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문 : PCR 다형성에 의한 양송이(Agaricus bisporus) 계통의유전적 다양성 분석

        민경진 ( Kyong Jin Min ),김종군 ( Jong Kun Kim ),곽아민 ( A Min Kwak ),공원식 ( Won Sik Kong ),오연희 ( Youn Hee Oh ),강희완 ( Hee Wan Kang ) 한국균학회 2014 韓國菌學會誌 Vol.42 No.1

        Twelve Universal fungal PCR fingerprint (UFPF) primers that were modified from Universal rice primer (URP) were used to assess genetic diversity of 64 Agaricus strains including 45 A. bisporus strains and other 19 strains of other Agaricus spp. Eight primers, UFPF1, UFPF2, UFPF3, UFPF7, UFPF9, UFPF10, UFPF11, and UFPF12 produced PCR polymorphic bands within and between the Agaricus species. Primer UFPF7 produced specific PCR polymorphic bands that are distinct Korean strain from different strains. Ninety five PCR polymorphic bands were inputted for UPGMA cluster analysis. Forty five strains of A. bisporusare genetically clustered into 8 groups, showing coefficient similarity from 0.75 to 0.9 among them. The varieties, Saea, Saedo, Saejeong and Saeyeon that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in Korea were involved in the same group with close genetic relationship of coefficient similarity over 0.96, whereas, other Korean strains were genetically related to A. bisporus strains that were introduced from USA, Eroupe and Chinese.

      • 교정치료 중인 환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민경진(Min, Kyong-Jin),도정애(Do, Jeong-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이 연구는 교정치료중인 환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대구시내에 소재한 교정전문치과 4곳에서 교정치료를 받고있는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방법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교정치료 특성, 구강건강영향지수, 자아존중감을 조사 분석하여 교정치료환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OHIP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이 낮을수록(P<0.01),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P<0.001), 가족의 권유로 교정치료 받는사람이(P<0.05), OHIP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남자가(P<0.05), 미혼이(P<0.01), 수입이 많을수록(P<0.05),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정치료 중인 환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OHIP)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민경진(Min, Kyong-Jin),도정애(Do, Jeong-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7

        이 연구는 교정치료중인 환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대구시내에 소재한 교정전문치과 4곳에서 교정치료를 받고있는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방법을 이용 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교정치료 특성, 구강건강영향지수, 자아존중감을 조사 분석하여 교정치료환자의 구강 건강영향지수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OHIP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이 낮을수록(P<0.01),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P<0.001), 가족의 권유로 교정치료 받는사람이(P<0.05), OHIP에 영향 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남자가(P<0.05), 미혼이(P<0.01), 수입이 많 을수록(P<0.05),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main cause of influencing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and self-esteem of patients on orthodontic treatment. Questionnaire was used for research based on 200 patients on orthodontic treatment in four dental clinics specialized orthodontic treatment and located in Daegu. General characteristics, orthodontic treatment characteristics, OHIP, and self-esteem were examined to analyze the cause of influencing OHIP and self-esteem of patients on orthodontic treatment. The results, Influential factors in OHIP, The younger age (P<0.01), showed that healthier oral condition (P<0.001), and treatment done by family encouragement (P<0.05) were the influential factors of OHIP. Influential factors in self esteem showed that male (P<0.05), unmarried (P<0.01), and higher income (P<0.05) were influential factors of self esteem.

      • KCI등재

        치면세균막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반복 직접 잇솔질교육 효과

        조민정(Jo, Min-Jung),민경진(Min, Kyong-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6

        이 연구는 D광역시에 소재하는 H치과의원에 방문한 환자를 교육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 134명과 대조군 110명에게 반복 직접 잇솔질교육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하여 일반적 특성, 주관적 건강상태, 구강지식, 구강인식, 구강실천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실제 구강실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치면세균막 관리점수를 O'Leary index로 평가 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복 직접 잇솔질교육 후 관심도, 주관적 건강상태, 구강인식, 구강지식, 구강실천, 치면세균막 관리점수의 모든 항목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01). 그리고 반복 직접 잇솔질교육의 횟수가 늘어남 에 따라 치면세균막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Educational object of this study was patients who visited H-dental clinic in D-Metropolitan City. It was investigated on the general charact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oral knowledge, oral recognition and oral practice of patients(experimental group 134 subjects and control group 110 subjects) who were educated to repeated directing tooth-brushing through questionnaire. For understanding the degree of actual oral practice, plaque control score was analyzed by the O'Leary index.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verification of effect after repeated directing tooth-brushing education represented to significance in experimental group on the concer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oral recognition, oral knowledge, oral practice and plaque control score(p<0.001). And as frequency of repeated directing tooth-brushing education was increased, plaque control score significantly increased(p<0.001).

      • KCI등재

        성인의 구강보건행태에 따른 미각인지역치, 타액분비량이 DMFT, OHIP-14에 미치는 영향

        김기욱(Kim, Gi-Ug),민경진(Min, Kyong-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5

        이 연구는 대구지역 40대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6단계의 용액을 이용하여 미각인지역치(단맛, 짠맛, 신맛 ,쓴 맛), 흡습지를 사용하여 타액분비량을 측정하여 DMFT index와 OHIP-14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구 강보건실천은 미각인지역치에, 식습관은 타액분비량에 영향을 주고, 미각인지역치 중 단맛과 신맛, 그리고 타액분비량 은 DMFT index에 영향을 주어 구강건강상태가 좋으면 OHIP-14도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구강보건실천도와 식 습관이 좋은 사람이 미각과 타액분비량, DMFT index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OHIP-14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강보건실천도를 높여 미각인지역치 감수성을 높이고 식습관을 개선하여 타액분비량을 증가시 켜 DMFT index를 감소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지금까지는 개인의 미각인지역치 수준의 평가 없 이 일률적인 식이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구강보건교육 시 대상자의 미각인지역치를 측정하여 알려줌으로써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using a six-step solution for taste recognition threshold and using a Wet-Test for salivary flow amount of the adults who reside in Daegu area and are more than their 40's ol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DMFT index and OHIP-14. The study result revealed that the practice of oral health gave an effect to taste recognition threshold, dietary habit gave an effect to salivary flow amount, and sweet and sour taste of taste recognition threshold and salivary flow amount gave effects to the DMFT index.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person with good practice of oral health and dietary habit had good taste, salivary flow amount and DMFT index. According to this resul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actice of oral health, increase the sensitivity to taste recognition threshold, improve dietary habit, increase salivary flow amount and decrease DMFT index in order to improve OHIP-14. Dietary habit education has been performed without the evaluation on the individual's level of taste recognition thresho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to measure and notify the taste recognition threshold in the oral health education so that individual can adjust it by himself.

      • KCI등재

        환자의 치위생학적 지식 및 실천 정도가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에 미치는 영향

        김기욱(Kim, Gi-Ug),민경진(Min, Kyong-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4

        이 연구는 환자의 치위생학적 지식 및 실천 정도가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자 평가도구중 하나인 구강건강영향지수(OHIP)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예방적인 지식이나 일상에서 매일 사용하는 구강용품지식 및 사용방법 지식이 높아야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진료 형태별 지식과 같이 경험으로 습득한 지식은 높을수록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반면 심미치료중의 하나인 미백치료지식은 높을수록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즉 예방적이고 심미적인 지식이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This research knowledge and practice about a patient’s oral health and oral hygiene related quality of life you want to measure the impact of oral health impact assessment, one of OHIP was evaluated by using the. The results are used daily in prevention knowledge and everyday knowledge, and how to use knowledge of dental supplies highly subjective feel the higher quality of life. And with med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acquired knowledge OHIP higher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subjective feel. Meanwhile, one of the whitening treatment aesthetic appreciation treatment higher subjective knowledge feel the higher quality of life. This means that knowledge of preventive oral health and aesthetic impact is expected to affect the index.

      • KCI등재

        화장교육이 노인여성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정시(Kim, Jung-Si),민경진(Min, Kyong-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4

        본 논문은 D시 소재 P노인복지관을 방문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2010년 5월 28일부터 7월 16일 까지 8주간의 화장교육을 실시하여 화장교육이 노인여성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 사 대상자는 전체 80명 중 연령과 화장관심도를 근거로 실험군 40명, 대조군 40명으로 나누고, 생활만족도를 사전 조 사 후, 실험군에게 8주간 화장교육을 실시하고, 화장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시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후 검 사를 실시하여 생활만족도를 비교하였다. 노인여성을 위한 8주간의 화장교육의 내용은 우아하고 자연스런 화장법, 10 년 어려보이는 동안 화장법, 얼굴 수정 화장법, 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화장법, 한복에 어울리는 화장법, 파티 화장 법으로 구성하였고, 이론수업과 함께 매시간 직접 자기 얼굴에 화장하도록 실습하였다. 교육 후 노인여성들의 화장교 육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만족도가 높았으며 연구결과, 화장교육을 받은 실험군의 생활만족도는 유의하게 향상되어 (p<0.05), 화장교육이 노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make-up educa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based on a make-up education session for eight weeks from May 28 to July 16, 2010 provided to elderly women aged 60 or above who visited P Seniors' Welfare Center in D city. 80 sample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of 40 people and the control group of 40 people based on age and interest in make-up. Their life satisfaction level was identified before the surve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n eight-week make-up education session. In order to verify effects of the make-up education, follow-up tests were conducted toward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oth to compare life satisfaction levels. The make-up education was divided into elegant and natural make-up, make-up to look ten years younger, face-changing make-up, seasonal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make-up, make-up for Korean traditional costumes, and party make-up. In each class, students practiced make-up on their face while taking a lecture on theories. After the education, the students found the education satisfactory overall. Based on the results,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make-up educ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confirming that make-up education affects the life at old age.

      • KCI등재

        의료기관의 CRM 성과와 영향 요인

        이재홍(Lee, Jae-Hong),민경진(Min, Kyong-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CRM 연구를 정리하여 의료기관의 CRM 활동 및 그 성과를 측정하고 이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 향후 효율적인 의료기관 경영의 새로운 CRM 적용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 인 적요인 변수와 물적요인 변수가 CRM 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이때 인적요인 변수는 정성적 성과에, 물적요인 변수는 정량적 성과에 보다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 CRM연속체 수준을 적용했을 때 CRM에 대한 전 략적 수준일수록 인적요인이 전체 CRM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또 전술적 수준일수록 인적요인, 물 적요인 모두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는 CRM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설 명을 주로 인과관계에만 초점을 맞춘 기존의 흐름과 주로 비용절감과 같은 계량적 현상을 위주로 한 CRM활동에서 벗어나 다원적?현실적?포괄적 실증연구를 통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의료기관의 마케팅실무적 측면에서 CRM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수별 마케팅 전략 수립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기초가 될 것이다. This study showed effective and new applicative direction of CRM of medical management after arranging CRM researches, measuring CRM activity and the results of medical institutions and clearing factors having an effect. In other words, 'Human Factors' variables and 'Physical Factors' variables have an effect on the result of CRM. 'Human Factors' variables have an effect on the qualitative result and 'Physical Factors' variables have an effect on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In more strategic CRM continuum, Human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hole performance of CRM. And in more tactical, CRM continuum Human Factors and Physical Factors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whole performance of CRM. Consequently, The key point is grasp of what characteristics exist in CRM between strategic level and tactical level. This provides the foundation for the variables in marketing practice.

      • KCI등재

        Base-Alloy에 따른 치과 도재의 소성방법과 열순환에 따른 결합강도 비교

        김임선(Kim, Im-Sun),민경진(Min, Kyong-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2

        이 연구는 심미성과 내구성을 살릴 수 있는 보철 재료들을 선택하기 위해 각종 도재 보철 재료들의 열 순 환 전후 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합 강도 측정을 위해 시중에 시판되고 있는 base-alloy중에서 with Beryllium 금속과 non-Beryllium 금속 8종과 Zirconia 1종위에 각종 도재 제품들을 소성하여 열 순환 전 후 결합 강도 측정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TM(press-to-metal) 도재가 열 순환 시행 전후의 각각 73.2MPa, 59.2MPa로 높은 결합 강도를 보였다. 2) non-Beryllium 금속 위에 소성한 도재가 with-Beryllium 금속 위에 소성한 도재보다 결합 강도가 우수했다. 3) Zirconia 도재는 38.7MPa의 가장 낮은 결합 강도를 보였다. This study measured the bonding strength of various porcelain prosthesis materials before and after thermocycling to select prosthesis materials that can maximize beauty and tolerance. To measure bonding strength, various porcelain materials were baked on with-Beryllium metals, non-Beryllium metals 8group and Zirconia 1 group among commercially available base alloys, and measured the bonding strength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rmocycl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TM(press-to-metal) porcelain non-Beryllium metal showed the, highteat bonding strength each 73.2MPa, 59.2MPa before and after thermocycling. 2) The porcelain materials baked on non-Beryllium metal showed higher bonding strength before and after thermocycling than those baked on with-Beryllium metal. 3) Zirconia products showed the lowest 38.7MPa bonding strength before and after thermocycling.

      • 환자의 치위생학적 지식 및 실천 정도가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에 미치는 영향

        김기욱(Kim, Gi-Ug),민경진(Min, Kyong-Ji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이 연구는 환자의 치위생학적 지식 및 실천 정도가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자 평가도구중 하나인 구강건강영향지수(OHIP)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예방적인 지식이나 일상에서 매일 사용하는 구강용품지식 및 사용방법 지식이 높아야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진료 형태별 지식과 같이 경험으로 습득한 지식은 높을수록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반면 심미치료중의 하나인 미백치료지식은 높을수록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즉 예방적이고 심미적인 지식이 구강건강영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