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휘력과 작업기억이 청년과 노인의 문장 읽기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노수림(Soo Rim Noh),문선현(Sun Hyun Moo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3

        노화에 따른 인지 기능의 변화는 읽기처리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 작업기억의 감퇴는 텍스트 정보에 대한 명제적 표상 형성을 어렵게 만드는 한편, 어휘력은 철자해독과 어휘접속 등 단어 수준 표상처리를 촉진하여 인지적 부담이 큰 명제 표상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과 노인의 문장 읽기 효율성(회상률 대비 소요된 읽기 시간)을 비교하고 어휘력과 작업기억이 읽기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 65명과 노인 63명은 창문-이동형 자기조절 읽기(moving-window self-paced reading) 방식으로 다양한 주제를 담은 목표문장을 읽고 회상 과제를 수행하였다. 읽기 효율성은 목표문장의 어절별 읽기 시간의 중앙값을 해당 문장의 명제 회상률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이 청년보다 명제 회상률 대비 소요된 읽기 시간이 길게 나타나 청년보다 읽기 효율성이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어휘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작업기억 용량이 클수록 읽기 효율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휘력은 특히 노인집단에서 읽기 효율성을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휘력이 높은 노인은 어휘력이 낮은 노인보다 효율적인 읽기가 가능함을 보여주며, 어휘력이 노화에 따른 읽기 효율성의 저하를 완화하는 보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sentence reading efficiency of younger and older adults and examined the influence of vocabulary and working memory on reading efficiency. Sixty-five younger and 63 older adults read the target sentences with various topics for subsequent recall. Their reading efficiency was measured by dividing the median segment reading time by the proportion propositional recalled for a target sentence. The results showed that older adults produced a lower rate of recall compared to their reading time than the younger adults did. Therefore, the reading efficiency of older adults was lower than that of the younger adults. Vocabulary and working memory significantly predicted reading efficiency, and vocabular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ading efficiency of the older adults, not the younger adults. Thus, older adults with higher vocabulary could read more efficiently than older adults with lower vocabulary. This suggests that vocabulary plays a protective role in alleviating the deterioration of reading efficiency due to aging.

      • KCI등재

        노인의 문장회상발화에서 나타난 언어적 비유창성 분석

        노수림(Soo Rim Noh),문선현(Sun Hyun Moon),김미숙(Meesook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문장회상 과제를 사용하여 노인의 담화산출 능력을 의미적 측면과 비유창성 발화로 나누어 살펴보고 인지기능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담화산출에서 노화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노인의 비유창성 발화의 기능적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 비유창성 발화가 의미적 측면의 발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노인 56명(만 63-87세)을 대상으로 일련의 목표문장을 읽고 각 문장 정보를 기억나는 대로 소리 내어 회상하는 문장회상 과제를 실시하고 산출된 담화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명제 회상률 즉 의미적 측면 발화의 정확도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비유창성 발화에는 도중 문장 중단하기, 반복, 간투사, 불명확한 대명사 사용이 빈번하게 나타났다. 명제 회상률은 전반적 인지기능, 어휘력, 처리속도, 전두엽 기능 그리고 읽기폭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노인의 비유창성 총 발화율은 여러 인지기능 중 특히 어휘력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노인의 비유창성 발화율은 인지기능과 독립적으로 명제 회상률에 대한 유의한 예측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비유창성 발화가 의미적 측면의 발화 능력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의 문장회상 산출과정에서 나타난 비유 창성 발화의 특성과 인지기능과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담화분석 방법의 새로운 틀을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비유창성 발화가 문장회상 수행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은 언어장애 환자뿐만 아니라 노화로 인한 의사소통장애 증상 감별을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iscourse production ability of older adults by using a sentence recall task in order to examine the link between the linguistic disfluencies and cognitive functioning, and the role of linguistic disfluencies in semantic aspect of sentence recall. Fifty-six older adults (ages 63-87) performed the sentence recall task in which they read short sentences and recalled the contents aloud. Fluency and disfluency in discourse production were measured by the propositional recall as well as the frequency and types of disfluenc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positional recall rate of the elderly was very low, and four types of disfluencies in utterances were frequently found. Second, the propositonal recall rat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overall cognitive function, vocabulary, and reading span. Third, the rate of disfluenc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propositonal recall performance independently after controlling for cognitive functio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linguistic disfluency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semantic aspect of discourse production in addition to cognitive functioning. Thus, disfluent utterances could be indicative of linguistic decline due to normal as well as pathological aging.

      • KCI등재

        AI 스피커의 시각적 피드백 제시가 청년 및 중·장년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승철(Seung Chul Lee),문선현(Sun Hyun Moon),노수림(Soo Rim Noh)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3

        인공지능(AI) 스피커는 스마트홈 구축과 다양한 콘텐츠 제공 등 다양한 기능으로 많은 사용자가 있으나, 만족도는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만족도의 저하는 기기에 대한 지속사용의도를 감소시켜 사용자들이 더 이상 기기를 사용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AI 스피커에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청년 61명(21~39세)과 중·장년 61명(42~62세)을 대상으로 시각적 피드백 제공이 AI 스피커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정서경험과 호감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AI 스피커와 상호작용하는 상황에서 대화가 단절되는 경우의 영상을 촬영하여 절반의 참가자들에게는 촬영한 영상을 그대로 제공하고(통제집단), 나머지 절반의 참가자들은 촬영한 영상 내 상황과 관련된 아이콘을 AI 스피커 전면부에 합성하여 시각적 피드백이 제공되는 영상을 시청하였다(실험집단). 분석 결과, 중·장년 집단에서는 시각적 피드백 제시가 긍정적인 정서경험과 호감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지속사용의도를 증가시키는 이중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청년에서는 정서경험과 호감도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AI 스피커와 대화가 단절되는 상황에서 시각적 피드백 제공이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연령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중·장년 사용자들에게는 AI 스피커와 대화 단절 상황에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기기의 지속적인 사용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speakers are widely used in smart home environments, but user satisfaction is low, which can discourage use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device. To address this, researchers have suggested adding visual feedback to AI speaker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on AI speaker usage intentio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experience and product attitude in younger and middle-aged adults. Videos of AI speaker disconnection situations were filmed, half of the participants were shown the videos (control group). The other half watched videos with visual feedback where context-related icons were added to the AI speakers (experimental group). For middle-aged group showed that visual feedback increased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which in turn increased attitude toward the AI speaker, ultimately leading to greate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However, in younger participants, emotional experience and product attitud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feedback and usage inten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influence of visual feedback on usage intention in user-AI speaker disconnection situations is depends on age, whereby visual feedback is especially efficacious for augmenting the usage intention of middle-aged AI speak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