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교정 굴절이상 유병률 및 관련 요인 분석

        강민재(Min Jae Kang),임형택(Tyler Hyung Taek Rim),김성수(Sung Soo Kim),대한안과학회 역학조사위원회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8

        목적: 국내 저교정 굴절이상의 유병률과 이와 관련된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완료한 36,162명의 우안을 기준으로 유병률을 산출했다. 저교정 굴절이상은 시력 교정을 하였을 때, 시력이 나안 시력 혹은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고 있을 때보다 시력이 2줄 이상 호전을 보이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직업군별로 저교정 굴절이상의 분율을 제시하고, 사회인구통계학적인 요인과 관련성을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총 36,162명의 대상자 중 6,954명이, 40세 이상 19,884명 중 3,980명이 저교정 굴절이상에 해당하였고, 이는 전 연령대상 18.5%, 40세 이상에서 18.8%의 유병률로 추정되었다. 기존의 시력교정기구를 착용하는 군과 시력교정기구가 없는 군을 나누어서 보았을 때, 시력교정기구가 없는 군에서 저교정 굴절이상의 유병률은 23.1%로 높았다. 4줄 이상 시력 상승을 보인 군은 전체에서 7.2%(2,606)를 차지하였다. 직업군에서는 농업, 어업 등에 종사하는 군과 단순노동자에서 각각 22.8% (570/2,499), 20.2% (497/2,457)로 저교정된 굴절이상의 분율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30대를 기준으로 10대와 70대, 80대에서, 여성, 저소득층, 저학력층, 동거인이 없는 경우가 관련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저교정 굴절이상과 고령, 여성,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가 관련 있으므로, 이러한 취약층에 대한 공중보건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적절한 시력 교정을 통한 저시력 예방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To assess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in South Korea. Methods: We analyzed 36,162 participants for estimating prevalence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2).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was defined as an improvement of at least 2 lines i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compared with the presenting visual acuity in the right eye. Proportion of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by occupation was presented, and associated sociodemographic factors were evaluated by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prevalence of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among all participants and among adults was 8.5% (n/N, 6,954/36,162) and 18.8% (n/N, 3,980/19,884),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was higher among those with did not wear spectacles or contact lenses (23.1%) than among spectacle or contact lens wearers (8.1%).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who gained more than four or more lines of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as 7.2% (n = 2,606) for the all age group. In terms of occupation, farming, fishing, and forestry occupations (22.8%, 570/2,499) and laborer (20.2%, 497/2,457) were more likely to have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Age groups of 10s, 70s, or 80s (30s as a reference group), female sex, lower income, lower education level, and living without a spouse were associated with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Conclusions: People of older age, female sex, and lower socioeconomic status were more likely to have undercorrected refractive error. This suggests that a public-health approach is needed for preventing visual impairment via proper vision correction.

      • KCI등재

        포도 섭취와 당뇨망막증의 연관성

        이보영(Bo Young Lee),지동현(Donghyun Jee),대한안과학회 역학조사위원회(Epidemiology Survey Committee of the Korean Ophthalmology Society)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2

        목적: 포도의 섭취와 당뇨망막증의 유병률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1 중에서 30세 이상이면서 당뇨병을 가지고 있는 1,5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포도 섭취 빈도는 식품 섭취 빈도 조사법을 기준으로 조사하여, 지난 1년간 평균 포도 섭취의 빈도를 10단계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당뇨망막증은산동 후에 7장의 표준망막사진을 얻어 분석하였다. 당뇨망막증을 Airlie House 분류체계에 따라서 전체 당뇨망막증, 증식 당뇨망막증,그리고 실명위험 당뇨망막증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당뇨망막증은 16.9 ± 1.2%에서 발견되었다. 포도 섭취 빈도가 1단계 증가함에 따라 전체당뇨망막증은 14% 감소하였고(odds ratio [OR] 0.86, 95% confidence interval [CI] 0.75‐0.98), 증식 당뇨망막증은 35% 감소하였으며(OR 0.65, 95% CI 0.48‐0.88), 실명위험 당뇨망막증은 23% 감소하였다(OR 0.77, 95% CI 0.60‐0.99). 포도 섭취 빈도가 한 달에 1회 미만일 경우에 비하여 한 달에 2‐3회섭취할 경우에, 전체 당뇨망막증은 46% 감소하였고(OR 0.54, 95% CI 0.33‐0.89), 증식 당뇨망막증은 75% 감소하였으며(OR 0.25,95% CI 0.07‐0.81), 실명위험 당뇨망막증은 64% 감소하였다(OR 0.36, 95% CI 0.13‐0.95). 결론: 포도 섭취가 증가할수록 당뇨망막증의 유병률이 감소하였다. Purpose: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grape intake and diabetic retinopathy. Methods: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using a nation-wide, stratified, multistage, clustered sampling method included 1,555 subjects aged ≥30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08-2011. All participants performed standardized interviews,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FFQ), and comprehensive ophthalmic examinations. Grape intake was evaluated by an FFQ using 10 intervals of average frequency of grape intake during the past year. Diabetic retinopathy (DR) was evaluated by 7 standard retinal fundus photographs after pharmacological pupil dilatation. DR was classified as any DR, proliferative DR, or vision-threatening DR by the modified Air House classification system. Results: The prevalence of diabetes was 16.9 ± 1.2%. As the grape intake frequency increases in FFQ, the odds ratio (OR) for any DR, proliferative DR, and vision-threatening DR were 0.86 (95% confidence interval [CI], 0.75-0.98), 0.65 (95% CI, 0.48-0.88), and 0.77 (95% CI, 0.60-0.99)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group with a grape intake of less than once per month, the OR for any DR, proliferative DR, and vision-threatening DR in the group with a grape intake of more than 2-3 times per month were 0.54 (95% CI 0.33-0.89), 0.25 (95% CI 0.07-0.81), 0.36 (95% CI 0.13-0.95),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intake of grapes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DR.

      • KCI등재

        시력과 낙상: 국민건강 영양 조사 2008-2012

        강민재(Min Jae Kang),임형택(Tyler Hyungtaek Rim),김성수(Sung Soo Kim),대한안과학회 역학조사위원회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9

        목적: 시력 및 안질환과 낙상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완료한 19세 이상 성인 28,899명을 대상으로 양안 중 최대교정 시력이 좋은 눈 혹은 최대교정 시력이 나쁜 눈의 시력과 동반 안질환이 낙상에 미치는 영향을 다변량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려한 독립변수로는 사회인구통계학적인 요인, 동반질환(고혈압, 당뇨, 관절염, 심근경색 혹은 협심증, 뇌졸중)을 고려하였다. 시력은 1.0, 0.8, 0.5-0.63, <0.5로 4단계로 분류하였다. 결과: 낙상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28,899명 중 총 511명이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시력이 좋은 눈의 낮은 시력과 낙상은 관련이 있었는데, 좋은 눈의 시력이 1인 군을 기준으로 0.8인 군 대응비 1.31 (95% 신뢰구간 1.00-1.72), 0.5-0.63인 군 대응비 1.86 (95% 신뢰구간 1.07-3.24), <0.5군 대응비 1.21 (95% 신뢰구간 0.58-2.54)로 낙상의 위험을 높였다(p=0.025 for trend). 시력이 나쁜 눈의 시력 정도는 낙상과 관련이 없었다. 초기 황반변성은 단변량 분석(대응비 2.24) 및 나이 성별을 보정한 분석(대응비 1.52)에서 낙상의 위험을 높였으나, 다변량 분석에서는 유의한 결과는 아니었다. 연령별로 하위분석을 하였을 때, 50세 미만의 비교적 젊은 군에서는 시력이 1.0인 정상군에 비해 시력이 0.5-0.63인 군의 낙상위험이, 대응비 5.83 (95% 신뢰구간 1.58-21.54)으로 높았으며, 50세 이상 70세 미만 군에서 시력이 낮을수록 낙상이 많은 경향성(p=0.033 for trend)을 확인하였으나, 70세 이상의 고령에서는 시력과 낙상은 무관하였다. 결론: 시력은 낙상의 유의한 예측인자로, 낙상 예방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이다. Purpose: To assess the influence of visual acuity (VA) and ocular condition on falls. Methods: We analyzed 28,899 Korean adults using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2). Associations between best corrected VA based on better or worse seeing eye and ocular condition and falls were identified using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e included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comorbidities including hypertension, diabetes, arthritis, acute myocardial infarction/angina, and stroke as independent variables. VA was divided into 1.0, 0.8, 0.5-0.63, and <0.5. Results: Among 28,899 subjects, falls occurred in 511. In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low VA based on the better seeing ey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alls (VA 1.0 as a reference group; adjusted odds ratio [aOR] = 1.31, 95% confidence interval [CI], 1.00-1.72 in VA of 0.8; aOR = 1.86, 95% CI, 1.07-3.24 in VA of 0.5-0.63; and aOR = 1.21, 95% CI, 0.58-2.54 in VA of <0.5; p = 0.025 for trend).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VA based on the worse seeing eye and falls. Early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was associated with falls in univariable analysis (OR = 2.24) and age- and sex-adjusted analysis (aOR = 1.52), but not in multivariable analysis. In terms of age subgroups, subjects with VA of 0.5-0.63 were more likely to have experienced falls compared with subjects with VA of 1.0 (aOR = 5.83, 95% CI, 1.58-21.54) among subjects 50 years of age or younger. An increasing trend of falls with decreasing VA among subjects between 50 and 70 years of age was observed (p = 0.033 for trend). However, no such association was observed in elderly subjects ≥70 years of age. Conclusions: VA should be considered for preventing falls because lower VA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fa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