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아발육지연 유무에 따른 자간전증 임신태반에서의 Telomerase 활성도

        정영내(Young Nae Jung),김세광(Sei Kwang Kim),정현철(Hyun Cheol Chung),박규현(Kyu Hyun Park),김창한(Chang Han Kim),조현정(Hyun Jung Cho),박용원(Yong Won Park),조재성(Jae Sung Cho),김인규(In Kyu Kim),양영호(Young Ho Yang),김재욱(Jae Wo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2

        목적: 임신 제 3기 인체 태반에서 telomerase 활성도(TA) 발현 여부를 확인하고, 자간전증임신 태반에서 태아발육지연 유무에 따른 TA 발현 빈도를 비교 분석한다. 실험방법: 임신 29∼41주 사이의 태반 조직에서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TRAP) 분석방법에 의해 TA를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을 크게 세군으로 나누어 1군은 자간전증과 태아발육지연이 없었던 군 21명, 2군은 태아발육지연이 없는 중증 자간전증 9명, 3군은 중증 자간전증과 태아발육지연이 있었던 16명을 대상으로 TA 발현 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1군에서는 16/21(76.1%), 2군은 3/9(33.3%), 3군에서는 4/16(25%)의 빈도로 TA가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1군에서 2군과 3군에 비해 TA발현이 의미 있게 높았으며(p=0.003), 2군 및 3군 각각에 비해서도 높은 TA 발현 빈도를 보였다(p<0.05). 그러나 2군과 3군 사이에서의 TA의 발현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본 연구로 임신 제 3기 태반에서도 TA의 발현이 확인되었고, 중증 자간전증 및 태아발육지연을 동반한 중증 자간전증 태반에서 TA가 현저히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중증 자간전증 및 태아발육지연의 발생은 태반 노화나 apoptosis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Objectives: To analyze telomerase activity(TA) in human placenta tissues and to compare TA in preeclampsia with or without fetal growth restriction(FGR) Methods: Fourty-six placenta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pregnant women between 29 and 41 weeks' gestation. TA of each specimen was analyzed including 21 specimens without either preeclampsia or FGR(Group 1), 9 specimens with preeclampsia but without FGR(Group 2), and 16 specimens with both preeclampsia and FGR(Group 3). TA was analysed by radioisotope PCR based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TRAP) assay. TA was calculated and translated into arbitrary units by computer-assisted densitometry with the control of TA in 293 cell lines. Results: TA was expressed in 16 of 21(76.1%) in group 1, and in 3 of 9(33.3%) in group 2. In contrast, only 4 patients(25%) in group 3 expressed TA. Thus, TA was expressed significantly more often in group 1 than in group 2 and group 3(p=0.003). However, compared with group 2, expression of telomerase activity in group 3 was not reduced significantly(p>0.05). Conclusion: TA was minimal in placenta from preeclamptic women with and without FGR, suggesting placental senescence and apoptosis may be associated with FGR and severe preeclamp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