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비교연구

        김태완(Kim Tae-Wan),이혜진(Lee, Hey-Jin),이연옥(Lee, Yeon-Ok),조윤용(Cho, Yoon Yong),노츠타카시(Notsu Takashi)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6 디아스포라 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한일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과 그들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영향을 비교분석하여, 양국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간에 존재하는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한일 양국의 도시 중 역사적, 환경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가진 부산과 고베를 선택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였다. 다문화수용성 척도는 이주민에 대한 차별 정도에 해당하는 ‘차별’, ‘거부회피’, ‘문화개방’, ‘상호교류’, ‘고정관념’ 등 총 5개 요인, 13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다문화수용성과 그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일본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점수가 한국 대학생에 비해 높았다. 일본 대학생의 경우에는 외국인친구가 있거나, 다문화강좌 수강 경험을 가진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한국 대학생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유학/연수 의향을 가진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점수가 높은 것은 양국 대학생 모두에게서 확인되었다. 또한, 하위요인의 기여순위를 분석해본 결과, 양국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의 구조에는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이러한 차이는 한일 양국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적절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Korean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to investigate influence factor explaining their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o compare the structural difference of sub-factor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The data were selected from the survey conducted in Busan and Kobe as two cities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history,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specificity.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scale consisted of 13 items and these items were categorized as 5 factors such as “discrimination against migrants”, “rejection/avoidance”, “cultural openness”, “willingness to exchange”, and “stereotypes”. The result of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overall scor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f Japanes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Korean students. Specifically, college students having foreign friends, having taken multicultural classes, and planning to study abroad showed higher multicultural acceptance scor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anking of the contribution of sub-factor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of college students in the two countries. This difference could provide the appropriate criteria for seeking ways to chang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