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난 30년간 소양호의 시공간적 수질 변화 양상

        김윤석 ( Yoonseok Kim ),홍은미 ( Eunmi Hong ),염호정 ( Ho-jeong Yeom ),김의석 ( Uiseok Kim ),노연정 ( Yeonjung Noh ),정기은 ( Kieun Jeo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으며 하천경사가 급한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홍수가 일시에 유출된다. 또한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1인당 수자원 부존량은 매우 적기 때문에 수자원의 이용면에서 불리한 자연조건을 갖고 있어 인공호의 형태로 수자원을 확보하고 있다. 그중 북한강 최대 지류인 소양강 줄기에 조성된 국내에서 두 번째로 큰 인공호인 소양호는 산업활동과 한강 하류 수도권의 핵심 수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1973년 소양강댐이 만들어지면서 생긴 소양호는 매우 물이 맑은 호수로 알려져 있었으나, 가두리양식장의 증설에 의해 1986년부터 남조류가 출현하는 부영양화 현상이 나타났다. 이후 1999년 가두리 양식장 철거 후 수질이 개선되었으나 유역의 농업활동 변화로 인하여 영양염류와 탁수의 유입이 점차 증가하였다. 또한, 한강 하류에 위치한 수도권 지역의 핵심 수자원으로 이용되는 만큼 지속적인 수질검사 및 분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양호 30년간의 모니터링 자료를 통해 장기간의 수질 변화특성을 파악하고 소양호 내 수질 인자의 시공간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1992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월 2회 0m부터 90m까지 총 14개의 수질항목(수온, pH, EC, Turbidity, DO, BOD, COD, SS, VSS, T-N, T-P, Chl-a, DOC, TOC)을 분석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공간적 특성 파악을 위해 수심별로 표층(0, 2, 5, 10m), 중층(20-50m), 심층(60-90m)의 세 구간으로 나누었으며, 데이터 분석을 위해 시계열 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EC의 경우 장기간에 걸쳐 표층, 중층, 심층에서 증가한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상관분석 결과 Turbidity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기간 소양호의 시공간적 특성 변화를 파악하고 나아가 향후 호수 수질 관리의 기초연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환경생태유량을 고려한 황강 유역의 복합적인 가뭄 평가

        김윤석 ( Yoonseok Kim ),홍은미 ( Eunmi Hong ),김성준 ( Seong-jun Kim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최근 급변하는 기후변화로 인해 이상기후 현상이 잦아지고 있으며, 극심한 가뭄이 장기화됨으로써 수질 악화, 어류의 서식처 파괴 등 다양한 환경학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 가뭄은 다양한 목적에 따라 여러 가뭄지수들로 평가 및 분석이 진행되고 있지만, 생태학적 측면을 고려한 가뭄의 평가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학적 측면을 고려한 복합적인 가뭄 평가를 위하여 환경생태유량을 이용한 생태가뭄지수를 산정하고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비교하여 생태가뭄지수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수생태계 건강성 등급이 낮은 낙동강 수계의 지류 하천인 황강 유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대표 어종인 모래무지(Pseudogobio esocinus)와 돌마자(Microphysogobio yaluensis), 우점종인 피라미(Zacco platypus)를 대상 어종으로 선정하였다. 1차원 물리 서식처 모의 모형인 PHABSIM 모델을 통해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였으며, PHABSIM 모델의 유량경계 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총 10년 유량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산정한 환경생태유량을 기준값으로 하여 환경생태유량지수(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Index; EI)와 생태한계유량지수(Ecologically Critical Flow Index; ECFI), 표준생태유량지수(Standardized Ecological flow Index; SEI), 갈수량 기준의 환경생태유량지수를 산정하였다. 생태가뭄지수의 적용성 검증을 위해 산정한 생태가뭄지수와 SPI 3,6,9를 이용하여 매트릭스 분석(Matrix Analysis)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세 어종에 대하여 네 지수 모두 최근 10년간 생태학적 가뭄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매트릭스 분석 결과 세 어종 모두 공통적으로 EI, ECFI, SEI, 갈수량 기준 환경생태유량지수와 SPI 3,6,9와의 가뭄 평가 등급에서 습윤-정상 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생태학적 측면을 고려한 황강 유역의 복합적인 가뭄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해군 초음속 대공 표적기 획득을 위한 소요기획단계 비용분석 연구

        김윤석(Yoonseok Kim),김기태(Kitae Kim) 한국해군과학기술학회 2022 Journal of the KNST Vol.5 No.2

        In order to win the war, the military builds forces through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In the initial stage of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the requirements planning stage is determined requirements through scientific analysis such as cost analysis and effectiveness analysis. This study performs cost analysis of the navys supersonic anti-air target and selects a reasonable acquisition plan. Based on the naval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 the cost was estimated using expert estimation for R&D and production companys estimation for oversea purchase. After calculating the requirements in considering of the missile firing plan, the cost of each acquisition plan was calculated. Finally, the optimal acquisition plan and target cost of the navys supersonic anti-air target were established.

      • KCI등재SCOPUS
      • 지난 30년간 소양호의 시공간적 수질 변화 양상

        김윤석 ( Yoonseok Kim ),홍은미 ( Eunmi Hong ),염호정 ( Ho-jeong Yeom ),김의석 ( Uiseok Kim ),노연정 ( Yeonjung Noh ),정기은 ( Kieun Jeo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우리나라의 강수량은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으며 하천경사가 급한 우리나라의 지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홍수가 일시에 유출된다. 또한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1인당 수자원 부존량은 매우 적기 때문에 수자원의 이용면에서 불리한 자연조건을 갖고 있어 인공호의 형태로 수자원을 확보하고 있다. 그중 북한강 최대 지류인 소양강 줄기에 조성된 국내에서 두 번째로 큰 인공호인 소양호는 산업활동과 한강 하류 수도권의 핵심 수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1973년 소양강댐이 만들어지면서 생긴 소양호는 매우 물이 맑은 호수로 알려져 있었으나, 가두리양식장의 증설에 의해 1986년부터 남조류가 출현하는 부영양화 현상이 나타났다. 이후 1999년 가두리 양식장 철거 후 수질이 개선되었으나 유역의 농업활동 변화로 인하여 영양염류와 탁수의 유입이 점차 증가하였다. 또한, 한강 하류에 위치한 수도권 지역의 핵심 수자원으로 이용되는 만큼 지속적인 수질검사 및 분석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양호 30년간의 모니터링 자료를 통해 장기간의 수질 변화특성을 파악하고 소양호 내 수질 인자의 시공간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1992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월 2회 0m부터 90m까지 총 14개의 수질항목(수온, pH, EC, Turbidity, DO, BOD, COD, SS, VSS, T-N, T-P, Chl-a, DOC, TOC)을 분석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공간적 특성 파악을 위해 수심별로 표층(0, 2, 5, 10m), 중층(20-50m), 심층(60-90m)의 세 구간으로 나누었으며, 데이터 분석을 위해 시계열 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EC의 경우 장기간에 걸쳐 표층, 중층, 심층에서 증가한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상관분석 결과 Turbidity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기간 소양호의 시공간적 특성 변화를 파악하고 나아가 향후 호수 수질 관리의 기초연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동시 발생한 갑상선 유두암과 수질암

        최재영(Jaeyoung Choi),김윤석(Yoonseok Kim),김정훈(Jeong-hoon Kim) 대한외과학회 2007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73 No.3

        We report here on a rare case of concurrent papillary thyroid carcinoma and medullary thyroid carcinoma on each of the lobes of the thyroid gland. A 43-year-old female presented with a one-week history of throat discomfort. A neck ultrasonogram (US) was done, along with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FNAB) of the left thyroid nodule, and the results showed papillary cancer. This patient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and central compartment neck dissection. The pathologic diagnosis of the nodule at the left lobe of the thyroid was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TC) and the right thyroid nodule was medullary thyroid carcinoma (MTC).

      • Liquid crystal modulator를 이용한 엑스선 검출기에 관한 연구

        허승욱(Seunguk Heo),조성호(Sungho Cho),김윤석(Yoonseok Kim),김영빈(Youngbin Kim),남상희(Sanghee Nam),박지군(Jigoon Park) 한국방사선학회 2009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3 No.1

        디지털 방사선 검출기의 주된 연구동향은 영상의 해상도 향상, 대면적화, 동영상 구현 등… 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연구는 방사선 변환과정에 따라 크게 직접변환 방식과 간접 변환 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 고유한 장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간접변환 방식의 경우 형광체의 사용으로 인한 Light scattering 문제로 해상력의 저하 그리고 직접방식의 경우는 낮은 system 안정성과 동영상 구현의 어려움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로써 액정을 이용한 엑스선 검출기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그 구조의 특성상 균일한 액정의 주입이 어려워 제작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Simulation 통해 제안된 구조의 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The trend of Digital x-ray Detector research is to improve resolution of image and to embody large area imaging as well as dynamic moving imaging, etc. This research is divided with indirect conversion method and direct conversion method by radiation conversion process. Each conversion method has problems such as decrease of resolution from light scattering in indirect method case and not only low system stability but also difficult in dynamic moving imaging in direct method case. X-ray detector using liquid crystal has been researching to solve these problems, but it is difficulty in uniform injection of liquid crystal because of its structural propert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structure which solves present problem. Also the possibility of suggested structure was investigated using sim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