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간과 궁극자의 범주

        문창옥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07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15

        The concept of time in Whitehead's metaphysics has three basically different levels. One of these is time in concrescence of actual occasion. This is atomic, and indivisible time, which may be called ontological. Another is physical time in the society of occasions which is continuous, and divisible. The other is abstract time which is usually used in modern physical science. Ontological time is the most fundamental, and explains the others. Further, ontological time in actual occasion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Category of the Ultimate which is composed of creativity, many and one. Some of Whiteheadians have argued that creativity itself is temporal, and functions as the foundation of the concept of time in Whitehead's philosophy. But this is not true. Creativity is never temporal in Whitehead's system. It, thus, cannot explain time. It is the Category of the Ultimate that rationally analyzes and exposes ontological time in his system. Therefore, it also is incorrect to say that Whitehead merely presupposes that concept of fundamental time or temporality which is usually, but wrongly, understood as an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화이트헤드는 시간의 신비를 얼마만큼 해소하고 있는가? 필자는 이 물음에 두 가지 측면에서 답한다. 그 하나는 그의 시간 개념이 구체적인 경험의 시간에서 추상적인 물리적 시간에 이르기까지 다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보다 구체적인 것이 보다 추상적인 것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을 추적하여 밝히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 다층 구조에서 가장 근저에 놓인 존재론적 시간 개념이 형이상학적 범주들에 의해 궁극적으로 합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첫째 과제에서 우리는 세 가지 시간의 층위를 구별하여 이해한다, 우리가 가지는 현재적 경험은 미래와 과거의 교차지점에서 일어나는 통일체로서의 사건이다. 그래서 우리는 현재의 경험에서 과거나 미래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범주적 표현으로 하자면 현실적 계기의 생성이라는 경험 사건과 더불어 존재론적 단위시간이 구현된다. 이 시간은 경험의 통일성에 부응하는 원자성을 가진다. 나아가 우리는 이런 원자적 시간 체험들을 통해 연속적인 물리적 시간을 구현하고 또 이를 반성적으로 사유한다. 과거, 현재, 미래가 범주적으로 명료하게 구별되는 일상적 의미의 물리적 시간 개념은 이런 반성적 사유에서 탄생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대 물리학이 다루는 t 좌표의 시간은 이런 반성적 사유의 극단에서 모색되는 순수한 추상적 시간개념이다. 둘째 과제는 존재론적 시간이 ‘일’, ‘다’, ‘창조성’의 관념이 결합한 궁극자의 범주에 의해 해명된다는 것을 논증한다. 궁극자의 범주는 현존의 범주, 설명의 범주, 제약의 범주들이 전제로 삼고 있는 근본적인 관념들이다. 따라서 이 범주는 범주적 도식의 모체가 된다. 현실적 계기의 합생은 단순히 창조성이 아니라 창조성 및 일과 다를 내용으로 하는 궁극자의 범주에 의해 해명된다. 합생에 함의된 시간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화이트헤드는 물리적 시간을 보다 근본적인 범주에 의해 근거 짓고자 했기 때문에 이런 시간을 합생 내부로까지 연장하려 하지 않는다. 우리가 보았듯이 그는 합생 내부에 존재론적 시간을 상정함으로써 물리적 시간의 여러 의미를 설명한다. 그래서 합생은 물리적 시간 밖에 있으면서 물리적 시간의 출현을 설명하는 존재론적 시간의 담지자로 기능한다. 그러나 동시에 합생 내부에서 구현되는 존재론적 시간은 합생과 마찬가지로 궁극자의 범주에 의해 온전히 해명된다. 따라서 화이트헤드의 철학에서 시간은 더 이상 수수께끼의 대상이 아니다.

      • KCI등재

        화이트헤드의 언어 이해와 상징적 연관

        문창옥 국제언어인문학회 2004 인문언어 Vol.6 No.-

        Whitehead's discussion of language is not to be found in any one book or article. It is interwoven with his discussion of many other questions. He was, however, greatly concerned with the problem of symbolism in general and the uses of language. He regards language, spoken or written, as an instrument devised by men to aid them in their adjustment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live. Language is used for many specific purposes in the process of this adjustment. Words are employed not only to refer to data and to express emotions. They may be used also to record experiences, and thoughts about these experiences. Words also function as instruments i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s as they are considered in retrospect. Thus words free us from the bondage of the immediate.And Whitehead's theory of meaning is implicit in his discussion of the functions of language. According to him, the human mind is functioning symbolically when some components of its experience elicit consciousness, beliefs, emotions, and usages, respecting other components of its experiences. The former set of components are the 'symbols', and the latter set constitute the 'meaning' of the symbols. Whitehead points out that one word may have several meanings, i.e. refer to several different data. In order to understand, thus, the meaning to which a word refers, it is sometimes very important to appreciate the system of thought within which a person is operating. Further, Whitehead's discussion of language includes a number of cogent warning the deficiencies of language, and hence the need for great care in the use of words. In fact, language developed gradually. For the most part we have created words designed to deal with practical problems. Attention focuses on the prominent features in a situation, in particular the changing aspects of things. With reference to such data our words are relatively adequate. However, this issues in an unfortunate superficiality. The enduring, the subtle, the complex and the general aspects of the universe do not have adequate verbal representation. For this reason, Whitehead's position concerning the uses of language in speculative philosophy is stated with pungent directness. The uncritical trust in the adequacy of language is one of the main errors to which philosophy is liable. Since ordinary language does not do justice to the generalities, profundities and complexities of life, it is obvious that philosophy requires new words and phrases, or at least the revision of familiar words and phrases. Proceeding to develop the theme Whitehead contends that words and phrases must be stretched towards a generality foreign to their ordinary usage. In the same vein Whitehead refers to the need to realize that language which is the tool of philosophy needs to be redesigned just as in physical science available physical apparatus needs to be redesigned. But even these words and phrases, stretched or redesigned, are never completely adequate in philosophical speculations. They are, in his opinion, merely a great improvement over ordinary language or the language science, mathematics or symbolic logic.

      • KCI등재

        환경윤리와 과학철학

        문창옥 철학연구회 2006 哲學硏究 Vol.0 No.75

        수 있을 것이다 나는 나의 미래를 포함하여 총체적 미래를 전망. “하면서 나의 과거 환경 전체를 토대로 나를 구성하고 있는 존재이다 나는 나에게.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인 동시에 내가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이다 따라서 나에게.관심을 가진다는 것은 나에게 영향을 미치고 내가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에 관심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런 시사가 얼마만큼 설득력이 있는지는 사람마다 를 수.”있다 하지만 적어도 우리는 화이트헤드가 말하는 철학 일반의 역할에 대한 평가.기준 즉 지성에 의한 정서의 순화, “ ”31)라는 기준에 비추어 비교적 객관적으로 평가해볼 수 있을 것이다.하지만 진정한 문제는 우리가 모두 화이트헤드의 환경윤리적 이념에 공감한다고 하더라도 현실의 환경문제가 당장 해결될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는 데있다고 해야 할지 모른다 이념 이상적인 것에 대한 지적 인식만으로는 충분할. ,것 같지 않기 때문이다 그것은 다시 본능과 협력하는 정서적 힘 욕구와 의도의. ,선 의식적 배경을 필요로 할 것이다 의식적으로 정식화된 윤리적 이념이 본능( ) .先적이고 정서적인 깊이에 의해 단히 고정되는 데에는 다시 말해 이념이 습관과,행위로 정착하는 데에는 장구한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다 화이트헤드는 이미 인.

      • 존재와 시간: 베르그송, 하이데거, 화이트헤드

        문창옥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05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10

        지난 20세기 후반 이후 철학의 공간을 가로지르는 주요 담론 가운데 하나로 떠오른 해체의 철학은 베르그송과 하이데거가 요청한 과제를 계승하고 있다. 이 해체 철학의 목소리가 지금의 우리 세기를 주도할 것인지 아니면 적절한 돌파구를 찾아 계속해서 또 다른 구성의 활로를 열어갈 것인지는 아직 분명치 않다. 다만 현대 철학의 주요 줄기가 이성으로는 화해 불가능한 시간의식을 앞에 두고 회의주의적 기류 속에 부유하고 하고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존재와 시간에 대한 자의적 이성의 폭력성을 자각하면서 출발한 현대의 해체 철학이 이 전환기의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것이 그들이 자처하듯 과연 해방과 자유라고 단정할 수 있는가? 오히려 그것은 시간의식의 파도가 강요하는 또 다른 형태의 억압과 굴종일 수 있지 않은가? 이제 막 시작된 21세기를 수놓을 철학적 담론의 색채는 기본적으로 이 물음에 대한 우리의 답변에 달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적어도 그 답변이 후자로 귀결될 가능성이 있는 한, 화이트헤드가 남긴 구성의 목소리는 경청할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Bergson, Heidegger and Whitehead may be said to be representatives of the contemporary philosophers that specify radically the theme of self-actualizing event. All of them regard not only all things as actualizing themselves in nature, but also make the concept of event as the proper subject-matter of philosophy. There are, however, some differences among these philosophers. Bergson contents that the real event is dynamic, heterogeneous, and qualitatively continuous. Hence we are incapable of analyzing it in terms of any spatial concept without perverting its nature. The real event is anti-intellectual. Heidegger also concentrates the impenetrable otherness of the event. The self-unfolding events are regarded to take on the mystical character of an unsayable, originating power. And thus even his statement of events become self-negating gestures. Whitehead thinks that the purpose of philosophy is rationalize mysticism by the introduction of novel verbal characterizations rationally coordinated. He constructs the categorical scheme in terms analogical categories secured from algebra and empirical world. And he rationalizes, even though in some limits, self-creative events by means of this categorical scheme. and thereby determinates their unrestricted, open characteristics.

      • 시간과 궁극자의 범주

        문창옥 ( Chang Ok Moon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07 화이트헤드 연구 Vol.15 No.-

        The concept of time in Whitehead`s metaphysics has three basically different levels. One of these is time in concrescence of actual occasion. This is atomic, and indivisible time, which may be called ontological. Another is physical time in the society of occasions which is continuous, and divisible. The other is abstract time which is usually used in modern physical science. Ontological time is the most fundamental, and explains the others. Further, ontological time in actual occasion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Category of the Ultimate which is composed of creativity, many and one. Some of Whiteheadians have argued that creativity itself is temporal, and functions as the foundation of the concept of time in Whitehead`s philosophy. But this is not true. Creativity is never temporal in Whitehead`s system. It, thus, cannot explain time. It is the Category of the Ultimate that rationally analyzes and exposes ontological time in his system. Therefore, it also is incorrect to say that Whitehead merely presupposes that concept of fundamental time or temporality which is usually, but wrongly, understood as an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