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진단용 방사선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과 원자력법의 용어통일 개선 방향

        김화곤(Hwa-Gon Kim),강세식(Se-Sik Kang),김창수(Chang-Soo Kim),박철서(Cheol-Seo Park)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6 방사선기술과학 Vol.29 No.1

          진단용 방사선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과 원자력법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이 일부 상이하게 기술됨으로서, 실무종사자들의 혼란을 막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우리니라의 원자력법은 국제방시선방어위원회(ICRP)의 권고에 띠라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지속적으로 수정, 발전한 반면에, 진단용 방시선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은 부분적인 수정함으로서, 용어의 혼란을 초래하게 되었다. 진단용 방사선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과 원자력법을 비교하면 수정해야 할 사항들은 다음과 같았다.   1. 진단용 방사선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과 원자력법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단위가 다르다. 업무의 특성상 사용되는 특별한 용어를 제외하고, 공통으로 시용되는 용어의 통일은 반드시 필요하다. 비록 이원화된 방사선안전관리 체계일지라도 규제와 지도의 기준은 일원화되어야 할 뿐 아니라 방사선업무에 종사하는 자나 방사선안전관리 실무에 종사하는 자에게 혼란을 주어서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2. 진단용 방사선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에는 다음의 규정이 추가되어야 한다.   1)환자와 병원 방문객에 대한 방사선방어   2)임신중인 여성환자의 방사선피폭제한   3)의료상피폭으로 인정되지 않는 자의 방사선피폭제한   4)임신 중인 여성 의료관계종사자의 피폭관리   The rules and terms are described different meaning, in this results the research is accomplished for preventing practical workers from confusion. Atomic law are kept up modification and development in our situation by the ICRP"s recommendation, on the other hand, the rules of diagnosis radiation equipment safety managements are modified partial, then resulted in confusion. The study was comparison between the rules of diagnosis radiation equipment safety management and atomic energy law, and the modification items obtained were as follows.   1. With each other different the terms and units are used. With the exception of special terms for affairs usage, it is needless to say that common term uniformity is standardized. The standardization of rules and guidance have not need to confusion radiological practical workers.   2. The following is omitted.   1) The radiation protection against tile patient and the hospital visitor.   2) Radiation dose limit of the woman patient who is in the process of becoming pregnant.   3) Radiation dose limit of the person who is not regarded as madical madical exposure.   4) The control of the exposure of pregnant of women at work.

      • KCI등재

        유방암환자 전초림프절의 유방 림프신티그라피에 관한 연구

        김화곤(Hwa-Gon Kim),김창수(Chang-Soo Kim),김명준(Myung-Jun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6 방사선기술과학 Vol.29 No.2

          과거 유방암 환자에서 대부분을 수술로 불필요한 액와림프절 절개술을 하였지만, 그 결과로 부작용이 발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유방암 환자에게 <SUP>99m</SUP>Tc-Tincolloid를 이용하여 수술 전 유방림프절 검사를 먼저 시행한뒤 처음 나오는 전초림프절을 영상화한 뒤 전초림프절의 전이 여부에 따라 수술범위를 달리 결정함으로써 환자의 수술 시간 및 수술 후의 부작용 최소화가 목적이다. 논문의 실험 결과는 실험대상 20명의 환자 중 15명에서는 액와림프절 절개술을 시행하지 않아도 되기에 수술로 인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표준방법, 즉 방사성의약품 주사부위, 방사선량, 주사량, 마사지여부, 림프신티그라피 시행여부 등이 결정되지 않았으므로, 환자에 대한 고통경감과 부작용을 최소화 하고 수술부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유방암 림프절검사법이 유용할 것이라 생각된다.<BR>  실험의 대상이 되는 환자는 초음파, 유방촬영술, 생검에서 유방암 진단을 받고 수술할 예정인 환자 20명으로, 환자의 연령 범위는 31∼71세로 평균 연령은 45.4세이며, 임상 병기 Ⅰ이 9명, 임상병기 Ⅱ가 11명이다. 실험 장비로는 전초림프절을 묘출시켜주는 추적자로 <SUP>99m</SUP>Tc-Tincolloid(Amesham)과 전초림프절의 위치를 찾는 장비로 Micro Probe: Neoprobe 2000(이하 감마 프로브), 영상 묘출 장비로 MS-Ⅱ Gamma Camera: SIEMENS (이하 MS-II Gamma Camera)가 사용되었다. 실험 방법은 3가지 방법을 사용하며, 그 중 하나를 선택해 전초림프절 검사 및 수술실에서 감마프로브를 이용하여 생검을 실시한 결과의 20명 모두에서 전초림프절을 영상화 했다. 그리고 감마프로브로 전초림프절을 찾아 조직 생검 결과 20명 중에서 전초림프절의 전이가 발견된 환자는 5명이다. 본 실험에서 전이가 발견된 환자 5명을 다시 액와림프절을 생검한 결과의 3명에서 액와림프절 전이가 발견되었다.   In the past, most patient of breast cancer suffered side effects due to the useless removement of Axillary Lymph Node, but there is no need to remove it because of the result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ave surgery time and side effects after surgical operation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by making decisions of operation range for metastasis in first Stenosis Lymph Node using the <SUP>99m</SUP>Tc-Tincolloid Scintigraphy and the Micro Probe for radioisotope. As a result of this study, 15 among 20 patients became objects of this study could reduced side effects for operation because there were no axillary lymph node operations.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for method of this treatment. It should be standardize where inject point is, how much <SUP>99m</SUP>Tc-Tincolloid should be injected(radioactivity value), and the need of massage and Lymph Scintigraphy. Nevertheless I think that this result of study is useful to reduce suffering and side effects from breast cancer and also we should try to do that continuously.<BR>  The objects for this study were 20 patients diagnosed as breast cancer by Ultrasonography, Mammography & Biopsy. The average of patient age was 45.4 years and its range was between 31 and 71 years. In case of clinical period there were 9 patients of Period Ⅰ and Ⅱ patients of Period Ⅱ. The equipment for this study were <SUP>99m</SUP>Tc-Tincolloid describing the Stenosis Lymph Node as a tracer, Micro Probe: Neoprobe 2000(the rest is Gamma Probe) tracing the location, and MS-Ⅱ Gamma Camera: SIEMENS(the rest is MS-Ⅱ Gamma Camera) describing the images. There were 3 methods for this study, after selecting one of those methods all 20 patients were performed Stenosis Lymph Node diagnosis & Gamma Probe in operation room. The result was that I imaged all the 20 patients, and seek the Stenosis Lymph Node by using Gamma Probe. Metastasis in Stenosis Lymph Node was 5 and Metastasis in Axillary Lymph Node was 3 between Metastasis in Stenosis Lymph Node cases. Finally 15 patients were also proved that Axillary Lymph Node was Positive and that means there was no Metastasis in Axillary Lymph Nod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3차원 MR Angiography DICOM 영상을 이용한 가상혈관경의 임상적 유용성

        박병래,강세식,김화곤 대한의료정보학회 2004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10 No.3

        Objective : To evaluate of virtual angioscopy was implemented using MR(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image of carotid artery.Methods : The endoscopy system provides a 3D volume rendered image as a navigation map and has the multi planar reformation image along the path and a 2D axial image as a reference image. We segmented the common carotid artery and internal, external carotid artery from the MR angiography image. We used the coordinates as a navigation path for virtual camera that were calculated from medial axis transformation. We used the perspective projection and marching cube algorithm to render the surface from volumetric MR angiography image data.Results : The virtual angioscopy is highly recommended as a diagnosis tool with which the specific place of stenosis can be identified and the degree of stenosis can be measured qualitatively.Conclusion : Virtual angioscopy is one of the powerful tool for non-invasive carotid artery and many in-vitro, in-vivo studies have shown the artery stenosis detection. Inside of the carotid artery is one of the body region not accessible by real optical endoscopy but can be visualized with virtual endoscopy.

      • KCI등재

        RFID 기반의 모바일 의료정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창수(Chang-Soo Kim),김화곤(Hwa-Gon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5 방사선기술과학 Vol.28 No.4

        최근의 의료정책과 정보기술의 발달은 병원이 주변 환경에 맞춰 비용을 줄이고 의료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를 가지게 한다. 즉, 정책과 기술의 변화로 병원 업무가 단순한 진료비 계산과 보험청구중심에서 벗어나 경영정보시스템(MIS),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처방전달시스템(OCS), 자의무기록시스템(EMR), 의사결정지원시스템(D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및 관련기술과의 융합은 의료정보시스템을 의료 IT의 관련 정보시스템들과 통합되는 방향으로 진화해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가속도는 더할 전망이다. 이러한 변화와 인터넷 환경의 발달은 의료정보 시스템의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한다. 모바일 의료정보시스템은 기존에 의료정보 환경에서 구축되었던 병원의 시스템을 PDA 등의 모바일 환경으로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기존 시스템의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지 의료진의 접근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업무의 효율을 높임은 물론이고 실시간 업무 처리 및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을 통한 수익성 증대에도 중대한 역할을 하게 된다. RFID는 자동인식 및 데이터 획득 기술로 사람의 작업이나 판단을 궁극적으로 제외하고 객체가 갖고 있는 정보를 자동적으로 취득, 온라인으로 관련 데이터를 자동처리 시스템 구현의 핵심요소 기술이다. 본논문에서는 RFID 응용 서비스가 실용화하고 있는 실정에서 통합의료정보시스템을 위한 환자 진료의 서비스 강화를 도모하도록 RFID 기반의 서버 및 모바일 클라이언트 의료정보시스템을 구현하고, 실제 병원내의 여러 디바이스가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환자진료 및 실시간 원무 관리의 자동화를 위한 태그 매니저(Manager)와 기존의 EMR, HIS, PACS의 호환을 위한 DB 서버 에이전트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다양한 의료정보시스템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모바일 의료정보시스템의 RFID 응용시스템은 환자의 진료카드에 태그를 부착하여 기본적인 환자의 접수, 진료, 검사의 대기시간의 단축을 위한 데이터를 처리한다. The recent medical treatment guideline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make hospitals reduce the expense in surrounding environment and it requires improving the quality of medical treatment of the hospital. That is, with the new guidelines and technology, hospital business escapes simple fee calculation and insurance claim center. Moreover, MIS(Medical Information System),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OCS(Order Communicating System),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DSS(Decision Support System) are also developing. Medical Information System is evolved toward integration of medical IT and situation si changing with increasing high speed in the ICT convergence. These changes and development of ubiquitous environment require fundamental change of medical information system. Mobile medical information system refers to construct wireless system of hospital which has constructed in existing environment. Through RFID development in existing system, anyone can log on easily to Internet whenever and wherever. RFID is one of the technologies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AIDC). It is the core technology to implement Automatic processing system. This paper provides a comprehensive basic review of RFID model in Korea and suggests the evolution direction for further advanced RFID application services. In addition, designed and implemented DB server's agent program and Client program of Mobile application that recognized RFID tag and patient data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s. This system implemen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that performed patient data based EMR, HIS, PACS DB environments, and so reduced delay time of requisition, medical treatment, lab.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