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합류부 하상고 불일치에 의한 두부침식 및 분리구역 특성분석

        최홍식,모선재,이삼희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11

        본 연구는 지류의 합류각, 지류와 본류의 유량비, 준설 깊이비의 변화에 따른 지류에서의 두부침식 양상과 합류부 이동상 하도에서의 분리구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리구역은 지류가 합류되어진 직후 단면에서의 유속이 0(영)인 구간으로 정의하였다. 준설 깊이에 따른 두부침식이 발생치 않은 범위를 제시하였다. 합류각, 유량비, 준설 깊이비 증가에 따른 두부침식 깊이비 및 천급점의 이동거리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천급점의 이동거리비의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이동상 하도에서의 유량비와 합류각 증가에 따른 분리구역의 길이비 및 폭비는 고정상 하도에서와 같은 양상으로 증가하였 다. 준설 깊이비 증가에 따른 분리구역의 길이비는 감소하고 폭비은 증가하여 형상지수는 크게 증가하여 통수단면의 감소로 배수위 현상이 기대된다. 고정상 하도와 이동상하도에서의 합류각, 유량비, 준설 깊이비에 따른 형상지수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The pattern of headward erosion at tributary and the separation zone formation in a loosed bed at confluence according to the confluence angle, discharge ratio, and dredging depth ratio have been analyzed. The separation zone is defined the inside of zero velocity boundary at downstream of confluence. The limit of separation zone occurrence is presented with dredging depth ratio. The propagation length of knickpoint increases as the confluence angle, discharge ratio, and dredging depth ratio increase in general and its regression equation has been suggested. The length and width ratios of separation zone in a loosed bed increase as discharge ratio and confluence angle increase as well as in a fixed bed. The length ratio decreases and the width ratio increases as dredging depth ratio increases results in great increase of shape factor and backwater rise by the conveyance reduction at confluence. The regression equation of shape factor with confluence angle, discharge ratio, and dredging depth ratio has been suggested.

      • KCI등재

        합류부 하상고 불일치에 의한 분리구역 특성분석

        최흥식,모선재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8

        합류부에서의지류의합류각, 지류와본류의유량비에추가하여, 본류준설에의한하상고불일치에따른다양한양상의 분리구역의특성을CCHE2D 모형을사용하여분석하였다. 분리구역은지류가합류되어진직후단면에서의유속이0(영)인 경계로정의하였다. 합류각30° 이하에서는분리구역이형성되지않았다. 유량비와합류각증가에따른분리구역의크기는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준설 깊이비 증가에 따른 분리구역의 크기는 합류부 수용체의 증가에 기인한 지류에서의상대적인 운동량의감소로인하여감소되었다. 유량비와합류각의변화에따른분리구역의수축지수를규명하 였고, 통수기능의저하에따른배수영향을확인하였다. 합류각, 유량비, 준설깊이비에따른분리구역의형상지수의관계식 을 제안하였다. The diverse patterns of separation zone according to the marked bed discordance by dredging at confluence in addition to the confluence angle of tributary and discharge ratio between tributary and main channels have been analyzed by CCHE2D model simulation. The separation zone is defined by inside of zero velocity boundary at down-stream of confluence. The separation zone dose not formed at the 30° of confluence angle of tributary. The size of separation zone increases as the discharge ratio and confluence angle increase in general. The separation zone decreases as the dredging depth increases which shows the relative momentum reduction compared by the flow volume increasing by dredging at confluence. The contraction factor with the variation of confluence angle and discharge ratio has been investigated and confirmed the corresponding conveyance decreasing results in backwater effect. The regression equation of shape factor with confluence angle and discharge and dredging depth ratios has been suggested.

      • KCI등재

        합류부 하상고 불일치에 의한 분리구역 특성분석

        최흥식,모선재,Choi, Heung Sik,Mo, Sun Jea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8

        합류부에서의 지류의 합류각, 지류와 본류의 유량비에 추가하여, 본류 준설에 의한 하상고 불일치에 따른 다양한 양상의 분리구역의 특성을 CCHE2D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리구역은 지류가 합류되어진 직후 단면에서의 유속이 0(영)인 경계로 정의하였다. 합류각 $30^{\circ}$ 이하에서는 분리구역이 형성되지 않았다. 유량비와 합류각 증가에 따른 분리구역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준설 깊이비 증가에 따른 분리구역의 크기는 합류부 수용체의 증가에 기인한 지류에서의 상대적인 운동량의 감소로 인하여 감소되었다. 유량비와 합류각의 변화에 따른 분리구역의 수축지수를 규명하였고, 통수기능의 저하에 따른 배수영향을 확인하였다. 합류각, 유량비, 준설 깊이비에 따른 분리구역의 형상지수의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The diverse patterns of separation zone according to the marked bed discordance by dredging at confluence in addition to the confluence angle of tributary and discharge ratio between tributary and main channels have been analyzed by CCHE2D model simulation. The separation zone is defined by inside of zero velocity boundary at down-stream of confluence. The separation zone dose not formed at the $30^{\circ}$ of confluence angle of tributary. The size of separation zone increases as the discharge ratio and confluence angle increase in general. The separation zone decreases as the dredging depth increases which shows the relative momentum reduction compared by the flow volume increasing by dredging at confluence. The contraction factor with the variation of confluence angle and discharge ratio has been investigated and confirmed the corresponding conveyance decreasing results in backwater effect. The regression equation of shape factor with confluence angle and discharge and dredging depth ratios has been suggested.

      • KCI등재

        합류부 하상고 불일치에 의한 두부침식 및 분리구역 특성분석

        최흥식,모선재,이삼희,Choi, Heung Sik,Mo, Sun Jea,Lee, Sam Hee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11

        본 연구는 지류의 합류각, 지류와 본류의 유량비, 준설 깊이비의 변화에 따른 지류에서의 두부침식 양상과 합류부 이동상 하도에서의 분리구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리구역은 지류가 합류되어진 직후 단면에서의 유속이 0(영)인 구간으로 정의하였다. 준설 깊이에 따른 두부침식이 발생치 않은 범위를 제시하였다. 합류각, 유량비, 준설 깊이비 증가에 따른 두부침식 깊이비 및 천급점의 이동거리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천급점의 이동거리비의 관계식을 제시하였다. 이동상 하도에서의 유량비와 합류각 증가에 따른 분리구역의 길이비 및 폭비는 고정상 하도에서와 같은 양상으로 증가하였다. 준설 깊이비 증가에 따른 분리구역의 길이비는 감소하고 폭비은 증가하여 형상지수는 크게 증가하여 통수단면의 감소로 배수위 현상이 기대된다. 고정상 하도와 이동상하도에서의 합류각, 유량비, 준설 깊이비에 따른 형상지수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The pattern of headward erosion at tributary and the separation zone formation in a loosed bed at confluence according to the confluence angle, discharge ratio, and dredging depth ratio have been analyzed. The separation zone is defined the inside of zero velocity boundary at downstream of confluence. The limit of separation zone occurrence is presented with dredging depth ratio. The propagation length of knickpoint increases as the confluence angle, discharge ratio, and dredging depth ratio increase in general and its regression equation has been suggested. The length and width ratios of separation zone in a loosed bed increase as discharge ratio and confluence angle increase as well as in a fixed bed. The length ratio decreases and the width ratio increases as dredging depth ratio increases results in great increase of shape factor and backwater rise by the conveyance reduction at confluence. The regression equation of shape factor with confluence angle, discharge ratio, and dredging depth ratio has been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