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소마케팅관점에서의 에코뮤지엄 공간디자인 연구

        맹지은(Maeng, Ji Eun),최저아(Choi, Jeong Ah)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3

        세계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지역성에 기반을 둔 지역경쟁력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함께 지역문화를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장소개발을 목표로 한 장소마케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뮤지엄 분야 또한 장소의 가치를 보호하고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에코뮤지엄이 등장하였고 관람객 체험을 중시하는 마케팅 개념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장소마케팅관점에서의 에코뮤지엄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관련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소마케팅관점에서 에코뮤지엄의 가치를 밝히고 에코뮤지엄 공간디자인을 위한 보다 전략적이고 실질적인 제언을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장소마케팅관점에서의 공간디자인요소를 도출하였고,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알아보고 장소마케팅을 위한 공간디자인요소가 되는 에코뮤지엄의 장소자산을 살펴보았다. 이를 분석의 틀로 사례 분석을 진행한 결과, 연구자는 에코뮤지엄이 사이트 간의 이동에 따른 거리와 시간을 고려하며 발견의 길을 통해 몰링을 유도하고, 역사적 건축물의 보존과 함께 맥락적인 전시 컨텐츠를 개발하여 컨셉트 라인을 유지하고, 지역의 상징적 건축물을 중심으로 랜드마크를 형성하여 동선과 의미를 강화하고, 지역 고유의 매력적인 자산을 활용한 코어 어트랙션을 개발하여 방문자가 체험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유도하며 장소성을 강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방자치제를 배경으로 지역간의 균형적 발전과 지역성 보호에 관심이 증대되는 이때에 본 연구가 장소마케팅관점에서의 에코뮤지엄에 관한 기초연구로서 관련연구 활성화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With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competitiveness based on local identity has been emphasized. On top of that, place marketing for place development has been actively discussed as the notion including local culture. Also in the museum field, ecomuseum has been important to prevent the value of the place and to pursue sustainable development of it and further the concept of marketing has been applied for visitor"s experience. However, ecomuseum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place marketing have not been conducted enough yet.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value of ecomuseum and to suggest substantive strategies for the rootage and development of it. To do so, first spatial design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place marketing are developed and place assets of ecomuseum as spatial design elements is examined after ecomuseum is investigated. with the framework, the research is able to confirm the following results after analyzing the spatial design elements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Ecomuseum induces the malling through the discovery trails considering the travel distance and time according to the transportation method between sites. It maintains the concept line by developing contextual exhibit content together with the preservation of historic buildings. It strengthens the moving line and meaning by forming a landmark focusing on representative symbols of the region. It encourages visitors to participate in self-experience programs by developing the core attraction utilizing unique and attractive assets of the reg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develop the related studies as a basic study of ecomuseum from the perspective of place marketing in Korea where both interests of the balanced development between regions and protecting locality are growing in the background of municip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