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시대별 K-POP 동향 분석: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김욱동(Kim Ouk-Dong),김현진(Kim Hyun-Jin),김초희(Kim Cho-Hee) 한국실용무용학회 2023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1 No.2

        In this paper, big data analysis has been conducted using text mining, focusing on domestic K-pop-related news press releases for the past 33 years. Research questions were set on the trends of K-pop by era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nd the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results. For data analysis, 129,062 K-pop-related press releases from January 1, 1990 to December 31, 2022 were collected using the BigKinds data analysis platform, and data preprocessing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ext mining modules that can be used in the Python environmen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in keywords of the first K-pop period were "love," "America," "Japan," "culture," and "rock." The main keywords of the second K-pop group were "Japan," "Love," "America," "Promotion," and "Movie." The main keywords of the third K-pop generation were "idol," "BTS," "entertainment," "Today," and "love." The main keywords of the 4th K-pop group were 'idol', 'trot', 'BTS', 'corona', and 'entertainment'. After that, the final discussion points were derived by comparing the researcher's interpretation with various references through discussions between researchers focusing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quantitative academic data in the field of K-pop. 본 논문에서는 지난 33년간 국내 케이팝(K-POP) 관련 뉴스 보도자료를 중심으로 텍스트마이닝 분석방법을 활용, 빅데이터 분석을 진행하였다. 4개로 구분된 시대별 케이팝의 동향, 그리고 그 분석결과가 가지는 시사점에 대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빅카인즈(BigKinds) 데이터분석 플랫폼을 이용하여 1990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의 케이팝 관련 보도자료 129,062건을 수집하였고, 파이썬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텍스트마이닝 모듈을 통해 데이터 전처리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케이팝 1기의 주요 키워드로는 ‘사랑’, ‘미국’, ‘일본’, ‘문화’, ‘록’ 등으로 나타났다. 케이팝 2기의 주요 키워드로는 ‘일본’, ‘사랑’, ‘미국’, ‘홍보’, ‘영화’ 등으로 나타났다. 케이팝 3기의 주요 키워드로는 ‘아이돌’, ‘방탄소년단’, ‘예능’, ‘투데이’, ‘사랑’ 등으로 나타났다. 케이팝 4기의 주요 키워드로는 ‘아이돌’, ‘트로트’, ‘방탄소년단’, ‘코로나’, ‘예능’ 등으로 나타났다. 이후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자 간 논의를 거쳐 연구자의 해석을 다양한 참고문헌들과 대조하며 최종 논의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케이팝 분야의 정량적 학술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있어 의의를 가진다.

      • 하우스댄스의 국내 유입 및 발전 연구

        김욱동(Kim Ouk-Dong),김수진,김상준,김이재 한국실용무용학회 2023 한국실용무용학회지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all process of the inflow and development of house dance in Korea and to present ways to develop house dance culture in the future. To this end, Giorgi's analysis method and phenomenology approach were used.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unstructured interviews were mixed for three people who have been active for a long time in Korean house dance culture along wit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survey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irect inflow of domestic house dance was directly transferred by Japanese house dance dancers in the late 1990s and American house dance dancers in the early 2000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direct inflow of domestic house dance was due to the spread of videos of Japanese house dance events in the late 1990s in the form of videotapes. Third, the development of domestic house dance appears to 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e integration into institutional education, the influx of house dance non-specialists,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the use of online media.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phenomena such as cultural propagation and prosumer occurred. This study can objectively shed light on the inflow and development process of domestic house dance and be used as developmental data to secure its cultural self-sustaining power. 본 연구는 국내 하우스댄스의 유입과 발전에 대해 그 과정 전반을 밝혀 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하우스댄스 문화의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Giorgi의 분석방법과 현상학적 접근법을 활용하였고,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와 함께 국내 하우스댄스 문화권에서 오랜 기간 활동한 3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면담와 비구조화면담를 혼합하여 진행하였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하우스댄스의 직접적 유입은 1990년대 후반 일본 하우스댄스 댄서의 방한과 2000년대 초 미국 하우스댄스 댄서들의 방한으로 춤과 문화가 직접적으로 전수됨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하우스댄스의 간접적 유입은 1990년대 후반 일본 하우스댄스 행사 영상이 비디오테이프의 형태로 전파됨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하우스댄스의 발전은 제도권 교육으로의 편입, 하우스댄스 비전공자의 유입, 인터넷의 발달과 온라인 매체의 활용이 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과정 속에서 문화전파, 프로슈머 등의 현상이 발생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국내 하우스댄스의 유입과 발전과정을 객관적으로 조명하고, 문화의 자생력 확보를 위한 선진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