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 일가치감과의 관계

        김요섭(Yo-Seb Kim),오지원(Ji-Won Oh) 한국보건복지학회 2023 보건과 복지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기관 조직문화가 사회복지사의 일가치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2019년 전라북도 지역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노인복지관 45개 시설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에 사용한 모든 변수에 유효한 응답을 한 287명을 분석하였다. 최종분석모형에서 투입된 변수 중 집단적 조직문화, 개발적 조직문화, 주관적 경제 상태가 일가치감에 영향을 미쳤다. 사회복지사의 일가치감은 조직문화가 관계 중심적이고, 가족적인 분위기를 중시하는 집단적 문화일수록, 외부환경에 대한 창의적 대응과 조직발전이 강조되는 개발적 문화일수록 높아지고, 주관적 경제 상태가 좋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라북도 내 사회복지기관에 한정된 한계가 있으나, 사회복지사의 주요한 요소인 일가치감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culture on social workers perceived value of work, targeting social workers at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senior welfare centers. In 2019, 287 people who gave valid responses to all variables used in the analysis were analyzed using survey data targeting social workers at 45 facilities, including local social welfare centers,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in Jeollabuk-do. Among the variables input in the final analysis model, collective organizational culture, developmental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affected the sense of work value. It has been verified that social workers perceived value of work increases as the organizational culture is relationship-centered and a collective culture that values familial atmosphere, and a developmental culture that emphasizes creative responses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the better the subjective economic status is, the better.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social welfare institutions in Jeollabuk-do, it suggests a plan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o improve the perceived value of work, which is a major element of social workers.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조직지원인식, 잡 크래프팅, 조직몰입의 관계

        김요섭(Yo-Seb Kim),조한라(Han-Ra Cho),김도우(Do-Woo Kim) 한국보건복지학회 2021 보건과 복지 Vol.23 No.1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조직지원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잡 크래프팅이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응답자료 130부를 활용하여 Baron과 Kenny (1986)가 제안한 방법에 따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조직지원인식이 높을수록 잡크래프팅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조직지원인식이 높을수록 조직몰입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잡 크래프팅이 높을수록 조직몰입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잡 크래프팅은 조직지원 인식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생활복지사의 잡 크래프팅과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개입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ether job crafting mediates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of front-line welfare workers in community child cent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according to method proposed by Baron & Kenny(1986) by using 130 copies of response data from front-line welfare workers at the community child center.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of community child center front-line welfare workers, the higher the job crafting.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of community child center front-line welfare workers,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job crafting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front-line welfare workers,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job-creating of community child center front-line welfare worker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these results, a suggestion was made for a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 plan to increase job crafting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ommunity child center front-line welfare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