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가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

        김운이 ( Kim Un-i ),최상배 ( Choi Sangba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2 No.1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가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3명의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를 선정하여 5개월간 총 24회기의 몸짓상징 중재를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는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의 요구하기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유아 A는 중재 이후 요구하기 빈도가 높아졌으며, 유지 단계에서도 회기별 차이는 있었지만 어느 정도 유지되었다. 유아 B는 중재 초기에는 요구하기 빈도가 증가하였으나 중재 후기와 유지 단계에서는 정체되었다. 유아 C는 요구하기 빈도가 증가되는 회기도 있었으나 중재 후기와 유지 단계에서 정체되었다. 둘째, 강화된 환경중심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는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의 반응하기 기능 향상에 제한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대상 유아 간 차이가 컸다. 유아 A와 B의 경우에는 반응하기는 낮은 빈도를 보였으나, 대상 유아 C의 경우에는 반응하기 빈도가 상당히 증가하였다. 결론: 강화된 환경중심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가 대상 유아의 요구하기에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대상 유아의 반응하기에는 제한적인 효과를 나타났으며, 대상 유아 간 효과 개인차가 크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를 위한 몸짓상징 중재를 적용할 때는 각 유아의 개인적인 특성과 차이, 중재에 대한 반응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on communicative function of nonverbal infants with ASD(autism spectrum disorder). Method: Three non-verbal infants with ASD were selected and evaluated by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for a total of 24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s for 5 months. Results: First,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demand of infants with ASD. Infant A became more demanding after the intervention, and maintained somewhat to some extent, even in the maintenance phase. Infant B increased in frequency of demanding early in the intervention but stagnated in the late and maintenance phases. Infant C had sessions with increased frequency of demand, but stagnated during the lat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Second,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had a limited effect on improving the responding of infants with ASD,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infants were large. Infants A and B showed a low frequency of responding, but in the case of Infant C, the frequency of responding was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general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ing but had a limited effect on the responding of the target infants,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effects among the target infants were large. The findings suggest that various factors, such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each infant, and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when applying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for infants with ASD.

      • KCI등재후보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특수학교 유치부 청각장애 유아의 과제이탈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서옥(Lee Seo-Ok),송주영(Song Joo-Young),김운이(Kim Un-I),김보배(Kim Bo-Bae),백은희(Paik Eun-Hee) 한국행동분석학회 2018 행동분석․지원연구 Vol.5 No.2

        이 연구에서는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청각장애 유아의 과제이탈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명의 청각장애 유아를 선정하였으며, 미술 활동, 주제 활동, 방과후 활동 총 세 개의 교실 상황을 관찰하는 상황간 중다 기초선 설계(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능적 행동평가를 통해 유아의 활동지 훼손하기, 물건 던지기, 입에 물건 넣기를 과제이탈 행동으로 정의하고,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하였을 때 과제이탈 행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청각장애 유아에게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과제이탈 행동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재 종료 후에도 과제이탈 행동이 감소하는 효과가 유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중재효과와 후속 연구에 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off-task behavior of a kindergarten child with hearing impairment. The participant was a kindergaten child with hearing impairment in a special school. The study utilize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 art activities, theme activities, and after-school activities. Through the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the problem behavior was identified as off-task behavior: damaging work sheets, throwing things away, and putting things into the mouth. The findings from the study indicated that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helpful reducing off-task behaviors of a kindergarten child with hearing impairment during both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 The implication included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behavior support and the guideline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