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휴일 전력 수요에 관한 산업별 분석

        김인무(In-Moo Kim),이용주(Yong-Ju Lee),이성로(Sungro Lee),김대용(Daeyong Kim) 에너지경제연구원 2016 에너지경제연구 Vol.15 No.1

        본 논문은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자동원격검침 (AMR) 전력수요량을 사용하여 공휴일 전력수요의 산업별 특성과 패턴을 분석한다. 기존의 모형과 달리 경제변수가 포함되지 않은 일별 모형을 통하여 공휴일 효과를 분석하는 특징을 가지는데, 산업별로 AMR 전력사용량의 시계열적 특징으로부터 장기 추세와 중기 기온효과 그리고 단기 공휴일 효과로 구성되는 공적분 모형을 추정한다. 추정결과를 가지고 공휴일 효과의 크기에 따라 5개 산업군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그룹별 공휴일 효과의 특징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특히, 전기및전자기기 산업과 금속제품 산업에서는 공휴일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반해 숙박및음식점업과 부동산및임대업에서는 공휴일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실시간 산업별 전력수요관리 뿐만 아니라 현재 정부가 시행 중인 토요일 전기요금 인하조치 등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using AMR (Automatic Meter Reading) electricity data accurately measured by sectors in real time, analyses holiday effect on the industrial electricity usage. For this goal, the paper constructs and estimates a model which captures the properties of AMR time series including long-term trends, mid-term temperature effects, and short-term special day effects. Based on the estimated holiday effect, we categorize the whole industry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size of holiday effect and further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holiday effect in each group. These empirical results carry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on the fulfillment real time electricity demand management and on the evaluation of the temporary price cut in saturday electricity usag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산업별 전력수요의 기온효과 분석

        김인무 ( In Moo Kim ),이용주 ( Yong Ju Lee ),이성로 ( Sungro Lee ),김대용 ( Daeyong Kim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6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5 No.2

        본 논문은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자동원격검침(AMR) 전력수요량을 사용하여 산업별 전력수요의 기온효과에 대한 특성과 패턴을 분석하였다. AMR 전력사용량의 시계열적 특징으로부터 장기 추세효과와 중기 기온효과 그리고 단기 특수일 효과로 구성되는 공적분 모형을 구축하고, 기온효과를 연속적인 기온반응함수를 통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기온반응함수를 푸리에 플렉서블 폼(Fourier Flexible Form; FFF) 비선형 함수로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도출된 기온반응함수와 기온효과를 통하여 기온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서비스업군과 기온효과가 미약하게 나타나는 제조업군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기온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서비스업군을 기온반응함수의 추정치에 근거하여 여름피크 산업과 겨울피크 산업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산업별, 계절별 전력수요관리정책 수립에 정책적 기초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AMR 전력수요량 분석이라는 점에서 시차의 발생없이 신속하게 전력수요관리에 반영될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 This paper, using AMR (Automatic Meter Reading) electricity data accurately measured in real time,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temperature effect on the industrial electricity usage. For this goal, the paper constructs and estimates a model which captures the properties of AMR time series including long-term trends, mid-term temperature effects, and short-term special day effects. Based on the estimated temperature response function and the temperature effect, we categorize the whole industry into two groups: one group with sharp temperature effect and the other with weak temperature effect. Furthermore, the industry group with sharp temperature effect is classified into a summer peak industry group and a winter peak industry group, based on the estimates of the temperature response function. These empirical results carry practical policy implications on the real time electricity demand management.

      • KCI등재

        에너지 상대가격 변화에 따른 에너지 수요 예측

        김인무 ( In Moo Kim ),김창식 ( Chang Sik Kim ),박성근 ( Seong Keun Park ) 한국경제학회 2011 經濟學硏究 Vol.59 No.4

        본 논문은 에너지 상대가격의 변화에 따른 대체수요의 변화, 특히 전력수요와 도시가스 수요간의 대체수요 변화를 효율적으로 반영하는 에너지 수요예측모형을 제시하였다. 에너지 수요는 기온에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에너지 상대가격 변화에 따른 대체수요의 크기 또한 기온 변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기온가격 교차반응함수로 모형화하여 예측모형에 반영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기온가격 교차반응함수를 한국의 전력수요와 도시가스수요 자료를 사용하여 추정한 결과, 기온이 낮을 때 에너지 상대가격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 난방 수요에서 전력과 도시가스 간의 대체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논문이 제시한 기온가격 교차반응함수를 이용한 예측모형이 기존의 예측모형에 비해 적합도나 예측력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approach to improve short-run energy demands forecasting using temperature-price cross response function, which exploits the fact that the relative price of energy has different effects on the energy demands at different temperatures. Using this new approach, we provide empirical analyses of Korean short-run electricity and city gas demand forecasting. The estimation and forecasting results suggest that there should be a significant impact from the relative price on the energy demand especially for heating demand. Our forecasting procedure is shown to perform significantly better than other methods that are commonly used for short-run energy demand forecasts in the literatur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상품공간에 의한 동태적 산업분류 및 상품공간 중력모형

        김인무 ( In-moo Kim ),김대용 ( Daeyong Kim ),이용주 ( Yong-ju Lee ),이성로 ( Sungro Lee ) 한국경제학회 2017 經濟學硏究 Vol.65 No.1

        본 논문은 상품공간의 관점에서 상품 중심성과 그 추세를 분석하고, 상품 중심성 추세에 따른 동태적 산업분류를 제시하였다. 이어서 국제무역의 중력모형에 상품공간의 상품 중심성 개념을 도입한 상품공간 중력모형을 제시하고, 한·중·일 3국에 대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국제무역에서의 개별 산업이 차지하는 중요도를 나타내는 상품 중심성이 1991년부터 2014년까지 24년 간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261개 품목에 대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약 30% 정도 품목에서 상품 중심성의 장기적 추세에 큰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중·일 3국에 대한 상품공간 중력모형의 실증분석을 통하여 상품 중심성의 증가가 수출 증가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양(+)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상품공간 구조가 국제무역흐름이나 산업구조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임을 보였다. 특히 한국의 산업구조는 중국이나 일본에 비하여 상품 중심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산업구조 변화가 진행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global trend of centrality measure in product space and develops dynamic industrial classification based on this measure. In addition, the paper analyzes the gravity model with product-level heterogeneity which originates from centrality measure in product space and examines how much the centrality measure explains the export structure of Korea, China and Japan. Empirical results show that over 30% of products in product space have significantly changed their centrality in the past 24 years. Also, the empirical results based on the gravity model in product space illustrates that the estimated elasticity of centrality measure, the major concept of product space, is significantly positive in all of the model specifications as theoretically expected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rade flows in global market and the export structure in the country level. These evidence illustrates that Korea has successfully achieved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in manufacturing industries more timely than China and Japan as the global trend of export sophistication in product space has changed. Also, with these results, we carefully predict that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in product space play a key role in economic growth of the manufacturing countries.

      • KCI등재

        경기변동과 전력발전량

        김석종 ( Seok Jong Kim ),김인무 ( In Moo Kim ) 한국경제학회 2014 經濟學硏究 Vol.62 No.2

        본 논문에서는 전력발전량으로부터 경기변동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지 시간변형함수 기법을 통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시간변형함수 기법을 통한 시차분석이 경기변동의 비선형 패턴을 분석하는데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질 GDP와 경기종합지수와의 시차관계를 우선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동태적시간변형함수 추정법과 이정표 추정법 및 프로크루스테스 추정법을 이용하여 시간변형함수를 각각 추정한 결과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경기종합지수의 선행성과 동행성에 관한 통계청의 작성의도와 시간변형함수 추정결과가 일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실질 GDP의 비선형 경기변동 패턴에 대하여 산업생산지수와 전력발전량이 선행성 혹은 동행성을 가지는지 시간변형함수를 통하여 추정하여 보았다. 산업생산지수의 경우 실질 GDP와 동행성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결과가 나타났으나, 작성시점과 발표시점 간의 시차가 존재하여 즉각적인 경기동향을 보이지는 못하였다. 한편 즉각적인 합산이 가능한 전력발전량의 경우 시간변형함수의 추정 결과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실질 GDP와 동행성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질 GDP와 동행성이 뚜렷한 전력발전량은 경기종합지수 및 산업생산지수와 달리 작성시점과 발표시점의 시차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경기변동에 대한 즉각적인 정보를 반영하는 지표로 활용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electricity generation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a business cycle. We apply three estimation methods of time warping functions - dynamic, landmark, and Procrustes-to obtain precise time lags between the business cycle and the electricity generation. To find the appropriate method, we apply the three methods to estimate the time warping function of the real GDP and the composite indicators of Korea. Results show that inference with the landmark and the Procrustes methods is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the composite indicators designed by the Statistics Korea. We apply the same methods to estimate the time warping functions between the real GDP, industrial production index and electricity generation. It is found that the industrial production index and the electricity generation are both coincident with the real GDP. We propose the electricity generation as an immediate coincident indicator for the business cycle of Korea since there are no time lags between making and announcing the indicator in case of the electricity generation.

      • KCI등재

        선도추급과정을 이용한 새로운 예측기법: 장기전력수요예측에의 응용

        박준용 ( Joon Y. Park ),김인무 ( In Moo Kim ),김창식 ( Chang Sik Kim ),이성로 ( Sung Ro Lee ) 한국경제학회 2011 經濟學硏究 Vol.59 No.3

        본 논문은 비선형 예측모형에서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선도추급(先導追及; Gap and Catch-up) 과정을 제시하고 이를 한국의 장기전력수요예측에 적용한 실증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선도추급과정은 후발국가가 경제적 발전단계에서 앞선 선도국가의 성장패턴을 추급한다는 가설을 예측에 적용한 것으로, 본 논문에서는 선도국가의 전력수요에 대한 소득탄력성 변화패턴을 후발국가가 추급한다는 가설을 시간변동계수를 갖는 공적분회귀식을 이용한 전력수요예측모형에 적용하여 예측력을 높인 실증분석 결과를 보여준다. 장기전력수요예측에서 한국이 일본 전력수요의 소득탄력성 변화패턴을 추급한다는 선도추급과정을 적용한 결과가 기존 예측모형에 비하여 우월한 예측력을 보였으며, 특히 선도 및 추급기간에 대한 모의실험에서 한국의 추급기간이 일본의 선도기간을 단축시키는 가설을 적용할 경우 최적 예측치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용도별 전력수요의 소득 탄력성 변화패턴 수렴에 관한 실증분석 결과가 경제성장이론에 나타난 산업별 생산성 수렴현상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pproach to improve accuracy in long-term forecasts based on nonlinear models, and provides an empirical analysis of long-run electricity demand forecast for Korea. Our approach is based on the notions of catch up and convergence, which exploits the fact that various economic characteristics of developing countries evolve following closely with some time lags the historial patterns of corresponding characteristics of developed countries. To forecast electricity demands in developing countries, for instance, we may therefore utilize the historical patterns of the determinants of electricity demands in developed countries. In particular, we find that the time series of income elasticity of electricity demand in Korea evolves in the same pattern as that of electricity demand in Japan. The patterns are extracted using cointegrating regressions with time-varying coefficients, and the actual gap and catch-up periods are determined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our forecasting model. Our procedure is shown to perform substantially better than other models that are commonly used in long-term forecasts. In particular the optimal forecasts are obtained under the assumption that Korea`s catch-up period is shorter than the gap period between Korea and Japan. Our empirical results are also consistent with those done by the studies of the convergence of productivity.

      • KCI등재

        구조변화 분석방법의 최근 발전

        김인무 韓國計量經濟學會 1999 계량경제학보 Vol.10 No.1

        본 논문은 최근 발달한 구조변화의 계량분석기법에 의하여 살펴본 서베이논문이다. 특히 시계열자료의 장기적 추세를 분석하는 데 있어 나타나게 되는 구조변화의 영향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따라서 장기적 추세분석에 사용되는 중요한 분석도구인 단위근과 공적분분석에 대한 구조변화의 영향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표본기간 동안 한 번 이상 구조변화가 발생한 경우에 대한 최근의 분석방법을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