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발음 입출력기를 위한 합성어에서 경음화 유형의 분류

        민정식 ( Min Geong-sik ) 택민국학연구원 2017 국학연구론총 Vol.0 No.19

        한글은 맞춤법만으로는 낱말뿐만 아니라 문자열의 정확한 발음을 알 수 없다. 이 어려움을 해결하려면, 컴퓨터 입출력장치를 개발하여 한글을 단말기에 입력하면 발음방식이 곧바로 완벽하게 출력되게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한글이 입력되면 발음 방식이 자동으로 출력되는 한글발음 자동 입출력기를 만드는 과정을 위하여 입력된 두 글자의 음운변동의 과정은 28개의 종성과 19개의 초성의 변화일 것으로 사료되어 28*19 = 532개의(종성, 초성) 쌍을 또 다른 (종성, 초성) 쌍으로 바꾸는 `기본변동표`가 최근 만들어졌다. 이 표에 의하여 자동 음운 변환을 컴퓨터 실험에 성공하여 자동 입출력기의 제작을 현실화하는 기반이 구축되었다. 하지만 기본변동표에 의한 발음 방식이 실제 발음과 같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는 불규칙한 현상이 여전히 상당하게 존재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을 갖는다. 본고의 목적은 기본변동표를 기본으로 하는 음운변환의 결과가 표준발음법에 의한 발음방식과 일치하지 않은 문자열들에 대하여 해결 방법을 제시하여 완벽한 한글발음 입출력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다. 최근 모음과 관련된 표준발음법 15항과 29항에 대한 발음의 불규칙현상 문제가 완벽하게 해결되었다. 그러나 모음과 관련된 불규칙현상 문제는 해결이 되었지만 변화가 더욱 많은 경음화 현상의 올바른 출력방식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기본변동표에 의한 음운의 변화는 하나의(종성, 초성) 쌍에 대하여 하나의 (종성, 초성) 쌍 만이 배치되기 때문에 표준발음법 24항, 26항, 27항, 28항과 관련된 경음화 현상 등은 많은 변화가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용언 어간말 경음화에 해당되는 표준발음법 24항과 한자어와 관련된 표준발음법 26항, 그리고 관형어와 관련된 표준발음법 27항의 해결방법을 기술하여 입출력 장치를 위한 도움을 제시하였다. 더욱이 가장 난이도가 높다고 사료되는 관형격 기능을 지니는 사이시옷이 있어야 할 표준발음법 제28항의 경음화 해결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관형격 기능을 가지는 합성어의 유형을 3가지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등록해야 할 합성어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메모리 용량을 줄이고 발음 방식의 출력에 대한 오류를 최대한 줄이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었다. Hangul(Korean alphabet) cannot know the correct pronunciation of strings as well as words only by orthography. To solve the difficult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I/O unit to input Hangul and perfectly output a pronunciation method. `The basic change table` has been recently made to develop the I/O unit of Hangul pronunciation that a pronunciation method is automatically outputted immediately after Hangul is inputted. The phonetic change of two letters inputted is considered as the change of 28 final sounds and 19 initial sounds. In `the basic change table`, 532(28*19) pairs of (final sound, initial sound) are converted into another pairs of (final sound, initial sound). Using this table, automatic phonetic conversion succeeded in a computer experiment and the basis of realizing the making of I/O unit was built up. However, there is considerable irregularity where the pronunciation method by the basic change table is different from real pronunciation. It resulted in the need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olution for strings that the result of phonetic conversion based on the basic change table does not agree with the pronunciation by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and to develop perfect I/O unit of Hangul pronunciation. Recently, vowel-related pronunciation irregularity has been perfectly solved for the Clause 15 and 29 of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However, a problem of the correct I/O method for glottalization that has much more changes remains to be solved. Because one pair of (final sound, initial sound) is arranged only for another pair of (final sound, initial sound) in phonetic changes by the basic change table, glottalization associated with the Clause 24, 26, 27, and 28 of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has many changes. This study described solutions for the Clause 24 of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for the glottalization of verb stems, the Clause 26 of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for Sino-Korean words, and the Clause 27 of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for pre-nounal components to help the I/O unit. Furthermore, for the solution of glottalization of the Clause 28 of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pronunciation that should have - ㅅ(s)-(saisiot) of a pre-nounal function that is considered as the highest difficulty, the types of compounds with a pre-nounal function were divided into three. As a result, the number of compounds to be registered became minimized, memory capacity was reduced, and an output error of pronunciation method was minimized.

      • KCI등재후보

        한국어의 어미 검색 및 분류 방법론

        민정식 ( Geong Sik Min ) 택민국학연구원 2016 국학연구론총 Vol.0 No.17

        어미에 관한 학습은 한국어의 첨가어적인 특성을 잘 이해해야 한다는 점에서 학습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사전과 교재들이 있지만 학습자들이 스스로 자습하기에는 충분한 준비물이라고 할 수 없다. 그 이유는 수많은 어미의 뜻을 기억하고 문장의 어간과 어미와의 결합관계 등을 곧바로 알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급자들의 효과적인 우리말 교육을 돕기 위하여 문자열의 어간과 어미가 해설과 함께 자동으로 분해되는 컴퓨터 자동입출력기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논문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의 어미를 교수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학습자들이 혼자 학습하고 복습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조성해주는 컴퓨터 교육용프로그램 구축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어미와 조사는 연결된 문자열의 마지막에 위치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추구하는 자동 입출력기는 어미와 조사 모두에게 같은 방법으로 적용이 된다. 어미는 연결된 문자열의 마지막에 존재하고, 음절들로만 구성되어 있을 뿐만아니라 종성음소와 음절들이 혼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예) ‘거늘’ : 연결어미로서 음절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ㄴ들’ : 연결어미로서 음소와 음절들로 혼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한글 워드프로세서에서의 현재의 검색 기능만으로는 음소를 검색하는 방법은 없다. 한글은 초성, 중성, 종성 등의 3개의 음소가 한 음절을 이루는 모아쓰는 글자이기 때문에 어미의 일부가 어간의 음절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아서 현재와 같은 음절단위의 검색 기능만으로는 음소를 검색 할 수 없기 때문에 음소와 음절이 혼합된 어미를 찾을 수 없다. 위의 예에서 보듯이 ‘거늘’과 같이 어미가 음절들로만 구성 되어 있으면 검색이 가능하지만 ‘ㄴ들’과 같이 음소와 음절이 혼합되어 있으면 문자열의 어미를 구분하는 방법은 현재의 워드프로세서 기능으로는 불가능한 과제였다. 본 논문에서는 각 음절을 음소 단위까지 분해하여 종성이 무엇인가를 알아내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모든 어미를 음소 단위까지 문서에 등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 연결된 문자열이 입력되면 문자열의 뒷부분 음절들, 또는 각음절의 종성과 종성 이후의 음절들이 문서에 등록되어 있는 어미와 일치하는 가를 검색하는 방법을 보였고, 문자열로부터 어미를 구분하는 방법을 보이는 연구결과가 가능하였다. 예) 입력: 학생이 된다 출력: As learning an ending needs to understand agglutinative features of Korean language, it imposes a big burden on learners. Although there are dictionaries and teaching materials, they are not sufficient for learners`` self-study. It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remember many meanings of endings and immediately know the syntagmatic relation between stem and ending in sentences. In the sense, an automatic input/output(I/O) unit is necessary to automatically reduce a string to a stem and an ending with explanation for beginner’s effec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up an educational computer program that creates good conditions for learners to study and review by themselves to teach endings of Korean as foreign language. As an ending and a postposition are located in the end of a connected string, the automatic I/O unit of this study is applied in the same way to both an ending and a postposition. An ending is placed in the end of a connected string. It consists of only syllables or a final phoneme and a syllable. For example, ‘거늘 (geo-neul)’ is a conjunctive ending consisting of syllables and ‘ㄴ들 (n-deul)’ is a conjunctive ending consisting of a phoneme and a syllable. There are no ways to retrieve a phoneme in the present retrieval function in Hangul Word Processor. Because Hangul is a syllable-based letter that consists of initial, middle, and final phonemes, some of an ending is included in the syllable of a stem in many cases. Thus, the present retrieval function in a syllable unit cannot search a phoneme and also cannot find an ending that a phoneme and a syllable are mixed. As seen in the above examples, it is possible to retrieve an ending consisting of only syllables such as ‘거늘(geo-neul)’. However, when an function of a word processor cannot classify an ending from a string. This study suggested methods to understand what the final phoneme is by reducing a syllable to a phoneme unit and to enter phoneme units of all syllables in the document.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it was possible to retrieve whether the rear part of syllables or the final phoneme of each syllable and syllables after the final phoneme agree with endings entering in the document when a connected string is inputted, and to classify an ending from a string. e.g.) Input: 학생이 된다(Hak-saeng-i doen-da) Outp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