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지관 인지지원시범사업에 관한 이용자와 제공자의 관점 탐색적 연구

        남일성(Nam, Il-Sung),김춘(Kim, Chun-Nam),박수현(Park, Su-Hyun),김태환(Kim, Tae-Hwan)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9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1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복지관 인지지원시범사업에 대한 치매노인과 제공자의 경험을 조사하여, 인지지원시범사업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인지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치매 당사자의 요구와 신념을 반영하고, 서비스 제공자의 경험을 조사하기 위해 질적 연구 중 하나인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이하 FGI)를 실시하였으며, 주제기법(thematic analysis)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참여에 있어 심리적 어려움이 있었지만,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제공자들도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지만,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참여자의 인지능력 차이, 전담인력 부족, 프로그램 운영 전문성 등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들인 치매노인에 대해서 기존 노인복지관 이용자들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결론 : 프로그램 참여의 방해요인인 사회적 낙인을 제거하고, 기존 복지관 이용자들과의 융합을 위해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인식개선 캠페인, 교육이 필요하다. 치매노인과의 접촉을 늘려 기존 이용자들과의 융합을 위해서는 통합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인지능력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spectives and feedbacks on the participants and providers of the community based pilot project for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Methods : Focus Group Interviews and thematic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service participants and providers to build more detailed and elaborately designed service model. Results : There were participants’ high satisfaction for the program, despite the participation with initial reluctance. Service providers made positive evaluation in the effects of the service. However, there were needs of service improvements in individualized service provision, professionalism, and staffs. Also, there were strong stigma to dementia among older adults without cognitivedecline.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hat social stigma to dementia should be removed and there should be community campaign to raise awareness and challenge the stigma of dementia. There should social integration between older adults with cognitive decline and with decline and the developments of individualized programs for them.

      • KCI등재

        배우자 사별 노인의 복잡성비애 위험요인

        남일성(Nam Il sung) 한국노년학회 2015 한국노년학 Vol.35 No.1

        본 연구는 배우자 사별 노인의 복잡성비애에 미치는 위험요인을 탐색하여 적합한 개입방안의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복잡성비애는 우리나라에 아직 잘 소개되지 않았지만, 우울증, PTSD와는 구별되는 사별 후 심리장애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들 중 배우자를 사별한 859명을 대상으로 복잡성비애와 위험요인들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복잡성비애의 총점과 하위 요인인 분리 고통, 트라우마성 고통을 종속 변수로 이용한 회귀 모형을 통해, 성별, 나이, 죽음 불안, 자살로 인한 사별의 경험이 복잡성비애 변수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일수록, 나이가 적을수록, 죽음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자살로 인한 사별의 경험이 있을수록 복잡성비애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 불안의 완화와 자살로 인한 사별을 경험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개입프로그램의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While the concept of complicated grief has not yet been fully characterized in the literature, complicated grief is conceptualized as distinct from depression and PTSD in Western cultur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risk factors of complicated grief in 859 Korean adults over age 65. This study identified that being male, lower age, higher death anxiety, and having experience of suicidal bereavement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 of complicated grief. The ICG-K may help to identify individuals at risk for complicated grief in order to help practitioners to target interventions effectively.

      • KCI등재

        우울증과 낙상의 상호 영향 분석

        남일성(Nam, Il-Sung),윤현숙(Yoon Hyun-Sook)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3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falls in Korean older adults. Using 2005-2009 data from the Hallym Aging Study, we analyzed a longitudinal cross-lagged model and a series of path models. We foun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depression on falls through activities an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depression on falls through fear of falling and activities. We also foun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falls on depression through fear of falling and activities. Given these results, a psychophysical approach could be a useful intervention to prevent depression and falls. We discuss the need to develop an exercise program for older adults who are prone to experience depression and falls.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증과 낙상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적합한 개입방안의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한림고령화패널 2005, 2007, 2009년 자료를 이용하여 교차지연모형을 검증하고, 2005, 2007년 자료를 이용하여 우울증과 낙상, 낙상과 우울증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경로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증과 낙상은 상호 순환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변인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경로 모형의 검증 결과, 우울증이 신체활동정도를 감소시켜 낙상을 유발하는 경로와 우울증이 낙상 두려움을 증가시키고 신체활동정도를 감소시켜 낙상을 유발하는 경로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이 우울증 수준을 증가시키는 경로에 관해서는, 낙상이 낙상 두려움을 증가시키고 신체활동정도를 감소시켜 우울증을 유발하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우울증과 낙상의 예방을 위해서는 심리생리적 접근이 필요하며, 우울증과 낙상 예방 모두에 효과적일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아동기 학대 경험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노년기 정서적 학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지수 ( Ji-su Han ),남일성 ( Il-sung Nam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지역과 세계 Vol.45 No.2

        우울은 노년기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다. 노년기의 학대 경험과 아동기 학대 경험은 각각 노인의 우울 수준을 높이는 영향요인이다. 또한, 아동기 학대를 경험한 노인이 재학대의 피해를 보는 경우, 우울증 발생 위험은 더욱 커진다. 이러한 이유로 노인의 정신건강, 그 가운데 우울증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할 때, 노년기 학대뿐만 아니라 아동기의 학대 경험 여부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아동기 학대 경험이 노년기 학대 재피해 위험을 높이고, 노년기 학대 경험은 다시 노인의 우울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간접효과를 계산하여 노년기 학대가 아동기 학대와 노년기 우울증을 매개함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기 학대 경험과 노년기 정서적 학대 경험은 각각 노년기 우울 수준을 높일 뿐 아니라, 아동기 학대 경험이 노년기 학대 재피해의 위험을 높임이 증명되었다. 또한 아동기 학대 경험과 노년기 학대 경험의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남으로써 노년기 학대 경험의 아동기 학대와 노년기 우울 수준 사이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학대와 아동학대를 모두 경험한 노인들의 자조모임이나 생애사 기술과 같은 긍정적 경험을 통해 우울 수준을 낮추는 개입을 제안하였다. 또한, 노인학대 피해자로 보고된 노인에 대한 지원 계획을 수립할 때 아동기 학대와 같은 과거의 부정적 경험 여부를 조사하여 반영함으로써 우울증에 더 취약한 노인을 파악하여 개입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Depression is an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on elderly mental health. Elder abuse and child abuse are risk factors that increase the depression level of the elderly. When an elderly who experienced child abuse is revictimized by experiencing elder abuse, the risk of depression increases even more. Therefore, not only elder abuse but also child abuse draws attention when factors influencing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especially on depression, are identified. This study tries to prove the mediating role of elder abuse between child abuse and depression in old age by showing that child abuse increases elder abuse revictimization and elder abuse has negative influence on elderly depression, and by calculating th indirect effect size of child abuse and elder abuse. The study result shows that child abuse and emotional abuse in old age increase the level of depression respectively and child abuse increase the revictimization risk of the elderly. As the indirect effect of child abuse and elder abus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diating role of elder abuse experience is proved. As possible inventions to decrease depression level, self-help group meeting of the elderly who have experienced both child abuse and elder abuse and life-history telling are suggested to provide positive experiences.

      • KCI등재

        코너-데이비드슨 탄력성 척도의 타당도 및 요인구조

        정소연(Jung So Yeon),남일성(Nam Il Sung),유성은(You Sung Eun)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2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코너-데이비드슨 탄력성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한국 노인들의 탄력성 요인 구조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2,034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를 두 개의 집단으로 무선 할당한 후 집단별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각각 시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심리적 탄력성(요인 1)과 사회적 탄력성(요인 2)의 두 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추출된 2요인 구조와 10문항 단축형 모두 좋은 모형 적합도를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된 2요인 구조의 코너-데이비드슨 탄력성 척도와 10문항 단축형 모두 적합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코너-데이비드슨 탄력성 척도가 국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탄력성을 측정하는 타당한 척도임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and to examine factor structure of resilience in a community sample of older adults in Korea. A total of 2,034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residing in a community in Korea participated in face to face interviews. The sample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subgroups, and the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were conducted for each group, respectively. Results of EFA supported the two-factor structure of the CD-RISC in older adults, with psychological resilience (factor 1) and social resilience (factor 2). Results of CFA indicated that this two-factor structure as well as the brief version of the CD-RISC had a good fit. Also, both the full scale of the CD-RISC and the 10-item brief version had good reliability and validity. In conclusion, the CD-RISC is a valid measure of resilienc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 KCI등재

        돌봄당사자의 상호관계 유형: 공식/비공식 노인돌봄을 중심으로

        주현정 ( Joo Hyun-jung ),남일성 ( Nam Il-sung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1 공공정책연구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돌봄의 주요 주체로서 공식과 비공식 돌봄 당사자들의 상호협력은 어떠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각 입장의 경험을 드러냄으로써 다양한 관계 유형을 탐색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데이케어센터의 돌봄 제공자 10명, 보호자 2명, 이용자 1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후 본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이들의 인식과 현실적 맥락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기관 종사자와 보호자 간 관계 유형은 각 입장에서의 상호 인식을 교차할 때 9가지 매트릭스로 도출 가능하였다. 이들 유형에서 ‘책임전가형’, ‘보호자 아집형’, ‘제공자 위축형’, ‘보호자 응대형’, ‘보호자 주도형’ 등은 부정적인 관계 유형으로, ‘역할분담형’, ‘소비자 참여형’, ‘상호존중형’, ‘상호의존형’ 등은 긍정적인 관계 유형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식과 비공식 돌봄 당사자들의 상호협력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 형태를 보이는 요인을 논하면서 노인돌봄의 본질적인 가치라 할 수 있는 좋은 돌봄을 위해서 필요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ore various relationship types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formal and informal direct carers of the elderly by the experiences of each party. To fulfill the study purpose, in-depth interviews of care providers 10, family members 2 and a service user were conducted, and essential case study was applie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 of each others and practical contexts. The study result enabled to draw 9 metrics of relationship types when the mutual perceptions of each direct care parties were intercrossed. Negative relationship type includes ‘responsibility imputation type’, ‘obstinate family member type’, ‘discouraged provider type’, ‘response obsessing family member type’ and ‘family member leading type’. positive relationship type includes ‘responsibility sharing type’, ‘user invole type’, ‘mutual respecting type’ and ‘interdepending type’. Based on the analysis, influencing factors on forming positive or negative types were discussed and neccessary measures to be taken for good care, essencial value of elderly care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