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반도팔경 선정과정을 통해 본 경관인식

        김해경 ( Hai Gyeong Kim ),안경진 ( Kyung Jin An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2

        일제강점기인 1920년대에는 다양한 매체가 창간되었고, 발행 부수 확보를 위한 미디어 이벤트를 실시했다. 이중 『삼천리』는 1929년 창간호에서 문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서 ‘반도팔경’을 선정하는 미디어이벤트를 기획했다. 이에 반도팔경의 선정과정과 선정된 반도팔경에 대한 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반도팔경의 선정은 당시의 지식인에 해당하는 문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이다. 팔경으로 선정 가능한 경승지에 대한 구체적인 조건은 명시하지 않았다. 젊은이 계몽, 민중 계몽, 아름다운 경승지 소개가 목적이며, 문인들의 반도팔경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었다. 둘째, 반도팔경에 선정된 경승지는 금강산(金剛山), 대동강(大洞江), 부여(扶餘), 경주(慶州), 명사십리(明沙十里), 해운대(海雲臺), 백두산(白頭山), 촉석루(矗石樓)이다. 선정된 팔경은 경승지의 규모나 영역에서 일관성이 없으며, 일부 문인은 선정되지 못한 경승지를 거론하면서 교통의 중요성을 피력했다. 셋째, 기행문으로 발표된 반도팔경 경승지인 백두산과 부여 낙화암에 대한 경관인식이다. 백두산 경관에 유구한 역사와 민족 정기를 대입시켰으며, 조선시대를 부정하면서 부여는 고도 백제로 빈 공간이라고 했다. 기행문은 실제 답사를 다녀온 후 작성된 것이 아니라 기존 발표한 내용을 재편집했다. 넷째, 김동환의 편집으로 1941년 기행문 형식의『반도산하』가 발간되었다. ‘사적’과 ‘경승’으로 구분하여 팔경을 선정하였으며, 보존해야 할 경관과 향유하는 경관을 구분하기 시작했다. 이처럼 본 연구는 1929년 선정된 반도팔경의 분석을 통해서 일제강점기 지식인인 문인의 경관 인식을 도출했다. 이는 미디어 이벤트를 통한 새로운 선정 방식과 기행문을 통한 경관 인식을 확인할 수 있는 실증적 연구로써 의의가 있다. In the 1920s, the period of cultural governance ruled by Japan, the diverse media were founded and various events were conducted to boost circulati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1920s, a number of media - newspapers and magazines - were published and often they carried out entertaining events in order to obtain more subscribers. A hobby magazine, Samchunri, for instace, set up a media event to selecting Korea``s eight beautiful scenary (Bandopalgyong) for the first edition in 1929. The paper aims to analyse and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landscape in 1929 through the media event carried out by Samchunri. In particular, the selection was made by well-known writers within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 - 1945). The selection process and views from the writers on landscape were analysed; firstly, the selection of Bandopalgyong was carried out by questionnaires to writers in 1929 where Korea i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s. The conditions of the selection were unknown; however, the purpose was enlightening the people specially the youngs and introduction of beautiful places in Korea. As a result, views and opinions on Bandopalgyong by the writers were progressed. Secondly, within the Bandopalgyong, the natural landscape areas include Gumgansan(金剛山), Daedonggang(大洞江), Buyeo(扶餘), Gyongju(慶州), Myongsasipri (明沙十里), Haundae(海雲臺), Baekdusan(白頭山), and Choksukru(矗石樓). Those chosen places were not cohesive nor did not have any consistant reasons to be chosen in terms of size and location; however, some writers claimed that there were other places to match the chosen ones and therefore, the selection process was highly dependent on access (i.e. transport). Thirdly, the travelogue on Baekdusan and Nackwhaam(洛花岩) illustrated interesting views on landscape in particular. Baekdusan landscape were described in overlaping with long history and national soul. In the Nackwhaam travelogue, it described ``Buyeo (夫餘) was an ancient capital of Backjae Dynasty and empty place`` as well as denying Chosun Dynasty. It was assumed that the two places weren``t visited but rewritten with existing literatures. Fourthly, edited by Kim Dong Whan, a travelogue style book, ``Bandosanha`` was published in 1941. It did repeat the selection of Bandopalgyong, but this time, it was classified the eight beautiful landscape into two categories; historic/cultural places and natural landscape. This paper was able to analyse and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landscape in 1929 through the travelogue of Samchunri. It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process and perception on Korea landscape under Japanese colonical period by views of the selected wri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