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FID 기술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매장 모델 설계 및 구현

        김양남(Yangnam Kim),이긍해(Keung Hae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현재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병원, 기업 등 local area 중심으로 유비쿼터스 환경 구축에 대한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대형매장의 쇼핑 방식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객에게 편리하고 효율적인 쇼핑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유비쿼터스 매장(USC: Ubiquitous Shopping Center) 모델을 제시한다. USC는 RFID 기술을 이용해 입장한 고객의 유형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하는 쇼핑 정보(또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휴대 장치(휴대 전화, 스마트폰, PDA 등)에 소형 RFID reader를 설치하여 쇼핑 카트 없이 고객이 원하는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USC 모델이 미래의 대형매장 모델에 적용되면 고객들은 물론 매장의 운영 효율 측면에 있어서도 유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Personal Kiosk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 모델

        박정규(Jeongkyu Park),서승호(Seungho Seo),김양남(Yangnam Kim),이긍해(Keung Hae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2 No.3

        컴퓨팅 서비스가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해결해야하는 문제 중 하나는 다양한 특성의 서비스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이를 관리하느냐는 점이다. 기존에 제안된 유비쿼터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특정 종류의 서비스만을 지원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상황과 서비스의 관계 표현 방법이 복잡해 다양한 사용자가 생활하는 복잡한 공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런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Personal Kiosk (PK) 모델을 제안한다. PK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유용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목표로 하는 유비쿼터스 서비스 모델이다. 현재 단계의 PK는 로컬지역을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로컬지역에 PK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실내에서의 정밀한 위치인식기법과 효과적인 서비스 발견기법을 설명하며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위치, 권한, 시간정보를 이용해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PK 모델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소모되는 사용자의 노력과 시간을 크게 감소시켜 보다 편리한 모바일 서비스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한다. Last few years have seen a rapid increase in research on ubiquitous computing. Ubiquitous computing is often touted as a technology that will make computing available to the user anywhere and anytime. One important problem to be addressed in building such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is how to manage services and deliver them to the user in an effective manner. This paper presents our model called Personal Kiosk(PK) as a way of solving the problem. PK is a model of ubiquitous service provisioning that enables the user to use desired services anytime and anywher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ent PK in the "Local Area" setting with related technical issues are also presented. A location-sensing technique for indoor users and a personalized service provisioning based on user location and privileges are discussed in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