are likely to be missed, are of utmost importance as they rely mainly on the patterns analyzed by AI in pursuing digital transformation.

      • 서비스에서 상품 브랜드로의 확장시 고비용 지불용의에 대한 소비자 연구

        현효원(Hyun, HyoWon),박정근(Park, JungKun),김현진(Kim, HyunJin) 한국유통학회 2017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4

        본 연구는 서비스 브랜드의 상품 브랜드로의 확장을 통해 확장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고비용 지불용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비스 브랜드에 대한 변수는 서비스 품질, 서비스 만족, 사회적 영향, 구전 커뮤니케이션으로 구성하였고, 확장된 제품에 대한 변수는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친밀도, 브랜드 몰입도로 구분하여 각각 변수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 성인소비자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모형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정결과 서비스 브랜드의 만족에 서비스 품질과 사회적 영향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확장된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몰입도가 확장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고비용 지불용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서비스 브랜드의 품질이 만족의 선행요인이 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최근 사회변화와 함께 등장한 SNS(Social Network Service)등을 통해 이뤄지는 사회적 영향이 서비스 만족 형성에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을 시사한다. 더불어, 확장된 브랜드의 인지도와 몰입도가 소비자의 고비용 지불용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기업은 긍정적인 브랜드 인지도와 몰입도를 구축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브랜드 확장 전략수립에 이용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확장된 브랜드의 브랜드 자산이 소비자의 고비용 지불용의에 미치는 영향

        현효원(Hyun, HyoWon),박정근(Park, JungKun),김동엽(Kim, Dongyoup) 한국유통학회 2019 流通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서비스 브랜드가 제품 브랜드로 확장하는 데 있어 모 브랜드 차원에서의 성공 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성공요인들이 확장된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모 브랜드의 서비스 특성, 확장된 제품 브랜드의 자산형성, 확장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로 구성된 세 구조로 나누어 검증하였다. 모 브랜드의 서비스 특성은 서비스 품질, 서비스 만족, 사회적 영향, 구전효과 등의 변수로 구성하였고, 확장된 제품에 대한 변수는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친밀도, 브랜드 몰입도의 변수를 차용하여 각 변수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국내에 거주하는 성인 소비자 2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연구모형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정결과 모 브랜드에 대한 만족에 서비스 품질과 사회적 영향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확장된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몰입도가 확장된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고비용 지불용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비스 브랜드의 제품 브랜드로의 확장에 관한 소비자의 태도를 검증하였다는 데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보이며, 제품에서 제품 브랜드로의 확장에 관한 연구에 다소 치중되었던 관련 연구의 범위를 확장 하였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모 브랜드 자산의 이전과 별개로 확장된 브랜드만의 브랜드 자산 형성의 중요성을 확인함으로써 마케팅 담당자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의 다차원적 인지된 혜택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현효원(Hyun, HyoWon),박정근(Park, JungKun),이상우(Lee, SangWoo),김진선(Kim, JinSeon),박지선(토론자) 한국유통학회 2019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4

        본 연구는 새로운 지급결제 방식인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의 인지된 혜택이 서비스에 대한 구전형성과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의 인지된 혜택을 단일 변수가 아닌 다차원적인 변수를 채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인지된 혜택을 실용적 혜택(편리성, 경제성, 정보성)과 유희적 혜택(즐거움, 경험성, 인식성)으로 나눠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모바일 간편 결제서비스를 경험해 본 적 있는 미국 내 성인 소비자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모형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의 편리성, 경제성, 즐거움은 서비스의 긍정적인 구전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용의도에는 유희적 혜택인 인식성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에 대한 구전은 사용의도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와 같은 신기술이 적용된 서비스의 도입 초기에는 이용 방식의 생소함이나 보완성에 대한 염려로 인해 서비스가 주는 물리적 혜택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최근 강력한 마케팅 효과를 보이는 소셜 네트워크 채널을 활용하여 서비스가 제공하는 실용적/유희적 혜택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이는 관련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확장함과 동시에 소비자의 자발적 구전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