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기업에서 지배대주주와 외국인주주가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

        김충환(Kim, Choong-Hwan),공재식(Gong, Jai-Si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

        최근의 국내외 많은 기업들은 지배구조의 실패로 인해 곤경에 처하였거나 영업활동을 중단하였다. 지배구조 가 취약하면 기업의 자본시장 이용이 지장을 받아, 채권자, 거래처, 종업원, 고객 등과의 경영관계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국내기업에서 지배구조가 채권자들에게 얼마나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지배구조가 신용위험 및 신용등급 등 신용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한다. 본 논문은 구체적으로 외환위기가 종료된 2000년부터 시작하여 2010년까지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기업들에 대 하여 지배 대주주와 외국인 주주가 기업의 신용등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순차적 프로빗 회귀모형을 사 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효과적인 지배구조는 기업의 부도위험을 감소시킴으로써 신용등급을 제고시킬 것으로 기대되었다. 분석결과, 국내기업에서 지배 대주주들은 신용등급평가에 부정적인 요인이 되나 그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 못하고, 외국인주주들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성 있게 신용등급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내기업의 신인도 제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dominating large shareholders and foreign blockholders on credit ratings. An effective governance mechanism is expected to lead to higher credit ratings through its impact on default risk of the firm. Our results show that dominating large shareholders have an adverse impact on credit ratings of domestic firms on the level of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Foreign shareholder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redit ratings, contributing to the higher credit worthness of domestic firms.

      • KCI등재

        유동성 제약이 투자지출에 미치는 영향

        김충환(Kim, Choong-H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유동성 제약이 가족기업과 비가족기업의 투자 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다. 가족기업은 위험회피성향이 크고 기업의 성과와 명성을 중시하여 대리인 비용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어 현금 흐름이나 유동성 제약이 투자에 미치는 영향이 작을 것으로 기대 되었다. 유동성 제약이 기업 투자지출에 가족기업 과 비가족기업이라는 지배구조 형태 별로 어떻게 달리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644 개의 한국거래소 상장기업에 대하여 2000년부터 2010년 까지 기업 재무 테이터를 사용하여 시계열 횡단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족기업에서 현금흐름변수는 투자지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비가족기업에서는 현금흐름 변수가 매우 민감하게 양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금흐름이 감소하여 유동성 제약에 직면하면 대리인 문제 가 큰 비가족기업의 경우 투자는 크게 감소하나, 대리인 문제가 크지 않은 가족기업에서는 투자지출이 유동성 제약 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로부터의 의의는 현금흐름에 대한 투자의 민감도가 기업의 유 동성 제약 여부를 나타내는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liquidity constraints on investment expenditures of family and non-family firms. We analyze the ownership structure of family firms to determine whether family control alleviates or exacerbates investment-cash flow sensitivity in domestic firms. To examine the impact of liquidity constraints on investment expenditures of family and non-family firms, we used a financial data of 644 Korea Exchange traded companies over the 2000 - 2010 period. We estimated a time-series and cross-sectional regression model, using samples of family firms and non-family firms. The results show that cash flow is not associated with investment expenditure in family firms, whereas cash flow has a positive impact on investment in non-family firms. Our results show that lower or no investment-cash flow sensitivities in family-controlled firms are mainly attributable to lower agency costs through strong monitoring activities of family members. Higher investment-cash flow sensitivities are observed in non-family firms with more agency problems. This suggests that investment-cash flow sensitivities would be useful measures of liquidity constraints.

      • KCI등재

        체험마케팅이 만족도, 충성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충환(Choong-hwan Kim),정연승(Yeon-sung Jung) 대한경영학회 2018 大韓經營學會誌 Vol.31 No.3

        전통적 마케팅은 제품기능의 특징과 편익에 초점을 맞춘 반면 체험마케팅은 고객의 체험을 중요시 하며, 전통적 마케팅은 고객을 이성적 의사결정자로 생각하는 반면, 체험마케팅은 감정적 결정자로 생각한다. 즉, 체험마케팅은 고객체험에 중점을 둔다는 점이 전통적 마케팅과 가장 큰 차이이다. 상품 자체의 기능과 품질, 편익에 가치를 둔 전통적 마케팅과 달리 고차원적인 가치가 요구되는 오늘날에는 가치로서의 체험의 개념은 소비자에게 ‘공감’과 ‘감동’을 제공하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룰 체험마케팅은 소비되는 분위기와 이미지, 브랜드를 통해 고객의 감각을 자극하는 체험을 창출하는데 중심을 두고 있다. 레저 활동은 특히, 체험 이전과 이후의 만족도와 가치의 변화가 큰 분야로서 본 연구는 해양레저활동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체험마케팅의 5가지 요인 변수가 지각된 가치, 만족도, 충성도의 매개를 통해 궁극적으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사용자의 유형을 체험의 빈도에 따라 일반사용자와 전문사용자로 구분하여 각각의 사용자집단이 가지는 특성의 차이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해양레저 활동을 경험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진행하였으며 SPSS 18.0과 AMOS 18.0을 통해 규명한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인집단은 체험마케팅 요소 중 감각, 감성, 행동은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와 관계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각된 가치는 만족도와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만족도는 충성도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구매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일반인집단은 체험마케팅 요소 중 행동과 관계는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각, 감성, 인지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가치는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나 충성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만족도는 충성도와 구매의도 모두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는 해양레저산업 활성화를 위해 해양레저활동 사용자집단별로 체험마케팅을 통한 체험이 미치는 영향과 사용자간 차이를 규명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사용자집단별로 만족도, 충성도, 구매의도로 이어지는 과정이 서로 다르게 진행됨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사용자의 저변을 확대하고 사용자 구매를 유도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5 factor variables of experiential marketing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loyalty in marine leisure activity users. Traditional Marketing focuses on the features and benefits of product functions, but experiential marketing emphasizes customer experience.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experiential marketing and traditional marketing is that experiential marketing focuses on customer experience. Leisure activity has a great change in satisfaction and value after the experience. Especially, users were classified into general user group and expert user group, and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about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between different user group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marine leisure activity users and the findings about research hypothesis testing with SPSS 18.0 and AMOS 18.0 are as follows: First, in expert user group, sense, emotion, and behavior among experiential marketing variables show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but perception and relation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Perceived valu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loyalty, and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oyalty,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Second, in general user group, behavior and relationship among experiential marketing variables show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but sense, emotion, and percep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perceived valu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loyalty. On the other hand, satisfaction show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그림 본문 참조]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contributed to figure out the effectiveness of experience through experiential marketing and the differences between marine leisure activity user groups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marine leisure industry. Also, it is expected that by identifying the process among satisfaction-loyalty-purchase intention appeared differently by user groups.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expanding the base of user groups and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to encourage users to buy or participate more.

      • KCI등재

        외국인 기관투자자와 기업지배구조가 차입비용에 미치는 영향

        김충환(Kim, Choong-H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가 차입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면서 분석하 였다. 서로 다른 지배구조에 따른 차입비용에 영향을 보기 위해, 최대주주 지분율 기준으로 소유 집중도가 작은 기업 표본, 중간 기업표본, 큰 기업표본으로 분류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소유 집중도가 중간이나 작은 기 업표본에서는 외국인 투자자가 기업 차입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소유 집중도가 큰 기업표본 에서는 외국인 투자자가 기업의 차입비용을 크게 감소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지배대주주의 지분율이 높아질수록 이해일치가설에 의해 지배대주주는 자신의 사적 이익을 추구하게 되어 대리인 비 용이 증가하고 경제적 가치가 하락하여 신용위험과 차입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실무적 시사 점으로는, 외국인 투자자는 소유 집중도가 큰 기업에서 지배 대주주를 잘 견제 감시하고 경영의 외부감시 주체로서 경영 의사결정 효율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on the cost of debt. Total sample is divided into the small sample, the medium sample and the large sample of equity concentration, based on the equity ownership of large shareholders. Our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foreign investors are not associated with the cost of debt in the small and medium samples of equity ownership, whereas foreign investor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cost of debt in the large sample of equity concentration. Academic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are that as the ownership of dominating shareholders rises, they seek their private interests of perks causing an increase in agency costs and a decrease in firm's economic value, thus expanding borrowing costs. Practical business implications are that foreign investors may alleviate agency problem of dominating large shareholders in the firm through monitoring activities, thus enhancing the efficiency of business decision-makings.

      • 한국의 정치적 예산순환

        김충환(Choong-Hwan Kim),원동철(Dong-Chul Won)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01 재정논집 Vol.16 No.1

        This paper studied whether or not the evidence of a political budget cycle in Korea could be found using the election dummy variables and un-restrictive model which was developed by Haynes and Stone. It was tested using the annual data for the total fiscal expenditure and other items that could be arbitrarily influenced by government from 1970-1999. Evidence of a political budget cycle in Korea was not found. However, this doesn't necessarily mean there is not a political budget cycle in Korea. Because Korean government can decide at what point in time to spend their annual budget, it can increase spending during or prior to an election. But this will not be shown in annual data. If a quarterly data were available, the existence of a political budget cycle may be proven.

      • KCI등재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Portfolio Investment

        공재식(Gong, Jai-Sik),김충환(Kim, Choong-H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1

        우리나라는 2000년도부터 외국인투자 한도의 전면폐지로 외국인투자가 크게 증가하였다. 국내기업들의 소 유구조가 급격히 변모하면서 외국인투자자가 주식시장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40%를 상회하고 있고, 외국인지분율이 50%를 넘는 기업들도 상당수 나타나고 있다. 국내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외국인투자자가 선호하는 국 내기업의 재무적 특성 또는 주식의 종류들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 구미의 연구들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시장에서 의 외국인투자자들은 잘 알려져 있거나 지리적으로 가까운 지역의 기업주식 또는 투명하고 유동성이 높은 주식을 선호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국내시장에서 외국인투자자가 투자종목으로 선호하는 국내주식의 종류 또는 국 내기업의 재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시장에서의 외국인투자자들은 자본의 시가총액이 큰 기업과 배 당수익률이 높은 기업을 매우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시장에서 활동하는 외국인투자자들은 또한 장부가-시 장가 비율이 높은 가치주(value firms)를 보다 선호하고 있는 반면, 부채비율과 최대주주 1인 지분비율이 높은 기업 에 대하여는 투자를 회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fter the year of 2000, the Korean government has abolished the limit on foreign investments. Foreign investments in the domestic market have been thriving since. In domestic stock market, the proportion of market value held by foreign investors reaches over 40%. There are many followers in the markets, asking about what kinds of the firm that foreign investors prefer. Prior researches show that foreign investors in the American and European markets prefer stocks of the firm which are well known and are geographically closer. In this paper, we attempt to define the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the firms in which foreigners invest in the Korean market. The result shows that foreign investors in the domestic market tend to prefer firms with high market value of capital and dividend yield. It also shows that foreign investors in the Korean market choose firms with high book value to market value over others, while the firms with high debt ratio and the portion of the largest stock holders are shunned. This research suggests that foreign portfolio investments in the Korean market have contributed to liquidity of stock market and changed the governance structure of domestic firms in a positive way.

      • KCI등재

        가족기업의 부채구조 결정요인 분석

        공재식(Gong, Jai-Sik),김충환(Kim, Choong-H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연구는 기업의 지배구조에서 가족기업 형태가 부채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족기업은 비가족기업에 비해 부채비율을 낮게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국인 투자자는 대리인문제에 대한 모니터링 활동으로 기업 부채수준을 크게 낮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성이 좋 은 기업은 부채수준을 낮게 유지하고 있으며, 유형자산이 많고 기업규모가 큰 기업은 담보가능 자산이 커서 채권 자들의 자금제공 가능성이 높으므로 부채수준을 높게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외국인 투자자는 우리나라의 많은 기업들이 유지하는 가족기업에 대한 대규모 주식 보유를 통해 가족기업의 지배대주주의 전횡을 견제함으로서 외부감시주체로서 경영의사 결정 효율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impact of family ownership mechanism on the firm's debt policy. Our results show that family firms tend to have a lower debt level, compared with non-family firms. Foreign investors are found to lead to a reduction in the firm's debt level through their monitoring incentives for dominating large shareholders. The firm's profitablily is related to a lower level of debt, whereas higher tangible assets and firm size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 debt ratios due to the possibility of large collateral assets. Some implications are that foreign investors can reduce the agency costs of dominating large shareholders in family firms through monitoring activities, thus enhancing the efficiency of business decision-makings.

      • KCI등재

        The Ownership Choice of Leveraged Buyout Company

        공재식(Gong, Jai-Sik),김충환(Kim, Choong-H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3

        인수합병(LBO)을 실행한 기업중 외부차입이 큰 경우에는, 일정기간 후에 인수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차입한 막대한 자금을 상환하기 위해 일반 기업공모나 제3자 기업매각을 시도할 수 있다. 일반 기업공모는 소유지분 공개를 통한 공기업으로의 전환이고, 제3자 기업매각은 소유구조상 사기업 형태의 지속을 의미한다. 따라서 외부차입에 의한 인수합병 기업의 소유구조 선택은 최초공모주(IPO) 발행을 통한 공기업으로의 전환인가 또는 제3자 기업매각을 통한 사기업 형태의 유지인가에 대한 의사결정의 문제이다. 국내에서는 외부차입에 의한 인수합병(LBO) 사례가 매우 적 다. 그러나 해외에서는 외부차입에 의한 인수합병(LBO) 거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오고 있고, 이러한 거래가 금융 시장에 미치는 영향 또한 지대하다. 본 연구는 미국의 기업자료를 대상으로 기업의 경영자가 외부차입을 통한 인수 합병을 실행한 기업의 소유구조 선택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수합병의 규모, 호황 불황 등 시장 상황 등이 차입을 통해 인수합병을 실행한 LBO 기업이 계속 사기업 형태로 유지할지 또는 기업 공개를 시도하여 공기업으로 전환할지 하는 소유구조의 선택 의사결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Leveraged buyouts (LBO) means the acquisition of a company using bonds and loans. There are the prolific volumes of LBO transactions in the international M&A markets, and its influence to the financial market is increasingly huge. However, there are very few LBO transaction in the domestic M&A market and there are also few researches in this field due to the private nature of LBO transactions. Once a company is privatized through a LBO transaction, it is not so long before it is relisted on the stock exchange or it is resold to a third-party investor. In order to repay the borrowed money, an LBO investor may decide to end a company's private status through an exit via an initial public offering (IPO) or a takeover. In this paper, we expand Kaplan’s study on the organizational status of post leveraged buyout (LBO) transaction. We fi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hange starting 1986. Most notably, fewer LBOs remain private, the median holding period of the LBO was cut in half to 3.2 years and of those that exit, IPO exits had significantly shorter holding periods.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good market conditions lengthen the holding period of a LBO investment whereas the size of the transaction shortens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