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밀레니얼 세대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주거 공간 색채 선호도 조사 연구

        김예원 ( Kim Yea Wom ),정현선 ( Chung Hyun S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6

        색채는 빛이고 파장이며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사람의 심리 현상을 일으키는 자극원으로 인체에 활력을 불러일으키고 정서적인 안정에 도움을 준다. 현대 사회는 개개인의 행복과 높은 삶의 질과 같은 질적 성장을 중시하는 사회로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되며 ‘개개인의 행복’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인간의 행복을 이끄는 다양한 심리적 요인들 중 자아 존중감은 환경 적응에 있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심리 특성으로 여겨지며, 인간의 심리와 정신적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데, 무엇보다 정서와 행동, 인지과정이 한 개인에 밀접한 관계를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구조와 경제위기로 인해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20-30대 밀레니얼 세대의 1인 가구의 행복한 주거 생활 영위를 위해 이들의 자아존중감 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색채 선호 및 주거 공간 색채 선호도 조사를 통해 효과적인 감성 색채 전략 체계 및 이론적 요인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응답자에서는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될 주거 공간에 대한 색채로 White와 중명도 중채도의 Y, G, B 등의 색상을 선호했고, 자아존중감이 보통인 응답자는 중명도 중채도의 Y, G, B의 1차색 이외에도 RP, PB, YR 등 2차색에 대한 선호가 동일하게 두드러졌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높은 응답자 보다 공간의 각 요소별 무채색에 대한 선호가 훨씬 높았다. 자아 존중감이 낮은 응답자는 일반적으로 주거 공간에 적용되는 색채에서 벗어난 원색 계열이 선택되어 자아존중감 정도에 따라 색채선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밀레니얼 세대를 겨냥한 주거 공간을 활용한 마케팅 인프라를 구축하고 정보의 활성화를 통해 색채 적용이 가능해지고, 자존감의 정도와 주거 공간 색채와의 연계성을 찾아 청년 1인가구의 문제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도구로 감성 색채를 활용하고자 기대한다. Colors are light, a wavelength and also have energy. It is also a stimulant source that invokes a person's psychological phenomenon, invigorating the body and helping to maintain emotional stability. In modern society, a mega-trend is mainly focused on increased quality of life in terms of individual happiness and standard of living, and ‘individual happiness’ in particular is getting more and more attention. Among the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that lead to human happiness, self-esteem is considered a trait that can bring positive effect in the adapting to the environment. Additionally, it is directly connected with not only human psychology but mental health and furthermore, deeply involved in emotions, activities and the cognitive process. From i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self-esteem of one-person-households among the Millennials, paying attention to the happiness in their residence under such a rapidly changing social structure and uncertain economy. In addition, the paper conducts a study of color preference and residential space color preference to build an effective emotional color strategy and establish a theoretical ground, based on self-estee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respondents of high self-esteem are attracted to the color white and colors of middle-brightness and middle-chroma Y, G, B for their residence, while those of average self-esteem show an inclination towards primary colors of middle-brightness and middle-chroma of Y, G, B as well as secondary colors of RP, PB and YR. Also, when compared to high self-esteem persons, they tend to highly prefer achromatic colors in their residential space. The respondents of low self-esteem show their preference for primary colors, which are not generally used when it comes to residence, which indicates that the degree of self-esteem results in meaningful differences as to color preference. With theser esults, we hope additional research would be conducted to set up a marketing infrastructure for the Millennials and also produce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color applications and create efficient color value.

      • KCI등재

        색채태교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태교 동향 파악 및 인식 조사에 관한 연구-

        김예원 ( Kim Yea Wom ),정현선 ( Chung Hyun S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3

        임산부는 임신과 동시에 기쁨과 함께 급격한 신체적 변화와 심리적 불안감을 느끼게 된다. 불안이 축적되면 태아의 건강과 신체적, 정신적 발달은 물론 모-야간의 상호작용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태교는 매우 중요하며 이는 출산 후, 아이가 겪게 되는 정서 발달, 사회적 관계 유지 등 많은 부분에서 장기적으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불안한 감정을 자유롭게 표출하여 정서적, 심리적 안정을 얻으며, 감성색채를 활용한 전문적인 색채태교는 임산부의 스트레스, 심리적, 정서적 불안감을 더욱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예측된다. 본 연구는 색채태교 개발을 위해 임산부의 태교 동향과 인식 조사를 위한 선행연구로, 설문 조사에서는 현대 사회 임산부들의 생각과 동향을 살펴보고,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임산부를 위한 전문적인 색채태교 개발을 위해 세부적인 분석을 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산부 대부분이 임신 중기에 태교를 실천했고, 태교를 실천한 이는 임산부가 80%로 높았으며 대부분 색채태교에 대한 관심이 높거나 색채태교를 진행한 경험이 있었다. 이는 색채태교가 태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는데 색채태교의 목적에서 아이의 안정, 밝고 온순한 성격, 감각 발달에 높은 기대효과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색채태교를 미술 활동의 한 부분이 아닌 언어적 표현이 가능한 개별적 도구로써 향후 임산부를 위한 전문적인 색채태교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효과적으로 임산부의 불안 완화를 돕고 태아를 탐색할 수 있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Pregnant women go through changes in complex feelings like joy, tension, worry, anxiety, and anger, which has huge effects on the health and physical/psychological development of fetus, and also interactions between mother and fetus. Therefore, parents` practice of prenatal education for the enhancement of fetus attachment is very important, and this has a long-term effects on many parts like child`s emotional development and social relation after the childbirth. This is a preceding research for prenatal education color program based on the survey of trend/perception of prenatal education of pregnant couples. Most of the couples practiced prenatal education in the middle of pregnancy while the 80% of the performer of prenatal education was pregnant women. Also, most of the couples showed high interest in prenatal education or had experience in it. It means that they had a perception that prenatal education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fetus, which was led to the high expected effect on child`s stability, bright & gentle personality, and sensory development for the purpose of prenatal education. If professional prenatal educational color program for pregnant women is developed based on such results, more stable emotional/psychological condition of pregnant women c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color. Therefore, the significant prenatal education color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the formation of close relation between mother and fetus through the mediation of color for fetus` sensory development, brain development, and interactions.

      • KCI등재

        고령화에 따른 노인의 색지각 변화 특성

        정현선 ( Hyun Sun Chung ),김예원 ( Yea Wom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사회전반의 연령대가 높아지면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현 사회는 2050 년에 이르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게 된다. 때문에 노인에 대한 배려와 편의, 안전, 교육 등에 대한 고려가 중요시 될 것이라 예측된다. 고령화로 인한 노인의 시지각변화는 노인을 위한 전문 색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라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65 세이상 노인의 색지각 능력과 파장이 다른 색간의 분별력이 일반 사람들에 비해 떨어지는 것을 감안하여 노인이 유사한 색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을 위한 전문적인 색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세부적인 분석을 하고자 했다. (구)산업자원부에서 산업표준화 작업으로 개발한 플라스틱 700 색 컬러칩을 통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들이색상을 인지하는데 있어서 색상의 차이가 비교적 큰 영역은 먼셀 기본 10 색상 중에서 단파장계열색인 청록(BG), 파랑(B), 남색(PB) 색상을 구별하기 힘들었다. 이는 노인들이 노화가 진행되면서 시지각의 변화로 일어나는 황반현상으로, 수정체의 황색화로 단파장을 지각하기 어렵다는 이론적 사실과도 일치하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노인의 시각을 고려한 전문 색채 프로그램 개선방향의 제안은 다음과 같다. 색지각을 높이기 위한 장파장, 중파장 색채의 사용이 요구된다. 기본 색상 중 단파장인 색상 청록(BG), 파랑(B), 남색(PB)의 명도값은 저명도를 제외한 중명도 이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채도값은 저채도를 제외한 색값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노인이 바라보는 색의 범위와 인지 불가능한 색군을 구분함으로써 객관적이고 기능적인 색 범위를 선정하여 개발되어지면 색을 활용한 노인 전문 색채 프로그램에 효과적인 방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increasing population of elderly groups led to the aging society and as a consequence, the society is now predicted to become a super-aged society by 2050. That is why this study assumes that considering matters from looking after the elderly to improving convenience for the aged. As far as the study understands, the aged people`s visual and perceptual changes will mak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special development of colors targeting the elderly. With the knowledge on how people aged over 65 find it more difficult to perceive colors and to distinguish a color from another of a different wavelength than the normal crowd, the study first aimed to look into how the elderly recognize similar colors and then, made an in-depth analysis in order to design a professional color program. Findings of the investigation on plastic color chips in 700 colors that the former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ad revealed that BG, B and PB which are included in a category of short-wavelengths are observed as these ranges of relative impressive color differences in how the aged would perceive colors. What the study had noticed was regarded as the yellow spot symptom and, the study found out that its result agrees to a theoretical fact that argues how the yellowed eyesight makes it hard for the aged to recognize the short-wavelengths. Now, the study suggests that when any relevant fields try to design special color programs targeting the elderly, they should limit brightness values of BG, B and PB to be intermediate and higher with low brightness values excluded and when it comes to chroma values, the development should focus on these color values that do not have low chroma values.

      • KCI등재

        밀레니얼 세대를 위한 감성이미지 의미전달매체 연구 - 색과 형태를 중심으로 -

        정현선 ( Chung Hyun Sun ),김예원 ( Kim Yea Wo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4

        2020년 밀레니얼 세대는 전 세계 인구의 4분의 1 수준에 달하고 이들은 앞으로의 10년을 이끌 소비중심에 나서게 된다. 요즘 사회는 개인의 감성과 창의적인 사고를 중시하는 사회적 인식의 확산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화와 개성화를 요구하며 마케팅 전략에도 색채 디자인의 감성 이미지 중요도가 높아지며 색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 색채 디자인 경우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분야인 만큼 형태와 색은 분리될 수 없는 복합적인 소통 요소라는 점에서 정신적, 이성적 반응은 물론 감성이미지 반응 결과를 내포한 복합적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개개인의 감성 이미지 조사를 위해 색과 형태에서 나타나는 감성 이미지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밀레니얼 세대로 디자인 전공자와 비전공자로 구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방법은 기본 도형과 색 이미지의 의미 전달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요하네스 이텐과 파버 비렌의 ‘색과 형 연구’와 페히너와 베버의 ‘형태와 감성 연구’를 참고하여 밀레니얼 세대가 형태의 기본 요소인 도형별로 어떤 색을 떠올리고 어떤 형용사를 연상시키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전공자와 비전공자 그룹으로 나누어 설문조사한 결과, 정사각형은 ‘전공자-Bk 색상‘, ’비전공자-B 색상‘, 직사각형은 ‘전공자/비전공자-B색상‘, 마름모는 ‘전공자 -G/lt(초록에 밝은톤) ’, ‘비전공자-P 색상’, 육각형은 ‘전공자/비전공자-B 색상’, 삼각형은 ‘전공자/비전공자-R 색상‘, 오각형은 ‘전공자-RP 색상’, ‘비전공자-Y 색상’, 원은 ‘전공자-Wh 색상’, ‘비전공자-R 색상‘, 사다리꼴은 ‘전공자-BG 색상’, ‘비전공자-Br 색상’의 연상 색상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와 비교했을 때, 사회 문화적 환경 변화에 따른 색채 연상 이미지 변화라 볼 수 있으며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연상 색채의 차이는 주관적인 판단 기준과 해석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유의무이하다 할 순 없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다양한 색과 형태에 대한 감성 이미지 연구가 실질적으로 대상이 되는 사용자를 겨냥한 감성 디자인 수립을 위한 색채 마케팅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In 2020, the millennial generation will reach a quarter of the world's population and they will be at the forefront of consumption that will lead the next decade. Today’s society requires special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in various fields, and many changes have taken place in the marketing strategy of emotional design. And also the exploration on colors has become essentia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lor designs, the forms and colors that have the purpose of mutual communication are complex communication elements that cannot be separated, and therefore can be used as a meaning that implies emotional response as well as mental and rational respons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s and colors for the sensibility of the color image that enhance the dignity of each individual’s emotion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focusing on the Milennials, and they were put into two groups as design major students and non design major students. The survey can show the meaning of each type of emotions and colors and understand what colors the Millennials think of and what adjectives they think of by shape based on Johannes Itten and Faber Birren's ‘A Study on Color and Form’ and Fechner and Weber’s ‘A Study on Form and Emotion’. As the results, it was able to extract associative colors that the square is ‘Black in Major group’ and ‘Blue in Non major group’, the rectangle is ‘Blue in both groups’, the diamond is ‘Light Green in Major group’ and ‘Purple in Non major group’, the hexagon is ’Blue in both groups’, the triangle is ‘Red in both groups’, the pentagon is ‘Red Purple in Major group’ and ‘Yellow in Non major group’, the circle is ‘White in Major group’ and ‘Red in Non major group’, and the trapezoid is ‘Blue Green in Major group’ and ‘Brown in Non major group’. These results cannot be said to be significant or insignificant because subjective judgment criteria and interpretation of two groups would be possible as the research was based on mental, rational, and emotional factors of colors and forms. However, it is expected that it can provide a direction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color marketing strategies in the long term design tre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