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앙은행 적립금의 운용에 관한 공공선택이론적 연구 - 61개국 자료를 이용한 실험적 접근 -

        김인배,김일중,권윤섭,Kim, Inbae,Kim, Iljoong,Kwon, Yunsub 한국개발연구원 2004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26 No.2

        최근 국내에서는 "특별회계 및 기금 정비방안"에 관한 공청회가 열리는 등 공공기관에 의한 기금 및 적립금의 목적과 운용 행태에 대한 관심이 촉발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경제학을 공부하는 이들에게 중앙은행의 적립금은 별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다. 다분히 실험적 연구의 성격을 띤 본 논문은 61개국 자료를 이용하여 각국 중앙은행이 내부 유보한 적립금이 통화정책 당국의 재량권확대 유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인다. 구체적으로 통화정책에 있어서 통화당국 관료의 재량권 여지가 큰 중앙은행 대출이 적립금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한다. 한국의 경우, 이미 김인배 외(2001)에서 중앙은행 적립금이 중앙은행 대출과 관련이 있음을 보였던바, 이를 국제자료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중앙은행 적립금의 성격과 의미를 재고하며 동시에 가설의 일반화를 시도한다. Although various publicly reserved funds have recently come to the fore of academic and policy-making attention in Korea, researchers rarely take up the issue of the reserve fund retained from annual profits by the central bank (i.e., the Bank of Korea). Starting with the general public choice premise that bureaucrats seek to maximize their discretionary budget, this paper first provides a theoretical reasoning why central bank's bureaucrats would prefer retaining annual profits to turning them to the Treasury. The major tenet to be emphasized is that retained profits as a reserve fund can give the central bankers discretionary power in their disposition.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erve fund and the discount windows. The latter, as a monetary instrument, has traditionally been demonstrated to cause secrecy, arbitrariness, and other bureaucratic amenities in the previous literature. Subsequently, this paper, based on 61 countries data, empirically verifies that the central bank's reserve fund is at least partially used to additionally increase the discount windows. Since an excessive use of discount windows results in inflationary bias, we conclude the paper with some policy suggestions to have such bureaucratic power of discretion in check. This paper, if in its experimental nature yet, is expected to shed a critical implication for establishing the meaningful independence of the central bank to a host of countries.

      • KCI등재

        폐기물을 이용한 고화처리토의 차수효과

        김인배,안진선,Kim Inbae,Koopman Ben.,An Jinsun 한국환경보건학회 2004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0 No.5

        Seaweed waste(SWW) was used to improve the liner effect in recycling of dredged soil as the landfill liner. It was foun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became somewhat lower when SWW was added than that was when Ordinary Port-land Cement(OPC) only was added.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however, became lower in this case which showed the lowest permeability coefficient when the addition of SWW was one percent. Hence, to comply with the regulations for the compression strength and permeability coefficient of landfill liner, the addition of OPC should be over eight percent and that of seaweed waste one percent. The results of leaching test showed that the solidified material was not against the laws of waste control, so it is possible to use as the landfill liner and to expect sufficient economic effects because wastes such as dredged soil and seaweed can be recycled.

      • KCI등재

        중앙은행 커뮤니케이션이 경제주체의 기대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은행의 GDP 전망공표를 중심으로

        김인배 ( Inbae Kim ),안희욱 ( Hee Wook Ahn ) 한국국제경제학회 2015 국제경제연구 Vol.21 No.3

        본고는 한국은행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인 경제전망 공표, 그 중에서도 성장률 전망공표가 전문가들의 성장률전망치 분포(표준편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1995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Consensus Economics의 전문가 서베이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은행은 1998년 물가안정목표제 도입 이래 대외 커뮤니케이션이 지속적으로 개선되어왔다고 주장하지만, 적어도 성장률 전망공표의 효과로써 판단할 때, 정작경제주체의 성장률 기대에 영향을 주기 시작한 것은 2004년 중기 물가안정목표제가 시행되면서 부터이다. 둘째, 한국은행의 ‘성장률 공표’는 그 자체로서 독립적으로 경제주체의 기대형성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었다. 대신 그 효과는 한국은행의 전망 예측력에 의존하여, 예측력이 높을수록 경제주체의 기대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커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역시 중기 물가안정목표제가 시행되면서 뚜렷해진다. 셋째, 한국은행의 성장률전망 예측력은 한국은행에 대한 신뢰도를 높여 경제주체의 기대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본고는 한국은행이 물가안정목표제 하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횟수와 양은 증가해 왔지만, 그 효과 면에서는 전망 예측력과 같은 질적 측면이 관건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investigated how ‘economic forecasting announcement’, the Bank of Korea (BOK)’s representative method of communication, affects the distribution of experts’ GDP growth expectation (standard deviation). Empirical results using monthly professional survey of Consensus Economics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2013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BOK asserts that the communication has been constantly improv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inflation targeting in 1998, economic agents’ expectation, based on our results, has been influenced only with the introduction of medium-term inflation targeting in 2004. Second, the BOK’s ‘GDP forecasting announcement’ itself had not been independently effective on economic agents’ expectation. Instead, the effect depended on the BOK’s forecasting capability. It has been found that the better the capability, the more influence it had on expectation formation. This trend also strengthened since the introduction of medium-term inflation targeting. Third, the BOK’s forecasting capability seemed to affect economic agents’ expectation through increasing credibility on the BOK. The findings suggest that although the BOK has been increasing the frequency and amount of communication since the inflation targeting, qualitative aspect such as forecasting capability is more crucial than quantitative measures.

      • KCI등재

        거시건전성규제, 금융감독기구의 독립성 및 은행의 외부거버넌스: 은행산업의 금융안정성과 시스템위기에 대한 효과

        김인배 ( Inbae Kim ) 한국경제학회 2022 한국경제포럼 Vol.15 No.3

        본고는 거시건전성규제와 금융감독기구의 독립성 및 은행산업의 외부거버넌스가 은행산업의 금융안정성 및 시스템위기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은행산업의 시스템위기를 평상시 금융안정성의 극단적인 연장으로 이해해서는 곤란하다. 둘째, 위의 세 가지 핵심 규제 및 제도 모두 금융안정성에 장기 지속적인 효과를 보이는데, 이는 펀더멘털을 질적으로 개선함을 의미한다. 셋째, 거시건전성규제 및 금융감독기구의 독립성 강화는 금융안정성을 높인다. 특히 거시건전성규제는 그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국가들에서 차별적으로 더 큰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은행산업의 외부거버넌스 강화는 전반적으로는 금융안정성을 하락시킨다. 그러나 금융안정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효과도 존재하는데, 이는 주로 외부거버넌스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국가들에서 장기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다섯째, 은행산업의 시스템위기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거시건전성규제와 외부거버넌스 강화가 효과적일 뿐 아니라 그 효과도 즉각적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macroprudential policy, the financial supervisory’s independence and the bank’s external governance on the financial stability and the systemic crisis possibility of the banking indust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i) The banking sector’s systemic crises should not be analized as an extreme extension of its financial unstability. (ii) Those key policy and governances have a long run sustaining effects which indicate that they might improve the banks’ fundamentals qualitatively. (iii) The macroprudential policy and the financial supervisory’s independence enhance the financial stability, while the former has more positive effect in the countries where its strength is comparatively lower than the other countries. (iv) The bank’s external governance reduces the financial stability, but it also has a positive effect, that can be found distinctly in the countries where the strength of the external governance is comparatively lower than the other countries. (v) The macroprudential policy and the external governance tend to be immediately effective in reducing the possibility of systemic crises.

      • KCI등재

        산업별 주가지수를 이용한 한국 주식시장 평균-분산 최적화 모형

        김인배(Inbae Kim) 한국계량경제학회 2006 계량경제학보 Vol.17 No.1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주식시장을 7개의 산업군으로 분류한 후, 투자자들이 이들 산업군 주가지수와 무위험 채권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고 가정하였다. 평균-분산 최적화 모형을 이용하여 이들 포트폴리오 수익률의 움직임을 설명하려 하였으며, 다변량-ARCH, 나아가 투자자의 상대적 위험회피도까지도 시간에 따라 변하도록 허용하였다. 그 결과 투자자들이 명목수익률보다는 실질수익률에 근거하여 투자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에 대해 헤지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면서도 기존문헌에서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크기의 위험회피도를 추정할 수 있었다. 한국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들의 위험회피도는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1997년 금융위기를 전후하여 약 일년 가량 위험회피도가 하락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자산가격결정 모형에 보다 폭넓은 투자수단이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paper classified the Korean stock market into 7 industrial groups, and assumed that investors make portfolio decision over these stocks and a risk-free bill. Various forms of the Mean-Variance Optimization model with a multivariate-ARCH, even with a timevarying relative risk aversion coefficient were applied to explain the Korean stock market movement. We found that investors hedge against inflation, which means they are more concerned with the real return, rather than the nominal. Regarding to the risk aversion coefficient, we were able to obtain an appropriate size of the estimates. They were very stable over the time, but decreasing over a year around the 1997 financial crisis. This result suggests a critical point in asset pricing model that more variety of investment instru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investor’s portfolio.

      • KCI등재

        산업별 주가지수를 이용한 한국 주식시장 평균-분산 최적화 모형

        김인배(Inbae Kim) THE KOREAN ECONOMIC SOCIETY 2006 JOURNAL OF ECONOMIC THEORY AND ECONOMETRICS Vol.17 No.1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주식시장을 7개의 산업군으로 분류한 후, 투자자들이 이들 산업군 주가지수와 무위험 채권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고 가정하였다. 평균-분산 최적화 모형을 이용하여 이들 포트폴리오 수익률의 움직임을 설명하려 하였으며, 다변량-ARCH, 나아가 투자자의 상대적 위험회피도까지도 시간에 따라 변하도록 허용하였다. 그 결과 투자자들이 명목수익률보다는 실질수익률에 근거하여 투자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에 대해 헤지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면서도 기존문헌에서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크기의 위험회피도를 추정할 수 있었다. 한국 주식시장에서 투자자들의 위험회피도는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1997년 금융위기를 전후하여 약 일년 가량 위험회피도가 하락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자산가격결정 모형에 보다 폭넓은 투자수단이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paper classified the Korean stock market into 7 industrial groups, and assumed that investors make portfolio decision over these stocks and a risk-free bill. Various forms of the Mean-Variance Optimization model with a multivariate-ARCH, even with a timevarying relative risk aversion coefficient were applied to explain the Korean stock market movement. We found that investors hedge against inflation, which means they are more concerned with the real return, rather than the nominal. Regarding to the risk aversion coefficient, we were able to obtain an appropriate size of the estimates. They were very stable over the time, but decreasing over a year around the 1997 financial crisis. This result suggests a critical point in asset pricing model that more variety of investment instru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investor's portfolio.

      • KCI등재

        OECD 국가에서 금융 쿠즈네츠커브와 금융감독 거버넌스의 역할

        김인배 ( Inbae Kim ) 한국국제경제학회 2019 국제경제연구 Vol.25 No.2

        본 논문은 소득불평등과 금융발전 수준 간에 역 U-자형의 관계를 보인다는 Greenwood and Jovanovic(1990) 가설에서 역-U 자형의 꼭지점에 상응하는 금융발전 수준이 금융감독 거버넌스의 질과 관계가 있음을 보인다. OECD 34개국을 대상으로 동아시아 외환위기 이후인 1999년부터 2011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패널분석을 한 결과, 금융감독기구의 독립성과 감독의 시장규율 거버넌스 개선이 소위 금융 쿠즈네츠커브 가설에서 소득불평등의 추세를 역전시키는 금융발전수준을 낮출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This paper studies Greenwood and Jovanovic (1990) hypothesis that claims the inverse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the income inequality and the financial development (the so-called ‘financial Kuznets curve hypothesis’). We propose a new specification of the financial Kuznets curve, conditioning the threshold level of the financial development on the governance quality of financial supervision. Investigating the annual panel data of the OECD 34 countries from 1999 to 2011, we found that the independence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strength of external audits and financial statements transparency of the financial institutions contribute to a more even distribution of income by lowering the threshold level of the financial development in the inverse U-shaped curve.

      • KCI등재

        금융쿠즈네츠커브 가설과 거버넌스 연계론

        김인배(Inbae Kim) 한국경제통상학회 2021 경제연구 Vol.39 No.1

        김인배(2019)는 소득불평등과 금융발전 간의 관계가 역 U-자 형태를 띤다는 금융쿠즈네츠커브 가설하에서, 금융감독기구의 거버넌스가 소득불평등의 추세를 전환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함을 보였다. 본고는 이를 연장하여 금융감독기구 거버넌스의 역할 뿐 아니라, 공공부문 거버넌스의 역할 및 두 거버넌스 간 시너지효과를 확인함으로써 Das and Quintyn(2002)이 말한 거버넌스 연계론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는 금융발전이 금융참가자들의 사적 유인에 의해 왜곡되지 않기 위해서는 공공부문 거버넌스가 전제되어야 할 뿐 아니라 거버넌스 간 연계가 필수적임을 보인 것이다. Kim(2019) showed that a good regulatory governance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agencies has a positive impact on changing the trend of the income inequality in the the financial Kuznets curve hypothesis that claims the inverse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the income inequality and the financial development. Extending Kim(2019), this paper empirically verified the governance nexus of Das and Quintyn (2002) by investigating, in the financial Kuznets curve, the beneficial role for the improvement of the income inequality of the public sector governance as well as its synergistic effect combined with the regulatory governance. This result confirms that a sound public sector governance and its nexus to the regulatory governance is a prerequisite for the financial development.

      • KCI등재

        통화정책 투명성과 희생비율

        김인배(Inbae Kim) 한국경제통상학회 2011 경제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92개국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통화정책 투명성이 높아질 때 디스인플레이션 정책이 초래하는 실업률 증가의 크기, 즉 희생비율을 한계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플레이션과 고용(성장) 간의 상충관계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통화정책의 효율성 제고뿐 아니라 외환시장 혹은 국제수지 등 여타 경제목표를 고려해야 하는 통화당국에게 보다 큰 정책운영상의 여지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s that monetary transparency can reduce the sacrifice ratio, the employment cost of disinflation, based on the panel data of 92 countries. This result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on the efficiency of monetary policy in not only that monetary transparency is able to improve the trade-off between inflation and employment, but that it can provide a more room for the monetary authority that has to take into consideration other economic policy goals like the balance of payments and foreign exchange market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