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땅속 작물 수거기의 토양접촉 수거부 재질선정

        박대천 ( Dae-cheon Park ),이선영 ( Seon-young Lee ),강대식 ( Dae Sik Kang ),이충호 ( Choong Ho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땅속작물을 수집하는 과정부터 집하과정까지 연속적으로 작업하며 땅속작물 수거기의 토양접촉을 고려한 토양접촉부 재질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재질은 천연고무(NR), 스틸렌부타디엔(SBR), 니트릴부타디엔(NBR) 총 3가지 재질에 대해서 진행하였다. 구속조건은 고무판 축에 설정하였으며 하중은 셔터부분의 흙 중량과 작업폭 안에 있는 양파의 질량을 고려하여 한 셔터 당 약 37N의 힘을 부여하여 4개에 대해 148N을 설정하였다. 해석결과 천연고무의 최대 폰미세스 응력은 2.1MPa, 변형률 에너지는 3.55N.m, SBR의 최대 폰미세스 응력은 2.1MPa, 변형률 에너지는 3.49N.m, NBR의 최대 폰미세스 응력은 2.11MPa, 변형률 에너지는 3.53N.m로 도출되었다. 최대 폰 미세스 응력은 NBR>SBR=NR 의 크기순으로 나타났으며 변형률은 NR>NBR>SBR 순으로 나타났다. 고무가 작물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고 사료되며 SBR 재질의 변형률이 가장 낮아 작물을 끌어올리는 힘을 가장 크게 낼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최대 폰 미세스 응력이 작기 때문에 고무의 피로도도적을 것으로 사료된다. 원가 측면에서도 SBR이 NBR과 가격이 비슷하나 물성이 우수하고 천연고무보다 60% 원가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재질에 따른 수거율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양파의 손상에 대한 땅속작물 수거기의 수거부 동적해석

        박대천 ( Dae-cheon Park ),이선영 ( Sun-young Lee ),이충호 ( Choong Ho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땅속작물을 수거하는 과정에서 사람이 직접 수거하는 작업은 신체적, 시간적으로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작물에 상처를 입히지 않으며 안전하게 수거하는 수거기의 동적 시뮬레이션 검토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토양에서 고무 재질의 수거부가 양파나 감자 등의 땅속작물을 수거하는 작업에서 접촉을 통해 손상을 끼치는지에 대해 동적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우선 수거기의 회전 수거부만을 단순화 시켜 Recurdyn을 통해 해석을 진행하였다. 양파와 토양을 대체하여 particle 기능을 통해 물성치를 입력해 구현하였으며 작업 속도는 0.2m/s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해석결과 수거부 고무패드가 토양과 양파를 끌어올릴 때 최대 접촉 힘이 71N로 도출되었으며 양파가 토양에 부딪히는 힘은 평균 22N으로 도출되었다. 양파에 71N의 힘이 작용할 때 A=2.6[71N(1-0.1021)<sup>2</sup>0.05/1.1998]2/3은 0.000125㎡이며 허용응력은 0.56Mpa로 계산되었으며 양파에 대한 최대 폰 미세스 응력은 0.05Mpa로 도출되어 수거기에 의해 끌려오는 양파의 손상은 미미할 것으로 사료된다.

      • 친환경 비닐 피복 복합 파종장치의 구속조건에 따른 메인프레임 해석

        박대천 ( Dae-cheon Park ),정창환 ( Hwan Chang Jung ),이충호 ( Choong Ho Lee ),김범주 ( Ju Beom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재배기술의 복잡한 단계를 축소하여 작업시간 단축과 비용절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복합 작업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로터베이터 날 사이에 제초날을 추가하고 비닐피복기를 장착하여 경운과 동시에 비닐피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과 더불어 생분해 되는 비닐에 종자를 정렬 후 비닐피복과 종자를 바로 파종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로 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제품개발에 필요한 파종장치의 메인 프레임 해석을 수행하였다. 트랙터에 고정되어 있는 로터베이터의 정적하중이 메인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였다. 해석수행에 있어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트랙터에 고정시킬 링크부와 하중에 영향을 받는 메인프레임만 남아있도록 단순화 하였다. 해석에 있어 로터베이터의 재질은 SS41P로 일반구조용 압연강재를 사용하였고 복합 파종장치의 무게가 약 1000kg인 것을 감안하여 정적하중의 힘은 9800N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트랙터와 연결하는 링크부를 두점과 세 점에 구속을 각각 적용하고 로터베이터의 무게가 작용하는 방향으로 메인 프레임에 9800N의 하중을 적용하였다. 그 후 SolidWorks S/W를 통해 해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2점 구속으로 트랙터에 연결 되어있을 때 메인 프레임에 미치는 최대 폰 미세스 응력은 85.34로 안전계수는 2.7로 나왔고 3점 구속으로 트랙터에 연결되어 있을 때 메인 프레임에 미치는 최대 폰 미세스 응력은 21.37로 안전계수는 10으로 계산되었다. 메인 프레임에 미치는 정적하중에 대한 해석결과 2점 링크보다 3점 링크가 작업이나 이동시에는 큰 차이로 보다 더 안전하며 작업 시에 파편이나 회전 날의 충격에도 메인 프레임에 있어서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 다목적실용위성 영상 요구사항에 따른 MTFC 적용

        박대순(Dae Soon, Park),서유경(You-Kyung, Seo),신광수(Kwang Soo, Shin),정재헌(Jae Heon, Jung),서두(Doo Cheon, Seo),이동한(Dong Han, Lee) 한국측량학회 2017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7 No.4

        위성기술의 고도화가 진행됨에 따라 고해상도 위성영상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사례들이 점점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위성영상을 배포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맞게 제공 될 수 있도록 위성 영상의 단계별 품질요소를 정의하고 있다. 이 중 공간품질측면에서 공간품질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정량적 파라미터들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Spatial filter를 적용하는데 있어 요구사항에 따라 설계할 때, 언급된 성능 파라미터들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re increasingly utilized in many fields as growing satellite technology. According to those circumstance, most of satellite image distributor define its quality factor processed by step for meeting user’s requirements. Among those parameters, there are some quantified values representative spatial quality. In this paper, we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parameters given requirements when applying MTFC to KOMPSAT Image.

      • CFD에 의한 식품 고속분쇄기 회전영역설계

        정창환 ( Chang-hwan Jeong ),박대천 ( Dae Cheon Park ),이선영 ( Seon Yeong Lee ),박건수 ( Gun Soo Park ),이충호 ( Chung Ho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초미분 분쇄기술은 원물의 영양을 100%에 가깝게 섭취할 수 있고, 가공시간 단축 및 가공을 위한 소비도 적어 미래의 식품가공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본 기술의 확보를 통해 건강 기능성 소재인 대두 분쇄 작업에서의 유지분, 수분 및 식이섬유가 다량 함유한 식품소재의 미세화 문제점을 최소화하는 분쇄기술을 목표로 삼고 있다. 본 연구에서 Solidworks를 통해 분쇄기 Input에서 회전 영역을 통해 Output으로 나가는 CFD 유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원활한 해석 수행을 하기 위해 분쇄기 3D 모델링 단순화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유동 전처리 단계에서 프로젝트의 생성을 위한 일반적인 기본 조건 및 구체적인 특이사항을 부여하였다. 해석 유형은 외부 유동으로 설정하였으며, 분쇄부 작업 방향으로 7200rpm의 회전 영역 및 유동 유체를 공기로 설정하여 프로젝트 공간을 생성하였다. 분쇄부 Input 면에 경계조건을 실제 벽(Stator)을 대입하여 유동해석을 수행하였다. CFD 유동 시뮬레이션 결과 유동 궤적이 경계조건 Input에서부터 회전(7200rpm)영역 임펠러 및 회전 날개 1,2를 지나 Output으로 나가는 유동 궤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속도 형상 및 압력 형상 플롯을 도출한 결과 설정한 최대 속도(287.956m/s) 보다 미흡한 속도 (47.993m/s) 이하 입자유동이 도출되어서 속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고, 최대압력 플롯은 78MPa이 도출되었으며 1회전 날 끝부분에 나타나기에 전체적으로 보면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분쇄기 재질인 스테인리스 304의 항복강도(215MPa) 기준 안전계수 2.8를 도출하여 분쇄기 설계변경을 진행할 때 영향을 미친 회전 날 끝부분에 반영을 하면 분쇄 작업을 할 때 안전하다고 사료된다.

      • 땅속 작물 수거기 동력전달장치 설계

        이선영 ( Seon-young Lee ),박대천 ( Dae-cheon Park ),강대식 ( Dae Sik Kang ),이충호 ( Choong Ho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땅속 작물 수거기가 지면 위의 작물을 수거하기 위해서는 수거가 이루어지는 속도와 기계의 주행속도가 적절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수거기의 주행 변속은 전진 2단(0.20m/s, 0.61m/s), 후진 1단으로 설계되었으며 동력전달은 기어체인과 벨트풀리를 사용한다. 그림과 같이 수거기의 동력전달장치는 6개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축을 연결하여 수거회전 부분과 컨베이어 부분으로 동력이 전달된다. 본 연구는 구간별 동력에 대해 설계를 진행하였다. 수식을 통해 구간별 평균속도와 최대, 최소속도를 정의하고 속도 변동률을 도출하였다. 전달힘에 따라 동력을 산출하고 수식으로 정리한 전달 동력은 2.3kw로 기계적 손실을 고려하여 2.5kw 이상의 동력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출된 결과값은 땅속 작물 수거기의 제작에 적용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하중에 따른 속도 분석을 수행하여 부하되는 하중에 대한 최적화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땅속뿌리작물수거기 부품 구조해석

        이선영 ( Soen Young Lee ),박대천 ( Dae Cheon Park ),이충호 ( Choong Ho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기존 작물의 수집은 관행적인 인력 수집작업에서 생산성 향상 및 영농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밭작업기 기계화로 변화되는 추세이다. 수거기를 이용하여 작물이 수집 및 집하되는 과정을 이해하고 발생되는 다양한 영향에 대해 안전성 검토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땅속뿌리작물 수거기 부품의 구조해석을 통해 안전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개발하기 위한 부품의 회전수거 및 컨베이어 고정부와 컨베이어 연결부의 조립품에 대한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부품은 알루미늄6061 재질로 지정하였다. 지면의 흙과 작물의 하중을 대략 800N으로 가정하여 결합부에 따라 구속조건을 설정하고 정적해석을 진행하였다. 해석결과 그림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폰미세스 응력이 60.52MPa로 안전계수 4.54가 도출되었다. 이는 정적해석 안전계수 3에 정합한 수치로 구조적으로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땅속뿌리작물 수거기 부품의 적절한 재질 선정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결과에 따라 부하되는 하중을 확인하고 내구성과 안전성을 확보하여 땅속 뿌리작물 수거기의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