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학교 유형과 성별에 따른 행복 비교

        이병임(Byunglim Lee),류형선(Hyungsun Ryu) 한국영재교육학회 2011 영재와 영재교육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고등학교 남녀학생과 일반 고등학교 남녀학생들의 행복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에 소재한 과학고 1학년 129명(남학생 111명, 여학생 18명)과 인문계고등학교 1학년 학생 163명(남학생 75명, 여학생 88)이었다. 행복은 학업 및 성적, 가족 및 친지, 삶의 목적 및 성취, 경제력, 대인관계, 가치관 및 신념, 건강 등 7개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고와 일반고 간에는 학업 및 성적, 삶의 목적 및 성취, 경제력, 가치관 및 신념, 건강 등의 5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과학고와 일반고 모두에서 남녀 간에 유 의미한 행복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학교 유형과 성별에 따른 네 집단(학교유형 2 × 성별 2)에서는 학업 및 성적, 삶의 목적 및 성취, 경제력, 가치관 및 신념, 건강 등의 5개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과학고 학생들이 일반고 학생들보다 더 행복하다고 느끼는 이유로 첫째, 과학고 학생의 경우 중학교 때까지 학업 면에서 우수하여 부모나 교사들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받았다는 점과 특성화된 교육프로그램을 들었고, 둘째, 어려운 관문을 통과해서 과학고라고 하는 상위권 학교에 입학한 점을 들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compared the science gifted student' happiness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happiness. Data were gathered through direct survey to science gifted high school and general high school in Seoul. For the study, 189 science gifted students(male = 111, female = 18) and 163 general high school students(male = 75, female = 88)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ience gifted high school male and female students in happines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 high school male and female students in happiness. Third, the science gifted high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appiness compared to the general high student. The possible reasons for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he light of previous studies. Also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of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성찰 및 민주시민의식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하주현 ( Juhyun Hah ),이병임 ( Byunglim Lee ),류형선 ( Hyungsun Ryu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기성찰과 민주시민의식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유아교육과 학생 총 177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적률상관계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자기성찰과 민주시민의식이 다문화교육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결과는 첫째, 자기성찰, 시민의식, 다문화교육역량 변인 중 민주시민의식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성찰, 민주시민의식 그리고 다문화교육역량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셋째, 자기성찰, 민주시민의식은 다문화교육역량 및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으로 첫째, 질적 접근 방법을 고려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학년별 차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관련수업이나 다문화 경험들이 자기성찰과 민주시민의식, 다문화교육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추가연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self-reflection and democratic awareness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77 early childhood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in total.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s a research content, It was verified that self-reflection and democratic awarenes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The results showed following. First, among the variables of self-reflection, democratic awareness,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the lowest average was shown in democratic awareness. Second, self-reflection, democratic awarenes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ird, self-reflection, democratic awarenes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As a limitation and suggestion of the study, first, a follow-up study considering a qualitative approach is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grades of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the multicultural classes and multicultural experiences of prospective infant teachers are self-reflection and democratic citiz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