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경제적 맥락 속 이탈리아의 코로나19 유행 돌아보기

        문주현 ( Juhyeon Mo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국제사회보장리뷰 Vol.16 No.-

        이 글은 이탈리아의 코로나19 유행과 보건의료체계의 대응을 지역 격차와 건강 격차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 코로나19 발생 전 지난 10년간 벌어진 이탈리아의 지역 격차를 중심으로 사회경제적 맥락을 조망한다. 두 번째, 이탈리아의 지난 1년 코로나19 유행 과정에서 드러난 건강 격차를 탐색한다. 마지막으로는 장기적인 지역 격차와 예기치 못한 건강 격차에 대비하기 위한 교훈을 제시한다.

      • KCI등재

        남성의 양육참여가 유아기 아동의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문주현(Juhyeon Moon),권순만(Soonman Kwon) 한국보건사회학회 2020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54

        본 연구는 아동, 부모, 가족, 양육자원 등을 포함한 한국아동패널 종단자료를 활용해 가족이라는최소한의 사회적 집단에서 남성의 양육이 유아기 아동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동안 주양육자로 주목받지 못했던 남성의 양육참여가 아동기 자녀에게상해 및 사망이 발생할 가능성을 예방할 수 있는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이라는 보건학적 해석을 시도한다. 분석을 통해 검증할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을 구성하는 특성에 따라 유아기 자녀의 의료이용 여부에 차이가 있다. 둘째, 남성의 양육참여가 증가할수록 유아기 자녀가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확률이 감소한다. 셋째, 남성의 양육참여가 증가할수록 유아기 자녀의 의료서비스 이용 횟수가 감소한다.. 분석에 사용한 최종표본은 2010년(3차년도)부터 2012년(5차년도)까지 세 차례의 조사에 모두 참여한 965가구이며, 3개년도 합계 2895개 관측치를 갖는 균형패널을 구축하였다. 종속변수에 따라 분석에는 패널로짓과 패널카운트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확률효과와 고정효과 중 패널개체의 오차항 가정을 검정하여 일치추정량에 적합한 모형을 최종결과에 포함하였다. 유아기 아동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활용된 종속변수는 두 종류의 응급실과 입원서비스 의료이용에 대한 여부와 횟수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가지 가족 관련 특성(여성의 양육참여, 맞벌이 여부, 양육지원 여부)에 비해 참여도와 참여시간으로 측정한 남성의 양육참여의 연도별 변화폭은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남성의 양육참여가 아동건강의 결정요인일 수는 있어도 아동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은 아닐 수 있다. 셋째, 응급실 이용에서는 성별, 출생순위, 만성질환 같은 자녀 관련 특성이, 입원서비스 이용에서는 남성의 연령과 양육지원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남성의연령은 입원서비스 여부와 이용량을 감소시킨 공통적인 요인이다. 향후 양육뿐 아니라 돌봄에 있어 적극적 행위자로서 남성을 고려할 수 있는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정책연구와 제도수립이 지속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father s involvement in childcare influence the medical use in the early childhood. Using the data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which was based on the birth cohorts of 1,703 children born in 2008, the analysis is made with the 3-year balanced panel of 965 households from 2010 to 2012. The major dependent variables were whether the children used the medical service as well as the number of the usage. In terms of medical services, emergency visit and hospitalization were specified. Father s involvements were measured in two ways: the average time spent in a week and the total score of involvement assessed by the partner. In each panel logit and count models, random and fixed effects were selected after testing the statistical hypothesi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ther s involvements in childcare had rarely changed neither by the women s (re)entry to labor market nor the childcare support. Second, although men can influence health status of their children, it may not be a factor influencing their medical use. Third, gender, birth order, chronic diseas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emergency visit, while father s age and child suppor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hospitalization. Lastly, father s age was the only factor to reduce the possibility and frequency of hospitalization of children. This study was an explan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father s involvement on the utilization of health care in the early childhood. It attempted to define the meaning of childcare by fathers and to measure the care in order to their contribution in the context of public healt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