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민윤희 ( Yoon Hee Min ),장성화 ( Sung Hwa J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3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성공적인 학습물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치효능감, 학교적응 등을 설정하고, 이들 요인과 학습몰입과 인과적 구조모형윷 경험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341명을 대상으로 SPS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다음 유의수준 0.1에서 추정된 모수치의 통계적 유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은 학습몰입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사회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적응은 학습몰입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가?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몰입 간에 서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지지, 학업적 자치효능감, 학교적응은 학습몰입에 집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정했던 연구모형이 통계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and flow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41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ju provinc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by using the SPSS 18.0 and AMO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ppear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soci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Flow on Learning.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directly affected the learning flow. But,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indirectly affected the learning flow. Therefore, prevention of Flow on Learning elementary students can use to map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a variety of in-depth policy research is to Suggest the need for such.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성화 ( Sung Hwa Jang ),민윤희 ( Yoon Hee Min ),이동률 ( Dong Ryul Lee ),이미애 ( Mi Yea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3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대전지역 3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6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무성의한 응답지 20부를 제외한 총 345부를 가지고 SPSS 18.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초등학생의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교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모든 하위변인들 간의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학교환경적응은 창의성과 비본질동기가 유의미한 영향이, 학교교사적응은 본질동기, 내재적 동기 그리고 자율성이 유의미한 영향이, 학교수업적응은 자율성, 비본질동기, 수업동기 그리고 본질동기가 유의미한 영향이, 학교친구적응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평가가 유의미한 영향이, 학교생활적응은 본질동기, 계속동기, 내재적동기 그리고 자기평가가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적응 전체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변인으로는 자율성, 비본질동기, 내재적동기, 본질동기, 그리고 창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adapt to the school to verify the effect of three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to 365 people attending was conducted, except the vegetative part of the response over 20 have a total of 345 parts by SPS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18.0. The first, study i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all the sub-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reativity and adaptation to the school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non-intrinsically motivated, adapt to the nature of a school teacher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autonomy, significant impact, adaptation of school autonomy, non-intrinsically motivated, motivation, and classroom significant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school friend adaptation of a positive self-concept and self-assessment of the impact is significant, the nature of school adjustment motivation, continued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assessme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In addition, school adjustment of the variables that best explain jeoncheeul autonomy, non-in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in order appeared. Based on the results of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and implications for increasing the variety of approaches present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학교적응, 가족건강성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권수경(Su Kyung KWON),민윤희(Yoon Hee MIN),장성화(Sung Hwa JANG)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5 상담심리교육복지 Vol.2 No.2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인터넷 중독이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학교적응,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전지역 중 · 고등학생 남녀 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학교적응, 가족건강성,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자기통제력, 학교적응, 가족건강성은 모든 하위변인에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중독의 하위변인인 생활장애, 현실장애, 긍정적 기대, 금단, 대인관계, 일탈행동, 내성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중독과 자기통제력, 학교적응, 가족건강성의 관계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일상생활장애, 내성 및 금단은 학교적응의 모든 하위변인이, 현실장애는 학교생활적응, 학교친구적응, 가족유대가, 긍정적 기대는 학교교사적응, 학교수업적응, 학교친구적응, 학교생활적응이, 대인관계는 학교친구적응이, 일탈행동은 자기통제력, 학교적응, 가족건강성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는 자기통제력의 하위변인, 학교적응의 하위변인, 가족건강성의 하위변인을 예측변인으로 설정하고 인터넷 중독의 하위변인들을 준거변인으로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청소년의 일상생활장애에서는 학교적응의 회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의 하위변인 중 학교생활적응과 가족건강성의 하위변인 중 가족 간 의사소통이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즉, 일탈행동에서 학교적응의 하위변인 중 학교생활적응이 가장 큰 설명력(6.8%)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가족건강성의 가족 간 의사소통이 더해지면 3.1%의 설명력을 갖게 된다. This study recognized these problems and addiction in the adolescents self-control, school adjustment, the family strenghts was to evaluate the impact on health. Daejeon in subjects enrolled a total of 250 male and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nducted the survey. The m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dolescents of the self-control, school adjustment, family strength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self-control, school adjustment, family health in an otherwise sub-factors were found to be correlated. Internet addiction disorder the sub life, real problems, positive expectations, withdrawal, interpersonal relations, deviant behavior,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to be resistant. In addition, Internet addiction and self-control, school adjustment, examining the relationship of family health, The daily life of adolescents disorder, resistance and withdrawal of all sub-variables and school adjustment, the real failure in school adjustment, school adjustment friends, family bonds, the school teachers expect a positive adjustment, school adjustment, school adjustment friends, school life Adaptation, interpersonal adaptation and high school friends, the self-control deviant behavior, school adjustment, health of family members from all the sub-reg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this study of self-control sub-variables, school adjustment variables of the child and family health as predictors of sub-set of variables and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 as a sub-criterion variables was carried ou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daily lives of disabled children in the school adjustment regression equ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School adjustment variables of the child and family health of the school life of adaptation interfamily communication of sub-factors were significant as a result. In other words, deviant behavior of the child in the school adjustment variables, school adjustment during the greatest variance (6.8%) were carrying. Interfamily health of our families, additional communication will have a variance of 3.1%.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의 부모자녀의사소통, 또래관계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

        이미애 ( Mi Yea Lee ),민윤희 ( Yoon Hee Min ),장성화 ( Sung Hwa J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부모자녀의사소통과 또래관계가 인터넷 중독 간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D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각 3학교의 남녀 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의사소통, 또래관계 인터넷 중독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 검증과 Pearson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및 학년에 따른 인터넷 중독의 하위영역 차이는 여자에 비해 남자인 경우, 6학년 보다 5학년이 중독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의사소통, 또래관계 및 인터넷 중독의 관계를 살펴보면, 인터넷 중독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자녀의사소통와 또래관계가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녀의사소통의 하위변인들과 또래관계의 하위변인들을 예측변인으로 하고 인터넷 중독 하위변인들을 준거변인으로 한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예측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건전한 인터넷 문화를 만들기 위한 관심과 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style with parents, peer relationship, and internet addiction in elementary. The participants were 33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jeon city. T-test, Pearson``s coefficient of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were more addictive to internet than girls, and 6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more addictive to internet than 5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those elementary who were lack of communication style with parents tended to be addictive to internet. And highly addicted elementary to internet had lower peer relationship than others. Finally, factors such as communication style with parents and peer relationship were examined as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