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의 지능신념 프로파일에 따른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천의 차이

        이유경(You-kyung Lee),민자원(Min Jawon),신윤선(Yoonsun Shin),함은혜(Ham, Eun Hye),박소영(So-Young Park),김반디(Bandi Ki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2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표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운영을 강조하고 있다. 교사들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천 수준을 예측하는 개인적 신념 요인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지능신념, 즉 지능의 변화가능성에 대한 믿음에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지능신념(고정신념, 성장신념) 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이것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실천을 어떻게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서울과 대전 지역에서 근무하는 교사 330명에게 지능신념과 역량기반 교육과정 실천에 대해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결과, ‘중상 성장신념(41%)’, ‘고 성장신념(4%)’, ‘중 복합신념(35%)’, ‘중상 고정신념(17%)’, ‘고 복합신념(3%)’이라는 다섯 개의 프로파일이 추출되었다. 대체로 ‘고 복합신념’과 ‘고 성장신념’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실천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두 프로파일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에 반해 고정신념이 비교적 높고 성장신념이 가장 낮은 ‘중상 고정신념’이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실천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성장신념이 높을수록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실천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교사의 지능에 대한 성장신념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the practic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at aims to foster students equipped with core competencies required in future societies. In this study, as a key predictor of teachers’ practic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we focused on teachers’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i.e., mindset), or one’s beliefs about changeability of intelligenc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ultiple profiles based on teachers’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including entity theory (fixed mindset) and incremental theory (growth mindset), and then to examine how these profiles predict teachers’ practic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o this end, 330 in-service teachers in Seoul and Daejeon were asked to respond questionnaire about their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practic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Five profiles were identified: ‘moderate-high growth mindset (41%)’, ‘high growth mindset (4%)’, ‘moderate mixed mindset (35%)’, ‘moderate-high fixed mindset (17%)’, ‘high mixed mindset (3%)’. Overall, the ‘high mixed mindset’ and ‘high growth mindset’ profiles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practic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rofiles. In contrast, the ‘moderate-high fixed mindset’ profile characterized by relatively high fixed mindset alongside the lowest growth mindset showed the lowest levels of practice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practice level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re higher as their growth mindset is highe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upport teachers’ growth mindset about intelligence to promote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한국 중 · 고등학생의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의 안정성과 예측 및 결과 변인

        이유경(You-kyung Lee),신윤선(Yoonsun Shin),김반디(Bandi Kim),민자원(Jawon Min)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3

        본 연구는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지원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고 개인 내 존재하는 다양한 핵심역량의 발달적 분포를 파악하였다. 또한, 이러한 발달적 분포의 안정성을 살펴봄으로써 어떠한 학생집단이 특히 우선적이고 집중적인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과 결과변인으로서의 학업성취 및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 발달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프로파일과 예측변인으로서의 지능신념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의 증진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보고식 설문에 대한 응답을 바탕으로 한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 데이터(n=7,324)를 활용하여(학업성취만 실제 성취 점수) 중학교 2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에 걸쳐 6대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I-States as Objects Analysis를 기반으로 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 중위(28%)’, ‘전반적 중상위(51%)’, ‘전반적 상위(21%)’라는 세 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형태빈도분석 결과,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으로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세 개의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은 대체로 안정적인 특성을 보여, 학생들이 같은 형태의 프로파일을 유지하는 경우가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높은 고정신념을 지닐수록 핵심역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프로파일에 속할 가능성이 크고 높은 성장신념을 지닐수록 핵심역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프로파일에 속할 가능성이 컸다. 또한, 전반적으로 핵심역량이 높은 프로파일을 지닌 학생들일수록 학업성취점수와 정신건강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핵심역량 발달 양상 및 발달의 안정성, 그리고 발달과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함으로써 핵심역량의 균형있는 발달이라는 중요한 교육적 과제를 실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In order to develop methods to promote students’ core competency, this study identified latent profiles of core competencies among South Korean students and examined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diverse core competencies . In addition, we aimed to identify which groups of students need more immediate core competency support by investigating the stability of these developmental patterns, and to scrutinize the relations of these profile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mental health as outcome variables. Finally, we analyzed the relations of core competency profiles to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i.e., mindsets) as predictor variables to suggest means of promoting core competencies. To this end, we utilized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urvey (KELS 2013) data (n = 7,324) collected via students’ self-report (except academic achievement). The I-States as Objects Analysis procedure with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three different latent profiles based on six core competencies across 8<SUP>th</SUP> grade and 10<SUP>th</SUP> grade: Overall Middle (28%), Overall Mid-High (51%), and Over all High (21%). Configural frequency analysis found all three profiles to be generally stable from 8<SUP>th</SUP> grade to 10<SUP>th</SUP> grade, indicating that students usually remained in the same profile over time. Students with higher fixed mindset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levels of core competencies. Conversely, students with higher growth mindset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levels of core competencies. In addition, students having profiles characterized by higher core competences tended to show better academic achievement and mental health. These findings suggest ways to promote students’ balanced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by identifying the developmental patterns and their stability and exploring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core competency profi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