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가정방문간호의 현황과 향후 과제

        박은옥,Park, Eunok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2019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4 No.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방문간호, 의료기관의 가정간호사업 등 가정방문간호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과정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각 가정방문간호사업의 관련 법령, 통계자료, 지침과 안내서, 연구논문과 학술대회 자료집 등을 검색하여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은 지역보건법에 근거하여 주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간호사에게 의해 비용부담 없이 제공되고 있으며, 2017년 12월을 기준으로 1,261,208명 등록 관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등록 대상자는 흡연율, 걷기 실천율, 혈압조절율, 혈당조절률 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행위와 질병관리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고, 비용-편익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의 방문간호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근거하여 간호사 또는 간호조무사에 의해 재가장기요양기관에서 방문간호를 제공하고 있으며, 시간당 정해진 수가에 따라 비용을 받고 있는데, 2017년에 전체 요양급여비의 0.2%만이 방문간호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가장기요양보험 방문간호 이용자는 비이용자에 비해 의료비도 더 적게 쓰고, 입원일도 적다고 보고되었다. 의료기관 가정간호는 의료법에 근거하여 2명 이상의 가정간호사(가정전문간호사)를 고용한 의료기관에서 의사의 처방 하에 가정간호서비스를 제공하는데, 2017년 460명의 가정간호사가 가정간호서비스를 제공하고, 전체 의료비의 0.038%가 가정간호비용으로 지불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가정방문간호 유형은 관련법이나 인력, 사업 대상이 다르지만, 서비스 이용자의 건강관리에 효과가 있고, 비용-편익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가정방문간호를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 세 개 유형의 가정방문간호 서비스가 통합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근로 조건의 개선, 가정방문간호서비스 제공인력기준이나 방문간호수가 체계의 개선과 같은 법령의 개정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Objectives: We searched and reviewed the literature including the laws or acts, statistics, guidelines, papers and conference proceedings related to home visit nursing care in South Korea. Method: We searched and reviewed the literature including the laws or acts, statistics, guidelines, papers and conference proceedings related to home visit nursing care in Korea. Results: There are three types of home care nursing in Korea. Public health center provides home visit nursing to vulnerable population by registered nurses for free, based on community health act in public health center. As of 2017, 1,261,208 people were enrolled in the visiting health program of public health center. Health behavior and disease management has been improved and showed having cost-benefit effect among the enrolled people in visiting health program. Visiting nursing care in long-term care services is provided by registered nurses or nurse aid, based on long-term care act. The cost is paid as the unit price according to service time. 1,095,764 older people used long-term care services in 2017, only 0.2% of total cost used for home visiting nursing. Even though the number of user of home visiting nursing, it was reported that users spent less medical cost and hospitalized shorter. Hospital-based home care nursing is provided to patients and their families under the prescription of a doctor by family nurse specialists who are employed by medical institute based on medical law. Four hundred sixty family nurse specialists worked for hospital-based home care nursing and hospital-based home care services accounted for 0.038% of total medical expenses in 2017. Conclusion: Even though home visit nursing care services are different in aspect of legal basis, personnel, running institutes, and cost basis, home visit nursing care showed cost-benefit effect and good health outcomes. In order to advance home visit nursing care, the integrated home visiting car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 and revision of legal basis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국제중재에서 중재대리인의 윤리규정에 관한 연구 – IBA 지침과 LCIA 중재규칙을 중심으로

        박은옥(Eunok PARK) 한국무역상무학회 2020 貿易商務硏究 Vol.85 No.-

        한 국가의 사법권을 배제하고 분쟁 당사자들이 합의한 절차에 따라 자치적으로 분쟁을 해결하는 제도인 중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관련 당사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결과에 대한 이행이다. 이러한 분쟁당사자를 대신하여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중재에 참여하게 되는 중재대리인의 경우 자신들의 역할을 이행하는데 있어 진실성과 성실성을 바탕으로 한 윤리적인 행위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중재대리인의 비윤리적인 행위는 중재절차가 진행되는 것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중재판정의 취소나 승인ㆍ집행의 거절이라는 결과까지도 초래하여 중재라는 사적분쟁해결제도의 가치를 훼손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국제중재에서 중재대리인의 윤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들을 위한 통일된 윤리규정이 필요한지, 그리고 이러한 윤리규정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를 하고 런던국제중재법원 중재규칙과 세계변호사협회 중재대리지침서 내의 중재대리인의 윤리규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Arbitration is one of private dispute resolution systemswhich exclude judicial litigation and try to settle a dispute through the procedure agreed between contracting parties. As it starts fromthe agreement of parties,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during the arbitral proceedings and execution of decision are really crucial in arbitration.With importance of parties’ conduct and behavior in arbitration, when parties participate in arbitration through their representatives, their ethics for a good faith and integrity aremore important than anything. Representatives’ unethical behavior may obstruct arbitral proceedings and furthermore, result in setting aside of an arbitral award aswell as non-recognition or non-execution of an arbitral award. If these happen repeatedly, theywill defame the value of arbitration,which has recognized as an effective private dispute resolution system, especially in international arbitration.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what the ethics of representatives mean,why the internationally unified code of ethics for representatives needs, and how these codes can be used in practice. Also, it analyzes relevant provisions in LCIAArbitration Rules (2014)with its Annex(General Guidelines for the Parties’ Legal Representatives) and those in IBA Guidelines on Party Representation in International Arbitra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등재

        한국 성인의 사회경제적 취약성과 우울

        박은옥(Park, Eunok) 한국보건사회학회 2020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55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취약성과 우울과의 연관성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30-64세 성인을 대상으로 이차분석을 수행하였다. 복합표본설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회경제적 취약성은 교육수준, 거주지역, 소득수준, 식생활형편, 주택소유, 기초생활수급권자 여부, 1인 가구 여부 등이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우울 유병율은 성, 연령, 결혼상태를 보정한 후에도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Odds Ratio 4.32, 95% CI 2.35~7.96). 교육수준과 주택소유여부, 개인 소득 수준, 가구 소득수준, 식생활 형편, 기초생활수급권자여부, 1인 가구 여부 등에 따른 우울 유병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각 변수에서 취약한 집단의 우울 유병율이 더 높았다. 결론: 사회경제적 취약성은 우울 위험을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있어서 건강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 다차원적인 사회경제적 취약집단에 초점을 맞춘 우울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우울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불평등기전을 이해하기 위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socioeconomic vulnerability and depression. Methods: This study is a secondary analysis using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Participants aged 30-64 years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and the sampling weights were applied. Socioeconomic vulnerability index consisted of education, income, residential area, house ownership, food living condition, and basic livelihood recipient. Result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higher in socioeconomic vulnerable group than counter group (Odds Ratio 4.32, 95% CI 2.35~7.96) after adjusting gender and marital status. The findings showed that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education level, individual income, family household income, housing, food living condition, basic livelihood recipients, and living alone. Conclusion: Socioeconomic vulnerability was related to the increased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Targeted intervention programs for vulnerable population to reduce depressive symptoms might need to be developed and applied for this vulnerable population. Further researches are also needed to develop and evaluate instrument to measure socioeconomic vulnerability index and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inequality in depression.

      • SSCISCIE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 SSCI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