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James 강 하구 저염분 지역에서의 식물 부유생물 현존량의 계절적 변화

        문창호 한국수산학회 1989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2 No.6

        James 강 하구에서 1986년 7월 부터 1987년 8월까지 약 1달 간격으로 식물 부유생물의 현존량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강 유입량이 적은 여름과 가을에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저염분 지역에서 많은 양의 식물 부유생물이 출현하였다. 이 많은 양의 출현은 영양염, 조석 그리고 수온과는 관계없이 estuarty의 순환에 의한 규조류의 축적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Surface phytoplankton biomass was measured at approxinately one month intervals from July 1986 to August 1987. There was a peak phytoplankton biomass in the very low salinity region during summer and autumn when river discharge was low. The peak biomass occurred independent of the tidal state, location of nutrient input, nutrient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The peak biomass are probably caused by the hydrodynamic trapping, density-seletive retention of particles by esturarine circulation.

      • KCI등재

        전략-조직의 적합성이 다국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문창호 한국국제경영학회 2003 國際經營硏究 Vol.14 No.1

        이전의 다국적 기업에 대한 연구가 전략-조직의 적합성과 기업의 성과 사이의 정의 연계에 대한 제한적인 지지를 보여준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조직-전략의 적합성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개발하고 그 모델에 입각한 조직-전략의 적합성이 성과에 미치는 결과를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모델은 조직-전략의 적합성의 개념을 이전의 다국적 기업에 대한 연구 논문들이 주로 이용한 이분법 척도라기 보다는 삼분법 척도에 의거하여 개발되었다. 엄격한 통계적 검증 방법과 더불어 조직-전략의 적합성, 다국적 전략과 구조의 보다 조율된 개념화 및 변수 조작을 통하여, 53개의 대규모 미국 다국적 기업을 표본으로 분석한 결과 조직-전략의 적합성이 정의 성과 영향을 미치는 데에 대하여 부분적인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에 대한 함의가 논의되었다. Given that prior MNC research has provided the limited support to the positive linkage between strategy-structure fit and corporate performance, this study developed a theoretical model of strategy-structure fit and examined the performance consequences of strategy-structure fit based on the developed model. The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trichotomous scale of strategy- structure fit rather than the simple dichotomous one previous MNC studies have employed. Using more fine-tuned conceptualiza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strategy-structure fit, multinational strategy and structure along with the rigorous testing methods, analysis of data on a sample of 53 large U.S.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dicated partial support to the positive performance effect of strategy-structure fit.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기술혁신지향성과 기술혁신역량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문창호 한국산업경영학회 2016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에서는 자원기반관점(resource-based view)과 동태적역량이론(dynamic capabilities theory)에 기초하여 기술혁신지향성과 기술혁신역량을 기업의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서로 다른 개념의 두 전략적 자산(strategic asset)으로 파악하고, 기업의 우수한 기술혁신성과 창출을 위해 이 두 자산의 보완적(complementary) 결합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지향성, 기술혁신역량 그리고 이 두 요인 간의 상호작용이 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모델과 가설들을 제안하고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제안된 연구모델과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지향성을 기술혁신을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추진하고 도모하려는 기업의 전반적인 사고방향 또는 조직문화로 개념화하였고 또한 R&D역량, 생산운영역량, 마케팅역량 및 조직역량의 4가지 기능역량을 기술혁신역량을 구성하는 가장 주요한 차원으로 파악 분석하였다. 86개의 국내 IT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기술혁신지향성과 R&D역량 및 생산운영역량이 기술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혁신지향성이 R&D역량, 생산운영역량, 조직역량과 각각 상호작용하여 기술혁신성과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논문의 실증분석 결과는 기술혁신성과 창출을 위한 기술혁신지향성과 기술혁신역량 두 요인의 상대적인 역할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게 하고 특히, 기업의 우수한 기술혁신성과와 지속적인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기술혁신지향성과 기술혁신역량 두 요인의 보완적 결합의 중요성을 제시함으로써 자원기반관점과 동태적역량이론의 이론적, 실증적 기반을 지지하는 중요한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최근 일본 노인주거시설의 건축적 특징에 관한 연구

        문창호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recent elderly housing in Japan, in order to refer them in establishing the planning direction in Korea. Outline of elderly housing in Japan was reviewed. Site-visits by facility types were executed, and related informations(brochure, articles & drawing) were analyzed. Conclus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design for the minimization of transfer shock from home to facility, designing all the residents' rooms as single for privacy and setting the spatial hierarchy for residents' mental stabilization, design for maintaining potential function by participation in everyday living, attempts of new types such as apartment using care service/complex facility for elderly & community/day care center for children and elderly, and introduction of new concept ward planning(unit care) in elderly hospital influenced by nursing home design.

      • KCI등재

        Netplankton 과 Nanoplankton 크기별 in vivo Fluorescence 의 차이

        문창호,이승용 ( Chang Ho Moon,Seung Yong Lee ) 한국수산과학회 199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7 No.6

        In the South Sea of Korea, in vivo fluorescence intensity (IVF) and extractabl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were measur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significant deference in in vivo fluorescence per unit chlorophyll α(R) between netplankton and nanoplankton size classes (less than 22㎛). IVF and chlorophyll α were linearly related for both size classes, but 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size classes. The R of nanoplankton was about 7 times higher than that of netplankton. Therefore, the size dependency of R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size fraction of phytoplankton biomass is determined from the measurements of in vivo fluorescence intensity.

      • KCI등재

        James 강 하구 저염분 지역에서의 식물 부유생물 현존량의 계절적 변화

        문창호,MOON Chang Ho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 1990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2 No.6

        Surface phytoplankton biomass was measured at approxinately one month intervals from July 1986 to August 1987. There was a peak phytoplankton biomass in the very low salinity region during summer and autumn when river discharge was low. The peak biomass occurred independent of the tidal state, location of nutrient input, nutrient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The peak biomass are probably caused by the hydrodynamic trapping, density-seletive retention of particles by esturarine circulation. James강 하구에서 1986년 7월부터 1987년 8월까지 약 1달 간격으로 식물 부유생물의 현존량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강 유입량이 적은 여름과 가을에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저염분 지역에서 많은 양의 식물 부유생물이 출현하였다. 이 많은 양의 출현은 영양염, 조석 그리고 수온과는 관계없이 estuarty의 순환에 의한 규조류의 축적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탄소 및 질소안정동위원소 조성에 의한 남해안 진동만 양식 미더덕의 먹이원 평가

        문창호,박현제,윤성규,곽정현,Moon, Changho,Park, Hyun Je,Yun, Sung Gyu,Kwak, Jung Hyun 한국해양학회 2014 바다 Vol.19 No.4

        To examine the trophic ecology of the ascidian Styela clava in an aquaculture system of Korea, stable carbon and nitrogen isotopes were analyzed monthly in S. clava, coarse ($>20{\mu}m$, CPOM) and fine particulate organic matters ($0.7<<20{\mu}m$, FPOM). CPOM (means: $-18.5{\pm}1.2$‰, $9.3{\pm}0.7$‰) were significantly higher ${\delta}^{13}C$ and ${\delta}^{15}N$ values than those ($-20.5{\pm}1.5$‰, $8.4{\pm}0.5$‰) of FPOM. S. clava had mean ${\delta}^{13}C$ and ${\delta}^{15}N$ values of $-18.9({\pm}1.7)$‰ and $11.6({\pm}0.7)$‰, respectively. S. clava were more similar to seasonal variations in ${\delta}^{13}C$ and ${\delta}^{15}N$ values of FPOM than those of CPOM, suggesting that they rely largely on the FPOM as a dietary source. In addition, our results display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CPOM and FPOM as dietary source for the ascidian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vailability of each component in ambient environment, probably reflecting their feeding plasticity due to non-selective feeding irrespective of particle size. Finally, our results suggest that dynamics of pico- and nano-size plankton (i.e., FPOM) as an available nutritional source to S. clava should be effectively assessed to maintain and manage their sustainable aquaculture production. 2008년 4월에서 2009년 1월 사이에 진동만 미더덕의 섭식 생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20{\mu}m$ 이상(coarse particulate organic matter, CPOM) 그리고 $0.7{\mu}m$ 이상 $20{\mu}m$ 이하(fine POM)의 크기가 나누어진 각각의 부유입자유기물과 미더덕에 대한 ${\delta}^{13}C$ 과 ${\delta}^{15}N$ 값의 월별 변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CPOM과 FPOM의 ${\delta}^{13}C$ 및 ${\delta}^{15}N$을 월별로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CPOM(평균 $-18.5{\pm}1.2$‰, $9.3{\pm}0.7$‰)이 FPOM(평균 $-20.5{\pm}1.5$‰, $8.4{\pm}0.5$‰)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미더덕의 ${\delta}^{13}C$과 ${\delta}^{15}N$ 값은 각각 평균 $-18.9({\pm}1.7)$‰과 $11.6({\pm}0.7)$‰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비값들은 CPOM 보다는 FPOM의 월별 변동과 비슷한 경향을 보여 이들이 CPOM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FPOM에 더 높은 영양 의존도를 가진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해 주었다. 그러나 미더덕의 먹이원으로서 CPOM과 FPOM의 상대적인 중요성은 시기에 따른 각 요소의 가용성(availability)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부유입자물질의 크기에 관계없이 미더덕에 의한 비선택적 먹이 섭식을 잘 반영하는 듯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미더덕의 지속적인 양식생산을 유지하기 위해 가용 먹이원으로서 식물플랑크톤과 함께 미소 부유입자유기물의 유용성을 고려해야함을 잘 나타내 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