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濯纓 金馹孫의 樓亭記 硏究

        문범두 한민족어문학회 2009 韓民族語文學 Vol.55 No.-

        Kim Il-son(1464-1498) was a scholar and govement official of Josun dynasty. He wrote six pieces of nujeong-gi. I expect to find the aspects of literary expression and writer's intent through analyzing of them. Nujeong-gi is one of the traditional literary styl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Korea and China in the middle age. This originally aims to record the facts about the nujeong which is the old building style for enjoying music and poem, having meeting and teaching children and so on. And the plot of nujeong-gi is consisted of reporting about expense, duration, the number of works which need to construct a nujeong. But, on the other hand, a writer can change the narrative to obtain his own aesthetic pleasure and to express his thinking of politics and society. The expression of nature in his works is unique in comparison with other's works. He simply isn't draw visual things but tries to see something between nature and his internal thinking. And another feature of his works is to express the passage while he get to nujeong. He was a member of Sarim(士林) which was a revolutionary scholar group who studied 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They regarded the nature as a place that they can train their mind and find the universal truth. His expression of nature means that he understood the nujeong as the symbol of Sarim spirit, not just the place of amusement. The plot of his works has a series of meaning system, that is, main idea-applause-advice. It makes us believe that the main idea actually can come true. Sarim took a serious view of practical moral of Confucianism as like loyalty and filial piety, not idealogical thinking. It is sure that Kim intended to insert this ideology into controversial part of each work. We can find it through his applause and advice for local official. He has tried to improve social problems by writing activity. And he appealed to his king several times. I am sure, Kim thought that his nujeonggi was the best effective method which he could express his opinion of local political ideology and the virtue local official must have. 탁영은 비교적 많은 수의 누정기를 남겼다. 이 연구에서는 누정기의 양식적 특징을 개관하고, 그 변용의 과정에 반영된 탁영의 문학적 성취와 작가의식을 살펴보고자 하였 다. 기는 기본적으로 비망기적 기록을 목적으로 한 한문문체로서, 전서사 후의론의 형태를 갖춘 것이 정형이 된다. 누정기는 기의 하위양식으로서 건축물과 관련된 직, 간접적 사실 정보를 단락요소로 하여 구성된다. 누정기가 다른 한문산문에 비해 특별히 문예미가 높 은 것은 누정이 지니는 위치, 용도, 명의 등의 고유한 성격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누정 작가는 이를 적의하게 연변시킴으로써 문예미학적 효과를 높이고 작가적 사유를 개입시 키게 되는 것이다. 탁영은 경물 묘사에서 가시적인 물상을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았다. 그는 자연경물과 인문적 사상을 진지하게 성찰함으로써 이를 내면의 지적 인식과 적의하게 조응시키고 있다. 특징적인 것은, 자신이 서사세계의 주체가 되어 누정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기술하 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누정이 그에게 있어서 단순한 유흥의 장소가 아니라, 자연을 통해서 추구하고 성취하려는 이념적 지향이 응집되고 귀결된 지점으로서의 의미를 갖게 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탁영 누정기에서의 의론부분은 입론-칭상 또는 입론-칭상-권계 의 구조를 보여준다. 이는 서사의 과정이 연역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논증형식으로 이루 어지게 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공감의 폭을 넓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즉, 입론으로 삼은 유학적 이념이 실질적으로 개인의 행위로 실현될 수 있음을 예증하게 되는 것이다. 탁영은 문학을 도의 구현수단으로 이해하였다. 누정기의 의론에서는 유학의 일반적인 도를 입론으로 설정하였다. 그러나 그가 작품을 통해 드러내려고 하는 도는 사림의 일원 으로서 지닌 수 있는 구체적인 사유방식도 있을 것이다. 사림의 성리학은 실천적 경향을 보였는데, 정치적으로는 의리실천을, 개인적 차원에서는 윤리실천으로 이해될 수 있다. 누정주에 대한 칭상, 권면을 통해서 이를 드러내려는 작가의식을 뚜렷이 볼 수 있다.

      • KCI등재

        寒齋 李穆의 賦 硏究

        문범두 한민족어문학회 2022 韓民族語文學 Vol.- No.97

        Yi Mok was a scholar and official of King Seongjong (成宗) of the Joseon Dynasty. By creating "Dabu(茶賦)," he occupie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tea culture. Recently, discussions have ensued regarding his thoughts and studies. It is desirable in that it is possible to expect an objective evaluation, of emerging Confucian scholars who were promising at the time. This study targeted his works of 'Bu', one of the traditional literary styles. Yi Mok wrote a total of nine works. I thin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properly evaluating his literary result, and expanding his understanding of the world of thought. He clearly expresses his critical position, against the works of the previous era. He thought that works of the previous era usually used clich terms and only pursued the splendor of the sentence. At the same time, he is clearly established his principles of creating works. First, he said that Bu should include praise of Confucianism. He also stressed that it should contribute to purifying the country's customs by teaching the people. Also, he argued that it should contribute to mental training. Yi Mok's works cover traditional forms, so it is often difficult to include them in a specific type. Some are narrative works with strong characteristics of works of the Han (漢) Dynasty. Another work takes the form of a fable. There is only one lyrical work. All of these works have achieved high aesthetic results. Many of his works embrace his political consciousness. This is because as a young intellectual, it is very important to set goals for national management, as well as to think about how to manage it. This was expressed in the work as identifying a path towards protecting people from pain, and making the king, who is the leader of politics, train himself. On one hand, this political consciousness was expressed as rebuilding an ancient kingdom of China in reality. Some of Yi Mok's works include philosophical themes. One work embraces the concept of Taoism, and so far, it has been difficult to grasp the subject consciousness. But the logic that dominates this work is very simple. It was intended to explain the value of Confucianism, by dividing it into semantic paragraphs. Another work shows the artist's Confucian beliefs, as well as Taoist orientation, with tea as the subject. This is a matter of course to keep the purity of Confucianism, while ignoring the political reality for a while, and enjoy the freedom of mind. Additionally, as a young scholar, efforts not to be trapped in a rigid or dogmatic framework are also reflected here. 한재 이목은 우리나라 최초의 차서인 「다부(茶賦)」의 작가이다. 이런 이유로 「다부」를 대상으로 한 차문화학 분야에서 많은 연구성과가 축적되었다. 최근에 이르러 그의 사상과 학문 전반에 걸쳐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당대 촉망받던 신진 유학자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기대해 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한 일이다. 본고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다부」를 포함하고 있는 그의 부(賦) 작품이다. 한재의 문집에는 모두 아홉 편의 부가 실려 있다. 작품 수도 비교적 많거니와, 몽유구조나 대화체, 우언의 형식 등 여기에 쓰인 수사의 방식도 다양하다. 본 연구는 부 작품을 통하여 한재의 문학 성과를 제대로 평가하고 그의 사유 세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시도되었다. 본고에서는 먼저 한재의 부 양식에 대한 관점과 문장 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는 선대 부 작품의 기술 태도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분명히 한다. 즉 이들이 대개 언어의 조탁과 문장의 화미함에만 치중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이런 평가를 바탕으로 부 작법에 대한 나름의 원칙을 분명히 세우고 있다. 우선 부는 사문을 찬양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 백성들을 교화함으로써 풍속을 순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이 담겨야 한다고 강조한다. 나아가 내면의 수행을 통한 성정의 도야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한재의 부는 전통적인 형식을 두루 포괄하고 있어서 특정 유형에 귀속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일부 작품은 한부의 특성을 강하게 지니는 서사부의 형태를 띠고 있다. 또 일부는 우의의 형식으로 전개되는데 고문의 영향을 받아 유행했던 문부의 형식을 지니고 있다. 서정소부의 형태를 지닌 작품도 있다. 그의 부는 양식상의 관습을 습용하면서, 한편으로는 다양한 문학 수사를 동원하고 있다. 이러한 점이 주제의 각인 효과를 높이고 미학적 성취를 이루게 된 중요한 요인이라 하겠다. 한재의 부에는 그의 경세 의식이 뚜렷이 드러나고 있다. 청년유학자로서 치국치세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 방법을 고민하는 것은 매우 중요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작품에서 고통 속에 있는 백성의 현실을 직시하고, 군왕으로 하여금 스스로를 수양케 하는 것 등으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경세관은 한편으로 요순삼대의 지향으로 표현되고 있다. 이는 특히 한재의 부에서 중요한 주제의식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재의 부 중에는 내면세계의 탐색 과정을 중심으로 구성한 작품도 있다. 「허실생백부」는 도가의 개념을 수용하여 유학자의 수양 과정과 그를 통한 치세의 과정을 표현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다부」는 차(茶)에 관하여 쓴 것으로, 기존의 차에 대한 정보들을 재해석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서사의 논리구조로는 궁극의 도를 이루기 위해서는 유가적 수양이 최선임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작가의식의 차원에서는 도가와 신선사상에 대한 한재의 또 다른 지향을 읽을 수 있다. 이런 사유의 태도가 그의 부 작품을 독특하고 개성적으로 이끌게 된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