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7년 개정 초등미술과 교육과정의 검토와 논의

        류재만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7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2 No.-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이 수정・보완되어 2007년 2월에 고시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을 운영해 오는 동안에 국내외의 급격한 사회・문화 환경의 변화와 그동안 학교 현장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일환으로 부분적으로 수정되었다. 그동안 전면적으로 개정해 오던 관행에서 벗어나 개정의 필요가 있을 때마다 수시로 개정한다는 정부의 방침에 따라 이 번 개정 교육과정은 제7차 미술과 교육과정의 기본 이념과 내용체계의 틀을 유지하면서 부분적으로 수정되었다. 개정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제시된 것으로 학년 군별 목표, 시각 문화 환경, 미술 문화, 표현 과정, 시각 이미지를 통한 미술의 의사소통 강조 등이다. 본 글에서는 개정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검토하고, 현행교육과정과 개정교육과정의 비교, 개정교육과정의 특징,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Seventh Curriculum underwent a series of revision efforts that were driven by the introduction of the five-weekday system, demands to revise and supplement it, and the society's needs for cultural and educational purposes in art education. It's only natural that curriculums should try to meet the social and cultural needs that are increasingly changing and complex. Living in the floods of visual culture today, we need to equip ourselves with a right understanding of it and critical views. In that sense, the revised art curriculum does reflect the efforts to embrace a new academic tendency called visual culture. Emphasizing visual culture, setting goals by the grades are included in the revised curriculum. New art culture is major of appreciation and the process of expressions is key of expressions. To prevent confusion on applying, the framework of the contents is maintained to the current curriculum. However, dividing the content systems into the areas of aesthetic experiences, expressions and appreciation needs more reviews and researches. In the curriculum, aesthetic experiences are used as a smaller concept as part of the content system. The revised curriculum will have its own meaning only after it's exercised in school beyond the stage of promulgation in documents. Therefore, it's important to provide practical training sessions to the teachers before enforcement.

      • KCI등재

        전통그림 읽기를 통한 감상지도 모색

        류재만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0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7 No.-

        전통 그림에서는 현실에서 존재하는 자연물일지라도 그림 속의 자연은 본래의 자연물이 아니라 그리는 이의 사상과 정서를 매개하는 상징물인 것이다. 우리는 이 상징성을 읽고 해석을 통해서 조상들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전통그림을 읽기 지도를 위한 방법에는 사회·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읽기, 우의를 중심으로 읽기, 동음이자의 원리로 읽기, 고전적 명구 관련하여 읽기, 일화와 관련하여 읽기 등이 있다. 학생들이 서양의 그림이나 미술문화에 더 익숙하고 우리 전통그림이나 미술문화에 대해서 더 모르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전통 미술문화에 대한 막연한 자부심만 가질 것을 강조할 것이 아니라 전통그림에 대한 바른 읽기를 통해서, 우리미술문화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 또 조상들의 생활과 문화를 이해하고 오늘날 우리의 삶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 지를 찾을 수 있도록 지도되어야 한다. 전통그림 읽기를 통해서 학생들에게 읽는 방법을 이해시키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전통그림의 읽는 방법을 소개하고 관심을 갖게 하는 데 있다. Although paintings are painted under the name of Korean paintings, it's difficult to find the Samjeol ideology, which is usually reflected in traditional paintings, and the spirit to present symbolism with nature in them. Today's reality is that the materials of traditional paintings are used to paint from the Western perspectives. It's time to search for the ways to shed new light onto traditional art, bring life to it, and accept and recreate it as cultures of no nationality are created. In traditional paintings, natural objects, which are present in reality, are not depicted exactly as they are but represent the painter's thoughts and emotions as symbols. By reading and interpreting such symbolism, we can understand the culture of our ancestors. There are several ways to instruct the students about how to read traditional paintings, and they include reading based on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 paintings, reading based on allegories, reading in the principle of homonyms, reading in relation with famous lines from classical works, and reading in relation with anecdotes. Being accustomed to the Western culture and unfamiliar with the traditional one, the young generations should learn to read traditional paintings so that they can understand, inherit, and develop the originality and excellence of our art culture and use it as the foundation for creating a new culture.

      • 열린미술학습의 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류재만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 1997 師鄕美術敎育論叢 Vol.5 No.-

        이 글에서는 열린 미술학습에로의 접근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열린 미술교육의 철학적 기초, 열린 미술교육의 교수 방법의 유형, 열린 미술학습의 수업모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 화원교육에 대한 미술 교육적 재고

        류재만 한국조형교육학회 2006 造形敎育 Vol.0 No.28

        조선시대는 역사 이래 미술문화가 가장 번성했던 시기이며, 무엇보다도 국가가 필요로 하는 미술 전문 인력을 국립미술교육기관인 도화서라는 양성기관에서 배출했다는 점에서 미술교육이 존재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조선시대 화원미술교육에 관해 자료의 희소성과 오늘날과 다른 교육환경 속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화원교육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원관련 여러 사적 자료들을 근거로 현대교육학적 관점에서 재해석을 통해서 화원교육을 조망해 보고자 한다. Hwawon of the Joseon court were painters who specialized in painting under the command of Dohwaseo which was established as a national organization or Gyujanggak. The view of fine arts education in Joseon Dynasty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values for public interest which considered painting as a role of realizing political ideology based on Confucianism, ideology of various arts and crafts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regarding drawing as arts, and signal values which viewed drawing as a way of cultivating one's personality. The objective of fine arts education for Hwawon was to train for a skill to describe something exactly, and its curriculum attached importance to copying of picture books or fine works, minute description skill, sketching of real things, and ornamental and practical pictures. And its assessment laid its importance on exact depiction and reality that all things including even a strand of hair are depicted as they are. As an official organization of fine arts education, Dohwaseo under the system took charge of drawing realistic records, so the educational contents were restricted by demands of the ruling class and the Royal House. Nevertheless, its meaning is laid on the fact that it cultivated painters in Joseon Dynasty through its systematic curriculum. Hwawon produced famous painters and the culture of fine arts led by them are taught as traditional fine arts in modern fine arts education. When it is said that the traditional fine arts is to succeed cultural asset of our ancestors, the succession means just educ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