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적 인간으로서의 교구 사제 생활의 역동성

        민범식(Min, Bum Si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神學展望 Vol.- No.199

        사제 영성에 대한 논의는 오늘날 한국 교회가 맞고 있는 위기의 상황과 맞물려 교회의 쇄신이라는 큰 틀에서 요청되는 과제이기도 하지만, 구체적인 삶의 자리에서 끊임없이 새롭게 해석되고 개인의 역사 안에서 고유하게 체험되어야 하는 영성의 특성에 비추어서도 언제나 타당한 일이다. 그러나 교구 사제 영성을 보편적인 사제 영성과 분리시켜 교구 사제에게만 특화된 다른 영성으로 바라보려는 시각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별히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로 사제의 신원과 직무, 영성에 대한 연구와 가르침들이 많이 제시되어 왔지만, 교회는 늘 대사제이신 그리스도의 유일한 사제직에서 비롯하는 ‘가톨릭 사제직의 단일성’이라는 관점에서 사제 영성을 언급해 왔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교회 문헌에서 제시되는 직무 사제직과 관련한 언급들은, 특별히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항상 교구사제를 먼저 염두에 두고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개별 교회와의 친교’라는 주제는 교구 사제들에게만 국한된 내용이라기보다는 사제의 ‘교구 영성’ 내지는 ‘교구성’(diocesanity)이라는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처럼 세상 안에서 살아가는 교구 사제는 사제이며 목자이신 그리스도의 마음, 곧 ‘목자로서의 사랑’을 자신 삶의 핵심 원리로 삼고 살아가는데, 이러한 사제 영성 구현의 과정에서 자기 내면에 있는 인간적인 심리내적 요소들의 영향을 끊임없이 받게 된다. 따라서 사제 영성을 더 풍요롭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자신의 내면에 대한 심리적 성찰을 통해 사제 영성의 가치를 자신 안에 내면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중개자로서의 사제적 신원에 기초한 사제적 식별을 계속 해나가야 할 것이다. Considering the crisis that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is facing today, we are urged to discuss the spirituality of the priesthood in terms of the reform of the Church. However, it may also be true to say that it is always proper to discuss this issue,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spirituality, which needs to be newly interpreted all the time in the context of a specific life and uniquely experienced in the history of one’s individual life. However, we need to be cautious about such an attempt as one that tries to separate ‘the spirituality of the diocesan priesthood’ from the common ‘priestly spirituality’ and takes only the former as something unique to the diocesan priests. For, the Church has always mentioned the priestly spirituality in terms of the ‘unity’ of the Catholic priesthood that comes from Christ the Archpriest’s only priesthood, as it is clear from the studies and the teachings on the priest’s identity, ministry, and spirituality, especially after the Vatican Ⅱ. Furthermore, when the ministerial priesthood is mentioned in the church documents, it is done nearly always in concern with the diocesan priests, except for some cases in which it is explicitly said the other way. Thus, ‘the communion with a particular church’ should not be confined to the interests of the diocesan priests; rather, it needs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diocesan spirituality or the diocesanity of the priesthood. A diocesan priest, who lives and works in this actual world, takes the heart of Christ the Priest and Pastor, which is the pastoral charity, as the core principle of his life. However, when he tries to live this principle through his own priestly spirituality, he is constantly affected by the human inner psychological elements inside his heart. Thus, to live the priestly spirituality more fully, one needs to internalize its value through the psychological inspection on his inner-self. By way of this process, one should constantly perform the priestly discernment on the basis of his priestly identity as a mediator.

      • KCI등재후보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조간대 태형동물 분포상

        민범식(Bum Sik Min),양호진(Ho Jin Yang),채현숙(Hyun Sook Chae),노건우(Geon Woo Noh)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1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의 태형동물 분포 연구를 위해 2019년부터 2020년까지 한려해상국립공원[2019년 7월, 10월 한려해상국립공원(동부), 2020년 5월, 9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연안과 도서지방의 20개 지점으로부터 채집된 재료들을 동정한 결과 총 2강 3목 28과 30속 37종(한려동부: 2강 3목 22과 23속 27종 113군체, 한려: 2강 3목 26과 28속 33종 550군체)이 조사되었다. 지구별 종수로는 통영⋅한산지구 2강 20과 20속 23종, 거제도⋅해금강지구 2강 2목 11과 11속 13종, 사천지구 2강 3목 17과 17속 20종, 남해대교지구 1강 2목 3과 3속 3종, 상주⋅금산지구 2강 3목 23과 24속 26종, 오동도지구 1강 2목14과 14속 15종을 확인하였다.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에 서식하는 태형동물의 종 목록을 제시하고, 도판을 작성하였다. 위 결과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조간대에 서식하는 태형동물만을 확인한것으로 조하대에 서식하는 태형동물을 추가적으로 조사한다면 더 많은 종수가 포함될 것이다. The intertidal bryozoan fauna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Korea.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diversity of intertidal bryozoans which were collected from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Korea. A total of 37 species, 30 genera, 28 families, 3 orders and 2 classes of intertidal bryozoan were found in 20 locations (Tongyeong, Geoje, Sacheon, Namhae, and Yeosu)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from (July, October) 2019 to (May, September) 2020. Tongyeong⋅Hansan: 23 species, Geoje⋅Haegeumgang: 13 species, Sacheon: 20 species, Namhae: 3 species, Sangju⋅Geumsan: 26 species, Odongdo: 15 species were inhabited by region. The intertidal bryozoan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re provided with distributional data and detailed illustrations here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