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통합 논술에 대한 대학 논술 교육 인증제의 대응 방향 제언

        김영걸(Kim, Young Geol)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8 철학과 문화 Vol.16 No.-

        This study aims at making some suggestions for supplements and revisions of writing education certificate system , which some of philosophy departments in Korean universities offer. First, we have to reinforce NIE(Newspaper in Education). Second, we have to reinforce discussion of various topics in classroom. Third, we have to focus on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Fourth, thesis must be on writing rather than philosophy. Because it was implemented only a few years ago, writing education certificate system may be improved in several points. Therefore, we will make writing education certificate system in college a reliable and stable system through continuous efforts and improvement in order to achieve a set purpose. 1996년 대학입시에서 논술이 채택된 이후 지금까지 논술 고사의 형태는 여러 가지 모습으로 변하여 왔다. 그리고 2008년도에는 마침내 모든 교과를 아우르는 교과간 연계에 의한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를 요하는 통합교과형 논술이라는 학교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발된 형태를 채택하게 되었다. 교육 정권과 교육 정책의 변화와 함께 수시로 변하는 논술 시험에 그동안 교육 당사자인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혼란스럽기만 했는데, 2006년 각 대학 철학과에서 논술교육인증제를 도입하여 글쓰기의 원칙을 지키고 원리를 꿰뚫는 논술 교육 지도자 양성•배출을 주도함으로써 일선 교육 현장에서의 위와 같은 혼란을 줄이는데 일조(一助)하고자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논술교육인증제가 새로운 통합교과형 논술에 관하여 다양한 교육 내용들을 담아내지 못하는 것 같다. 이에, 이 글은 논술교육인증제가 처음 도입되고 시행된 의도에 좀더 다가가고 퇴색되지 않도록 제도의 내용적 보완의 필요성과 방법들을 제시한 것으로, 첫째는 NIE(Newspaper In Education) 활용 교육법 강화, 둘째는 토론 수업 강화, 셋째는 논리 및 비판적 사고 교육 강화, 넷째는 졸업논문은 논술과 관련하여서이다. 논술교육인증제도의 짧은 시행 기간으로 아직 미흡한 점이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안정되고 공신력 있는 제도로 평가받고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 다양한 의견 수렴을 거쳐 꾸준한 개선을 통해 논술교육인증제도의 본래 취지에 맞도록 항상 새롭게 거듭나야 할 것이다.

      • 레비나스 : 무한의 관념과 가르침의 의미

        김영걸 ( Kim Young-geol ) 단국대학교 철학연구소 2022 哲學論考(철학논고) Vol.5 No.-

        레비나스는 데카르트의 무한 개념을 참조하면서, 자아가 가르침을 통해 스승의 타율적 힘에 의한 자기 상실에 빠지지 않고 어떻게 새로운 것을 배우는지를 보여주려 한다. 레비나스에게 이 무한 관념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생각하는” 사유를 불러일으킨다. 무한의 관념은 초월하는 혹은 가르치는 사유의 운동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레비나스의 데카르트 독해를 참조하면서 무한 관념과 가르침의 산출의 긴밀한 관계를 명확히 밝히고자 할 것이다. 그리고 무한 관념과 가르침의 산출의 긴밀한 관계를 사유의 자기 초월적 구조와 이론의 본질로서 비판 그리고 창조를 통해 보여주고자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무한, 가르침, 무한의 가르침이 타자와의 관계, 얼굴과의 만남으로서만 가능함을 제시할 것이다. Referring to the concept of infinity Cartesian, he strives to show how the self learns new thing through teaching, without falling into the alienation of the oneself by the heteronomous force of the master. The idea of infinity in Levinas arouses a thought that thinks more than it thinks. The idea of infinity is a movement of thought which transcends itself, or which teaches. Thus this article will clarify, through the self-transcendent structure of thought, the critique as the essence of theory and the creatio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on of the idea of infinity and teaching. And ultimately, I will suggest that infinity, teaching, and teaching of infinity are possible only through the relationships with the other and encounters with faces.

      • KCI등재

        하이데거 존재 이해에 대한 레비나스의 재검토

        김영걸 ( Kim Young-geol )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4

        이 논문은 하이데거의 존재 이해 개념과 거리를 두려는 레비나스의 비판을 제시하려 한다. 레비나스의 하이데거 비판은 특히 전쟁(2차 세계대전) 이후 그의 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레비나스의 비판은 하이데거가 중시했던 것, 즉 철학과 실존 사이의 연속성을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타인의 윤리적 의미화가 이 비판의 결과로서 이어진다. 레비나스는 하이데거의 존재론의 우위에 대한 비판을 거치면서 하이데거와 결별하기에 이른다. 이것은 레비나스가 하이데거 철학에 대한 비판적 간극을 세우려 했던 “존재론은 기초적인 것인가?”라는 논문을 참조함으로써 알 수 있다. 또한, 1950년 2월 장 발(Jean Whal)이 주최하는 철학 학교에서 “먹거리들”과 “가르침들”을 주제로 레비나스가 강연을 하게 되는데, 여기서 우리는 앎의 발생 가능성과 관련한 레비나스의 철학적 입장을 엿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이데거 독해를 통해 형성된 레비나스의 고유한 입장도 살펴볼 수 있다. 이것은 레비나스가 삶과 실존, 철학과 실존의 분리로부터 타인을 위한 윤리로 나아가는 이행의 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실마리가 될 것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present Levinas' criticism of distancing himself from Heidegger's concept of understanding of being. Levinas' criticism is particularly noticeable in his post-war writings. Levinas' criticism of Heidegger targets what he valued, that is, the continuity between philosophy and existence. And the ethical meaning of others leads to the result of this criticism. Levinas breaks up with Heidegger through criticism of Heidegger's ontological advantage. This can be seen by Levinas referring to a paper called Is ontology fundamental? to establish a critical gap in Heidegger's philosophy. In addition, Levinas gave a lecture on Foods and Teaching at the philosophical College hosted by Jean Whal in February 1950, where you can see Levinas' philosophical position on the possibility of knowing. Through this, we can examine Levinas' unique position formed through Heidegger's reading comprehension. In other words, this is life and existence. With the separation of philosophy and existence, this will b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Levinas to explain ethics for others.

      • KCI등재

        레비나스 대면 윤리의 동물 적용 가능성 고찰

        김영걸(Young Geol KIM) 한국현상학회 202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90 No.-

        동물도 얼굴을 가지는가? 만일 동물도 레비나스가 말하는 얼굴을 갖는다면, ‘나’는 동물에게도 무한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동물이 얼굴을 갖지 않더라도, 오늘날 동물은 지성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고통을 느끼는 생명체로 인간과 같은 배려를 받을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는 종차별 비판 의견 우세에 의해 다루어진다. 레비나스는 고통이 자기 안의 붕괴 자체로 무익하다고 본다. 따라서, 이 의미 없는 원초적인 고통을 동물에게 가하는 것은 부당할 것이다. 하지만 레비나스는 동물을 윤리적 행위의 대상으로 포함시켜야 한다고는 명확히 주장하지 않는다. 그의 텍스트에서 동물이 타자로 여겨져 나의 책임을 무한히 펼쳐야 하는 대상이라는 언급은 없다. 그렇더라도, 우리는 그가 윤리와 동물에 관해 얘기한 한 대담에서 모든 생명체가 우리의 윤리적 관심의 대상일 수 있음을 언급한 대목을 통해 그의 윤리가 동물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숨겨진 의도를 가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레비나스의 ‘타인에 대한 휴머니즘’이 인간 중심주의적 입장을 견지하는 듯 보이지만 고통을 호소하는 동물에게서 우리가 ‘나’의 존재-가짐을 의문에 부친다면 우리는 레비나스의 텍스트 속 활자를 너머 그의 윤리의 정신을 충실히 따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Does the animal have a face? If the animal has the face that Levinas talk about, ‘I’ would be infinitely responsible the animal. But, even if the animal does not have a face, these days, an unfavorable opinion of the ‘speciesism’- the animal that has no intelligence also has the right to consideration as the human being who feels suffering – predominates. Levinas says that suffering is useless like destruction in itself. So it would be unfair to inflict this original suffering of non-sense on the animal. But, Levinas does not clearly state that the animal must be included in the object of the ethical act. In his text, there is no mention of the animal as the object of my infinite responsibility. Nevertheless, in the interview que Levinas talk about the ethics and the animal, he said that all living things can be the object of our ethical concern. Here we can find the hidden intention of the application of his ethics to the animal. Even though the humanism of Levinas’ other man considered anthropocentrism, if we put my right to govern myself in question by the animal that complain of a pain, This is what we faithfully follow Levinas’ ethical spirit beyond character in the text.

      • 『이방인』속 한 아랍인 존재의 소멸 복권 -『뫼르소, 살인사건』과 레비나스를 통해 -

        김영걸 ( Kim Young Geol ) 콘텐츠문화학회 2023 콘텐츠문화연구 Vol.5 No.-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은 뫼르소를 통해 ‘죽음’이라는 인간의 한계상황을 통해 실존적 의미를 찾고자 한다. 그런데, 『이방인』 속 또 다른 죽음, 이름 없이 죽은 한 아랍 인의 이야기에 대한 인위적인 누락을 지적한 자가 있다. 그는 살해자, 살해자의 신상, 살해자의 재판은 있지만 죽음의 직접적 서술 가운데에 있는 한 아랍인의 피살 사건은 사라 졌다며 재-조사를 요구한다. 요구자는 한 아랍인의 동생 ‘하룬’이다. 동생은 『뫼르소, 살인사건』을 통해 형의 이름인 ‘무싸’를 되돌려주려 이야기를 시작한다. 하룬이 이야기를 하는 목적이 성공적이었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뫼르소가 한 아랍인을 그저 이름 없이, 얼굴 없이 죽이지 않았을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생각은 지울 수 없다. 바로 그가 레비나스 철학을 경유했다면 말이다. 뫼르소가 레비나스 철학을 충실히 따랐다면, 즉타자의 얼굴의 극심한 연약함 속에 요청하는 도움의 외침을 들었다면 뫼르소는 그를 죽이지 못했을 것이다. 오히려 이 세계 안의 유일자 對 유일자로서 무싸를 책임지려 했을 것이다. Albert Camus's The Stranger attempts to find existential meaning through the human marginal situation of death through Meurssault. By the way, here is someone who pointed out the artificial omission of the story of an Arab who died without a name. Saying that there are trials of murderers, the identities of murderer, he calls for a re-investigation because the murder of an Arab in the middle of a direct description of death has disappeared. The demander is Harun, the younger brother of an Arab. The younger brother begins the story to return his older brother's name, Musa. I don't know if the purpose of Harun's story was successful. But I can’t out of mind get the idea that Meursault might not have just killed an Arab without a name or face. That's if he went through Levinas philosophy. If Meursault had faithfully followed the philosophy of Levinas, that is, had he heard the cry of help he asked in the extreme fragility of the face of the batter, Meursault would not have killed him. Rather, he would have tried to take responsibility for the Musa as the unique vs the unique in the world.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Harun's objection to the death and the murder of Meursault in The Stranger and emphasizes that if Meursault had recognized Levinas’s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he would not have let Musa die without any trace of his existence in the world, and felt responsibility as the only person who gave him his face and name.

      • AI의 정치적 활동의 한계

        김영걸(Young-Geol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23 철학과 문화 Vol.49 No.-

        이 글은 미래 시대에 등장할 강한 인공지능이 인간을 대신해 정치 지도자 및 정책 입안자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간략히 검토한다. 인간의 정보 수집·처리 능력보다 월등히 뛰어난 인공지능의 능력과 불편부당한 인공지능의 특징이 정치를 보다 좋은 방향으로 이끌 것이란 기대가 없지 않다. 그러나 효용성을 중시하고 선호하는 결과만을 도출하는 인공지능에게 소외되고 궁핍한 자들에게도 펼칠 정치를 기대할 수 있을까? 나와 타자의 비대칭적 관계 속 무한 책임을 인공지능이 이해할 수 있을까? 다시 말해, 나 자신의 희생을 무릅쓰고 다른 사람의 생명을 살리라고 인공지능이 권할 수 있을까? 소외되고 궁핍한 자들을 위한 정치는 윤리가 흘러 들어가는 곳이어야 한다. 축적된 결과를 통한 AI의 의사 결정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지향할 것이고, 여기엔 소외된 자들의 눈물을 닦아줄 손길은 결코 없다. 부당하고 불리한 대우를 받는 소수자들을 위한 재설정은 용인되기 어렵다. 인공지능에게 인간의 인간성은 결여되어 있다. 이것은 합리적이기보다 감성적인 영역으로 인공지능이 정치를 펼치는 데 가장 중요하고 주목해야 할 측면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취약한 부분이 될 것이다. This article briefly examines whether strong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will appear in the future era, can serve as a political leader and policymaker on behalf of humans. There is an expectation that the a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far superior to human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cessing abi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impartial, will lead politics in a better direction. However, can we expect politics for those who are alienated and needy by AI that values utility and produces only preferred results? Can AI understand the infinite responsibility in the asym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I and the other? In other words, can AI recommend that I save other people's lives at my own expense? Politics for the marginalized and needy should be a place where ethics flow. AI's decision-making through accumulated results will aim for the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and there is never a hand to wipe the tears of the underprivileged. Resetting for unjust and disadvantaged minorities is hard to be accepted. AI lacks human humanity. This is an emotional area rather than rational, and will be the most vulnerable part of AI, even though it is the most important and noteworthy aspect of politics.

      • KCI등재

        가정용 헬스케어 AI 로봇의 개발자용 윤리체크리스트 개발에 대한 연구

        이청호 ( Lee Cheongho ),변순용 ( Byun Sun-yong ),김봉제 ( Kim Bong-je ),김형주 ( Kim Hyeong-ju ),최현철 ( Choi Hyun-cheol ),김영걸 ( Kim Young-geol ),김종욱 ( Kim Jong-wook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21 倫理硏究 Vol.132 No.1

        개인 맞춤형 질병 예방과 치료에 최적화된 인공지능 의료 로봇의 역할 비중은 의료 현장에서 점차 커지고 있다. 아울러 가정 안에서 보건 의료 및 건강 서비스,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홈헬스케어 인공지능 로봇의 개발은 가장 주목할 만한 과제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인간에게 근거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홈헬스케어 인공지능 로봇은 그 설계 특성상 제작과정과 운용에 있어 상당히 세심한 주의와 신중함이 필요하다. 만약 자율지능(Autonomous intelligence) 시스템을 갖춘 인공지능 로봇이 인간 삶과 배치(背馳)되어 상용화된다면 이는 우리 사회에 큰 문제를 안겨주게 될 것이다. 중요한 사실은 인공지능 기술발전의 속도를 가늠해 보았을 때, 멀지 않은 장래에 로봇에 자율지능 시스템을 장착하는 것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판단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홈헬스케어 인공지능 로봇의 상용화에 따른 잠재적 위험 요소와 윤리적 문제를 개발자가 설계와 제작과정에서 사전에 최소화할 수 있는 기본원칙과 실천원칙의 윤리 문항의 개발로 설정했다. 이 문항들이 홈헬스케어 인공지능 로봇의 윤리인증 제도 구축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In the near future, the ro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robots in the medical field, which will open the possibility of personalized disease prevention and treatment services through the fusion of biotechnology and medical engineering, is gradually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home healthcare AI robots is emerging as one of the most notable tasks to improve health care and health services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 home setting. However, home healthcare AI robots that provide services to humans in the near distance, require careful attention and consideration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operation due to their design characteristics. Moreover, we can no longer overlook the case where AI robots equipped with autonomous intelligence systems work in parallel with human lif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hecklists for ethical principles and practical rules that minimize possible risk factors and ethical problems that may accompany the wide use of home healthcare AI robots. Furthermore, the checklists will be the cornerstone of the ethical accreditation system for home healthcare AI robo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