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제도의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정책효과

        김송숙,김유민,나가연,백승희,이근철,Kim, Song Sook,Kim, Yoo-Min,Na, Ga-Yeon,Baek, Seung-Hee,Lee, Kun-Chul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4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제도가 정책효과로서 수급자 가구원의 노동시장 참여를 촉진시켰는지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국복지패널 6차(2011년)과 12차(2017년)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성향점수매칭 중 Caliper matching을 이용하여 제도를 이용한 실험집단 64명과 이용하지 않은 통제집단 344명을 선정하였다. 집단간 특성차이는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였고, 제도 전후의 정책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단순이중차이분석과 이중차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제도의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활동지원제도는 이용자 가구원의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제도 이용자의 수의 적음으로 인한 낮은 통계적 검정력과 불완전한 매칭 그리고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서비스만으로는 장애인 자립에 한계가 있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제도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전문화된 서비스와 장애인과 부양가구원의 요구에 맞는 제도가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6rd and 12th year of the Korean Welfare Panel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PAS) system on the labor market of PAS users' particip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64 program groups using the Korean PAS and 344 control groups not using the Korean PAS were selected using Caliper matching amo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A chi-square test was used for the difference in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and a simple difference-in-differences (DID) model and a double-differe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DID were performed to estimate the effect of thepolicy before and after the Korean PA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statistically, PA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labor market. This is due to the low number of system users, resulting in low post-hoc power, incomplete matching and limited availability of PAS Assistants for Disabled People. Therefore, In order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PAS) system, specialized services and systems that meet the needs of the disabled and household members should be implemented.

      • KCI등재

        파킨슨병 가족을 위한 모바일 기반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김지현,신연화,나가연,김은아,김송숙,이현주 한국융합과학회 2023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2 No.7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apacity enhancement program accessible through mobile devices for families providing care for Parkinson's disease patients. Methods The development process for the mobile app was carried out based on Dick, Carey & Carey's systematic design model, which includ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operation, and evaluation stages. The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four experts, and the developed program was pilot-tested with 20 Parkinson's disease caregivers for one week. The user satisfaction evalu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conducted with 20 Parkinson's disease caregivers who participated in the pilot-test. A tool based on modified and supplemented health information website evaluation criteria was used to evaluate the program composition and content. Result The representative screen of the program development results consisted of four menus: the main screen (greetings, program introduction, usage instructions), the introduction screen (membership registration and login, Parkinson's disease patient evaluation, caregiver risk assessment, family stress test), the learning screen (eight major areas and 26 sub-areas), and the satisfaction evaluation of program learning. The user satisfaction evaluation results for the developed program indicated that the program composition satisfaction had an average score of 3.68, with information usefulness being rated the highest. Additionally, the program content satisfaction had an average score of 3.63, with content comprehensibility being rated the highes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family involvement in caregiving for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By broadening the scope of family intervention in caregiving and problem-solving, this study has the potential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healthier family relationships. 연구목적 본 연구는 파킨슨병 환자 돌봄 가족을 대상으로 모바일을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는 역량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모바일 앱에 대한 개발과정은 Dick, Carey & Carey의 체계적설계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 설계, 개발, 운영, 평가단계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콘텐츠 타당성 검증은 전문가 4인으로 구성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 시범운영은 파킨슨병 돌봄가족 20명을 대상으로1주 동안 시범 적용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평가는 시범운영에 참여한 파킨슨병 돌봄가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사용자 평가를 위한 도구는 건강 정보 웹사이트 평가기준을수정·보완하여 프로그램 구성과 내용을 평가하였다. 결과 프로그램 개발 결과 대표화면은 4개의 메뉴로 메인화면(인사말, 프로그램 소개, 이용방법), 도입화면(회원가입 및 로그인, 파킨슨병 환자 평가, 돌봄가족 위험평가, 가족 스트레스 검사), 학습화면(8개 상위영역 및 26개 하위영역), 프로그램 학습에대한 만족도 평가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평가결과 프로그램 구성 만족도는 평균 3.68점으로 정보의 유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내용 만족도는 평균 3.63점으로 내용에 대한 용이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파킨슨병 환자 돌봄에서가족참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고, 환자 돌봄에 대한 대응능력과 문제해결을 위한 개입의범위를 가족 전체로 확대함으로써 보다 건강한 가족 관계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