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Eliciting User Requirements and Design Directions for Autonomous Logistics Vehicles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Ga Young Ryu(류가영),Gui Young Kim(김귀영),Young Woo Kim(김영우),Yong Gu Ji(지용구)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urpose Built Vehicles(PBVs) in future smart cities, elicit opinions(expectations, concerns) about self-driving vehicles from logistics-related workers based on qualitative data, and analyze user needs in the design. Background: As social interest in autonomous vehicles increases, expect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autonomous driving in future logistics systems are rising. Last Delivery, the final stage of logistics, requires boarding of related workers and final delivery work even when the logistics system is automated. Smart cities, where automated processes will be introduced, are expected to bring about future systems that reduce the physical load or unnecessary behavior of delivery tasks, and need to be reflected in future self-driving environments. Method: A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on 12 logistics staff on future self-driving logistics vehicles, and a total of 6 subjects were conducted. The study was divided into 2 groups of 3, and each group was introduced to the concept of autonomous vehicles and interviewed on their expectations as well as concerns regarding autonomous logistics vehicles in their tasks. A maximum of 5 minutes was allocated per person so that all participants could express their opinions. Finally, the needs of users applicable to the design of autonomous logistics vehicles were elicited. Results: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coding and categorizing the utterance contents of self-driving vehicles. As a result of grouping the opinions of the derived study subjects by subjective judgments of the researcher, it was found that they showed positive and negative views on self-driving logistics vehicles, where mainly positive attitudes were high. The positive opinions commonly uttered were about ‘rest’, ‘shortening delivery time’ and ‘automatic departure and arrival’ during autonomous driving, while negative utterances were derived from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and ‘concern’ due to driving errors. The needs for design were found to be necessary for modularization of vehicles that can be used flexibly by users, automation that can be controlled without touch manipulation, and monitoring systems for customer response and safety. Conclusion: The self-driving logistics vehicle environment elici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has been shown to pursue physical comfort by expanding rest and shortening working hours due to automation of vehicles, and requires consideration for space utilization, operation load reduction, and real-time monitoring systems. Application: The direction of purpose-based vehicles elicited through this study and group interviews of hands-on worker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designing future self-driving logistics vehicles and developing delivery work processes.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자율주행 물류 차량의 사용자 요구사항 및 설계 방향 도출

        류가영(Ga Young Ryu),김귀영(Gui Young Kim),김영우(Young Woo Kim),지용구(Yong Gu Ji)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스마트 시티 내 목적 기반 차량(PBV)에 대해 조사해보고 물류 관련 종사자들의 자율주행 택배 차량에 대한 견해(기대감, 우려사항)를 정성적 데이터를 통해 도출하고, 설계 단계에서 필요한 사용자 니즈에 대해 분석한다. Background: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미래 물류 시스템의 자율주행 적용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물류의 최종 단계인 라스트 딜리버리(Last Delivery)는 물류 시스템이 자동화 되는 시점에도 관련 종사자의 탑승과 마지막 배송 업무를 필요로 한다. 자동화된 프로세스가 도입될 스마트 시티는 배송 업무의 신체적 부하나 불필요한 행동을 단축하는 미래형 시스템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하고, 향후 자율주행 환경에서 업무 프로세스와 배송 시스템, 그리고 미래형 물류 차량의 기대하는 바와 설계 시 반영되어야 할 니즈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Method: 택배 관련 실무자 12명을 대상으로 미래 자율주행 물류 차량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6명씩 총 두 번에 걸쳐 진행되었다. 실험은 3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자율 주행 차량에 대한 소개, 본인의 과업 내 자율주행 물류 차량에서 기대하는 점과 우려 사항에 대해 인터뷰하였고, 1인당 최대 5분의 시간을 할당하여 모든 사용자가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율주행 물류 차량의 설계에 적용 가능한 사용자의 니즈를 도출하였다. Results: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발화 내용을 코딩하고 범주화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도출된 연구 대상자의 의견을 연구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집단화 한 결과, 자율주행 물류 차량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견해를 보였고 주로 긍정적인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발화된 긍정적 의견은 자율주행 시 ‘휴식’, ‘배송시간 단축’, ‘자동 출·도착’에 대한 내용이 많았고, 부정적인 발화는 주행 오류로 인한 ‘불안감’, ‘우려’의 심리적인 요소들이 도출되었다. 설계에 대한 니즈는 사용자가 유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차량의 모듈화, 터치 조작없이 제어 가능한 자동화, 고객 응대와 안전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 사항으로 나타났다. Conclusion: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자율주행 물류 차량 환경은 휴식의 확대로 신체적 안락함을 추구하고 차량의 자동화에 따른 업무 시간 단축으로 나타났으며, 설계 시 사용자에 따른 공간 활용, 조작 부하 절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Application: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목적기반차량의 방향성과 택배 종사자들의 그룹 인터뷰는 미래 자율주행 물류 차량에 대해 디자인하고 배송 업무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데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