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로 비대면 학기를 경험한 대학생의 학교소속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접근-회피동기의 조절효과

        민설희(Seolhee Min),도유진(Yujin Do),강경민(Kyungmin Kang),이다정(Dajeong Lee),조수현(Soohyun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에서는 COVID-19 상황에서 비대면 학기를 경험하는 대학생의 학교소속감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접근-회피동기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비대면 학기를 경험한 대학생 189명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28일부터 8월 6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F검증을 실시하여 변인 간 관계 파악 및 접근-회피동기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t-검증을 통해 수업운영형태에 따른 변인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접근 동기는 학교소속감과 대학생활적응의 각 하위변인 모두와 정적상관, 학교거부감과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피 동기는 학교거부감과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과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접근 동기는 학교거부감과 학업적응간의 관계를 부적으로 조절해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학교소속감과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 간의 관계에서는 정적으로 조절해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수업운영형태에 따라 연구 변인별 평균 비교를 실시한 결과 대학환경적응에서 비대면 수업집단이 혼합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결론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이 지각하는 학교소속감 및 대학생활적응 어려움과 관련하여 개인의 대인동기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상담적 개입방안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개인이 지각하는 소속감 혹은 거부감에 따른 접근 동기의 양면적 특성을 고려하는 상담적 개입방안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school-belonging, adjustment to college and approach- avoidance motivation i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ing the online-semester under COVID-19. Methods For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89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online- semester from July 28 to August 6, 2020. This study conduct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F test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nd to validate moderating effects of approach-avoidance motivation. Then, we conducted paired T-test to compare the level of variables each group with the class operation type. Results First, the approach motiv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of the sub-variables of the school-belonging and college adapta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chool-rejection. The avoidance motiv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hool-rejection,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cademic adjustment, the social adjustment, and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Second, the approach motivation presented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rejection and the academic adjustment, but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at the relationship of the school-belonging with the social adjustment and the attachment to the institution respectively. Third, the Mean comparison of sub-variables of college adaptation by the two types of the operating class reported that the the online class group showed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igher level in the attachment to the institution compared with the combined group both the in-person and the online class. Conclusions Based on this, the need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to examine the individual s interpersonal motivation in relation to the sense of school-belonging among college students and the difficulties in college adaptation was suggested. The specified counseling interventions tapping the both-sided characteristics of approach- motivation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