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학교정보화 지수와 학업성취도 간 관계에 대한 탐색

        김혜숙(金惠淑),이재열(李在熱),홍미애(洪美愛)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3

        이 연구는 학교의 정보화 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 및 전문가 패널을 운영하여 접근-역량-활용-만족도 4개 영역의 10개 하위 지표를 개발하고, 초등학교 213개, 중학교 214개, 고등학교 202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교정보화 지수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접근 영역이 다른 영역에 비하여 학교별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별 학업성취도의 보통학력 비율과 학교정보화 영역 간 상관을 분석한 결과, 학교 급이 높아질수록 정보화 지표의 설명력은 커졌으나 국어나 영어 교과보다는 수학 교과에서 정보화 지표의 설명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학교정보화 지표별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동일 지표일지라도 학교급과 교과에 따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informatiz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at school level.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of related studies and expert panel meetings, 4 domains were composed of Access-Capacity-Utilization-Satisfaction and 10 indicators were developed. The survey were implemented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213 elementary schools, 214 middle schools, and 202 high schools in order to estimate the index of school informatization. As a results, Access domain shows larger variation between schools than other domains. As a school level goes up, the adjusted R squares for the informatization index accounted for the above averag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re larger. Also the amount accounted for the index was larger than in Math than in Korean and English subject. To examine how much each indicator affects on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t school level,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ndertaken, which shows that each indicator has different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and subject.

      • KCI등재

        ICT 활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숙(金惠淑)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OECD에서 공개한 PISA 2009 한국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ICT 활용이 읽기, 수학,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방법은 개인배경, 교과변인, 학교특성 관련 변인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다층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고차원 과제에 대한 자신감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 등 ICT 관련 정의적 특성은 성취도와 정적 관련성이 있었지만, 가정과 학교에서의 접근성은 관련성이 미미했고, 학교에서의 활용 그리고 학습 목적의 활용은 오히려 부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항목별 분석결과, 인터넷/오락 중에서도 일대일 게임, 온라인 채팅, 음악/영화/소프트웨어 다운로드가 많은 학생일수록 성취도가 낮은 반면 컴퓨터로 숙제를 하거나 즐거움을 위한 인터넷 검색은 부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그래픽 이미지 편집, 데이터베이스 생성, 스프레드시트 사용에 대한 자신감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교과별로 상이하였다. PISA 2009에서 새롭게 추가된 변인인 온라인 자료 읽기는 읽기 성취도와 정적 관련성이 있었으나 하위 항목별로 분석한 결과 읽기 성취도에 대하여 뉴스, 사전, 실용적 정보는 정적 관련성을, 온라인그룹 토론과 포럼 등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자료는 부적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ICT on students" reading, math, and science performance based on PISA 2009 Korean data. The multi-level analysis was used to control the students" demographic variables, subject related variables and school characteristic variables. The results shows that while the affective traits such as confidence in high-level tasks and attitude toward using computer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the access to computer in school and home don"t have an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and the use of computer in school and for learning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According to analyzing the impact of various use of computer, when they use computer more frequently for one to one game, online chatting, downloading for music, films, and softwares, students achieve lower scores in academic performance. However, when students use computer more frequently for homework and searching internet for fun, they achieve higher scores in academic performance. Also the impact of the confidence in editing graphic images, creating databases, and using spreadsheets on academic performanc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bject. For the effect of reading online materials, while reading online materials for news, dictionary, and searching for practical information is affirmative, using computer for interacting with other people such as online group discussion and participating in forum have a negative connection with reading performance.

      • KCI등재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요소의 관련성 탐색

        김혜숙(金惠淑)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특기적성교육 프로그램의 성과요소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소 간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방과후 프로그램 요소 간 관계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논리모형을 적용하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요소를 맥락, 구성, 활동, 성과 요인으로 분류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모형은 프로그램 구성 요소가 프로그램 만족과 참여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과정 모형과 프로그램 만족과 참여 태도라는 활동 요소가 성과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성과모형으로 구분하였다. 과정 모형에 대한 분석 결과, 프로그램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강사에 대한 만족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만족도는 프로그램 참여 태도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강사에 대한 만족 역시 프로그램 참여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과 모형에 대한 분석 결과, 프로그램 만족이 프로그램 참여 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수업 참여태도와 학교생활 적응에도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프로그램 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프로그램 참여도가 높아지고 학교에서의 수업태도 및 학교생활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 참여태도를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간접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 만족은 자아효능감에도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참여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을 매개로 간접효과를 가지는 것도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relationships for how the various expected outcomes and program component elements relate to each other for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program as one of the elementary after school programs.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logic models, the program elements are classified into four domains: context, component, activities, and outcomes. To testify the program model,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were implemented. The model was divided into two models: one is the process model for how the variables of the component domain are related to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the attitude of the program. And the other is the outcome model for how the overall satisfaction and attitude of the program are related with the outcome variables. To analyze the process model, the satisfaction of instructors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o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program. Also the satisfaction of instructors as well as the program overal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the program. To analyze the outcome model,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requency of the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As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overall, they showed higher level of attitudes toward lesson and adaptations to school life. It has indirect effect on adaptations to school life mediating with attitude toward lesson. Also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affects the self-efficacy mediating with attitude toward lesson and adaptations to school life.

      • KCI등재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및 사교육에 미치는 영향

        김혜숙(金惠淑)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아시아교육연구 Vol.13 No.3

        이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교과보충형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와 사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초중고 학교급별로 분석하였다. 방과후학교 참여집단의 선택편이로 인한 영향을 통제하기 위하여 SES, 가족구조, 교육포부수준, 학교의 사회경제적 수준 등을 공변인으로 경향점수를 교과별로 산출하여 가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참여집단 특성을 살펴본 결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라 참여 여부가 학교급과 교과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국영수, 일반계고 영어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전문계고 일반교과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참여하는 학생의 비율이 높았다. 가중회귀 분석 결과, 학업성취도 측면에서는 방과후학교가 미치는 영향이 학교급과 교과에 따라 차별적인 것으로 나타나 학교급에 따라 교과 특성을 살려 운영 목적과 방향을 달리 설정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일반계고는 수학, 전문계고는 일반교과 성취도에서 방과후학교 참여집단이 미참여집단보다 높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세 교과 모두, 일반계고는 영어에서 참여집단이 오히려 성취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교육 측면에서는 방과후학교가 교과와 상관없이 모든 학교급에서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교육비 감소라는 방과후학교 정책 목표에 대해 보다 실증적인 검토가 요구된다.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fter-school programs as a supplementary school education on academic performance and private education. To control the effect of the selection bias caused by whether students participate to the program or not, the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reflecting the propensity score predicted by socio-economic status (SES), family structure, expectation for education level, school"s SES as covariates according to subjects were implemente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o the program, whether they take part in the program or not depends on their SES such as parents" education level and income. However,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subject of the program, the degree of the impact of the SES was differential.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 students with lower SES level are less likely to take part in Korean, English, and Math of the program. While in general high school level, while students with lower SES level are less likely to take part in English program. Also at vocational high school level, students with higher SES are more likely to take part in the program. As a result of the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with propensity scores, the programs have an differential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and private education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subject. Therefore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program should be tailored for each school based on the school level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 programs focusing on supplementary educ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math performance in general high school level and performance for Korean, English and Math performance in vocational high school, however, they have a negative effect on Korean, English and Math performance in elementary & middle school level and English in general high school. Meanwhile the fact that the program doesn"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rivate education for all school level means that to reduce the cost for private education as an objective of the program should examined through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