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소비 관련 국가이미지 인식에 대한 연구 -청소년 소비자의 한,중,일,미에 대한 소비 관련 국가이미지를 중심으로-

        김시월 ( Si Wuel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소비자의 변화하는 소비가치를 라이프스타일에 근거하고, 소비 관련 국가이미지가 차후 제품의 구매 및 소비자 의식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을 감안하여 대학생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 관련 국가이미지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교 대상 국가는 우리와 밀접한 관련성을 고려하여 한국, 중국, 일본, 그리고 미국 등을 대상으로 하였고, 특히 대학생소비자는 현재는 소비의 주체이지만 가까운 미래에 소득의 주체가 되어 제품구매에 결정적인 영향력 행사를 하는 대상이기 때문에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는 대학생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나 450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에서 429부를 본 연구의 조사결과의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 소비자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는 첫째 선택에서는 고속성장, 1+1, 양극화, 명품, 웰빙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선택에서는 양극화, 웰빙, 고속성장, 명품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에 대한 국가이미지는 첫째 선택에서는 모조품, 비위생적, 고속성장, 그리고 저렴화 등의 순으로, 둘째 선택에서는 비위생적, 저렴화, 모조품, 그리고 미검증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본에 대한 국가이미지는 첫째 선택에서는 소형화, 매니아, 저가정찰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둘째 선택에서는 매니아, 소형 화, 개성중심, 가업중심, 그리고 히키코모리 등의 순이었다. 미국에 대한 소비 관련 국가이미지는 첫째 선택에서는 팁, 실용주의, 개인중심, 대용량, 더치페이, 무기 등의 순으로 그리고 둘째는 개인중심, 무기, 명품, 팁 등의 순으로나타났다. 또한 대학생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군집으로 나눈 후, 그 군집별로 소비 관련 국가이미지를 살펴보았는데, 소비 관련 이미지 자체는 국가별 차이가 확연하게 있어 소비 관련 국가이미지의 차이 및 변화를 읽을 수 있었다. 소비자의 가치가 소비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측면을 고려할 때 미래의 소득주체로서 각 국가별 소비자에 대한 이미지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고, 이에 대한 국가브랜드 차원에서의 소비자교육 및 홍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Currently, Korea is high speed on development with many producting and value changing of any other OECD countries. And it is also high speed on expand of social network in and out country. Specially, adolescence age is main focused consumer as future income age in global market. Also, adolescence age is important age as getting value and attitude on consumption and potential economic ability. And so,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exploring the Korean adolescence`` consumption value, life style, and the specific attitude of nation image on related consumption. Because the attitude on nation image of consumption related is most important factor to consumer`s deciding on purchasing product and services in global society. In this study, the attitude on nation image of related consumption is focused on Korea, Japan, China, and U.S.A. and that countries were selected related on relationship with Korea in this society. For this study, it used to analysis by questionnaire of 429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the method of analysis in this study is used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so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ly, adolescence age is mentioned that it was high speed development, 1+1(one plus one), polarization, luxury product, well-being for the attitude on nation image of the Korea as the first choice. And adolescence age is mentioned that it was polarization, well-being, high speed development, luxury product for the attitude on nation image of the Korea as the second choice. Adolescence age is mentioned that it was imitation, insanitary, high speed development, and affordable for the China as the first choice. And adolescence age is mentioned that it was insanitary, polarization, imitation, and non verification for the attitude on nation image of the China as the second choice. Adolescence age is mentioned that it was miniaturization, mania, reconnaissance low for the attitude on nation image of the Japan as the first choice. And adolescence age is mentioned that it was mania, miniaturization, central character, central family business, and Ko Mori Hickey as the second choice. Adolescence age is mentioned that it was tip, pragmatism, individualism, big size, dutch pay, weapons for nation image of the U.S.A. as the first choice. And adolescence age is mentioned that it was individualism, weapons, luxury product, and tip for the attitude on nation image of the U.S.A. as the second choice. Secondly, the consumption value of adolescence``s age is divided two groups and pattern on life style, first group was high socialization and self developing demand, second group was lowest socialization and self developing demand, and it was related two groups and adolescence age`s image on nation. And so, adolescence age have a different image nation on related consumption by socialization and self developing demand. As the result of this study, lifestyle of consumer`s value was related consumer`s behavior on consumption, specially, because the adolescence age have potential ability on purchasing, income, brand royalty, and image on nation, almost nation need to manage image on nation, and it need to educate on nation, brand, and product about consumption image and culture.

      • KCI등재

        중ㆍ고령자 단독가구의 삶의 만족도와 재정, 건강, 심리 상태와의 관계

        김시월(Si Wuel Kim),조향숙(Hyang Sook Cho) 한국FP학회 2012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5 No.3

        근간 한국은 평균가구원수가 2인 이하로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가족의 해체, 미혼가구의 증가, 남녀의 수명 차이 등으로 다양한 가구유형 중 단독가구가 증가하고 있어 이를 관심 있게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가구유형은 집단적 가족중심에서 개인중심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특히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증가와 그에 따른 사회복지의 부족을 살펴볼 때, 그 중에서 예비노인과 노인 단독가구의 삶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연금관리공단의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첫째, 중ㆍ고령자 단독가구의 재정, 건강, 심리상태를 알아보고, 둘째, 중ㆍ고령자 단독가구의 삶의 만족도 수준과 요인을 분류하여 분석하며, 셋째, 중ㆍ고령자 단독가구의 재정, 건강, 심리 상태와 삶의 만족도 관계를 연구하며, 넷째, 중ㆍ고령자 단독가구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중ㆍ고령자 단독가구의 재정상태의 수준은 연간 소득 8,857천원, 자산 68,576천원, 부채 33,197천원 수준이었고, 주관적인 재정만족도는 2.43/5점으로 보통수준 이하로 나타났다. 건강상태는 2.37/5점이었고, 심리상태는 4.06/5점으로 나타나, 심리적인 측면에서 만족도가 재정 및 건강에 비해 높았다. 둘째, 중ㆍ고령자 단독가구의 삶의 만족도를 요인 분석한 결과, 요인Ⅰ: 관계만족도, 요인Ⅱ: 환경 및 활동만족도로 명명하였으며, 3.34/5점 수준으로 보통 이상의 만족도 수준을 보였다. 셋째, 중ㆍ고령자 단독가구의 재정상태와 건강상태, 심리상태는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ㆍ고령자 단독가구의 경우, 남성보다 여성이, 재정만족도가 높을수록, 건강만족도가 높을수록, 심리상태가 안정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ㆍ고령자 단독가구의 삶의 만족은 재정, 건강, 심리적 만족도 향상과 관련이 깊다는 것으로, 전반적인 향상을 위한 관련 정책 및 지원 프로그램 선정에 구체적인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베이비붐 세대의 재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시월(Si Wuel Kim),조향숙(Hyang Sook Cho) 한국FP학회 2013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6 No.3

        한국 전쟁 후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2010년 이래 대두되면서, 우리나라 사회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향후 상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의 경우 젊은 시절부터 근무했던 직장을 은퇴하더라도 다양한 방식으로 재취업을 시도하는데, 동일한 소득이라도 취업의 형태에 따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재정의 안정성에 차이가 보인다. 이에 단순한 재정상태의 파악이 아닌 취업여부에 따른 재정상태의 차이와 베이비붐 세대의 관점에서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국민연금연구원의 제4차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취업 여부에 따른 베이비붐 세대의 재정상태와 삶의 만족도의 인과관계와 경로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베이비붐 세대의 연간 가계총소득은 39,129.91 천원, 가계총자산은 299,118.42천원이었고, 가계총부채는 17,906.91천원으로 나타났다. 취업 여부에 따라 재정상태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가계총자산, 가계총부채가 유의하게 차이를 보였고, 가계총소득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를 요인 분석한 결과 요인Ⅰ: 경제상태와 활동 만족도, 요인Ⅱ: 인간관계 만족도로 명명하였으며, 각 요인별 평균은 5점 만점에 3.23, 3.44로 나타나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취업 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체 삶의 만족도의 경우 취업자가 비취업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각 요인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베이비붐 세대의 취업 여부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취업자와 비취업자 집단 별로 경로분석 결과, 근로소득원수, 가계총소득, 가계총부채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나 집단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넷째, 베이비붐 세대의 취업자와 비취업자 집단의 재정상태와 삶의 만족도 경로 간 차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 중 근로소득원수 →요인Ⅰ: 경제상태와 활동 만족도’, ‘가계총소득 → 요인Ⅱ: 인간관계 만족도’만 경로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다른 경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삶의 만족도 관련 다양한 변수 중에서 취업여부에 따른 재정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주요한 변수임을 밝히고, 베이비붐 세대의 개인적 차원 및 사회적 차원에서 지속적인 일과 관련된 복지와 재정 관련 지원 및 교육의 구체적인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Baby boomers" retirement which is emerged since 2010 has been one of the major concerns for Korean society and is expected to be even more significant in the future. If a young age baby boomer retires from work who used to work in a variety of ways, he/she will try to be re-employed to earn the same level of income.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s of employment, the long term financial stability of those baby boomers will vary. This study was to examine not just financial status of baby boomers but their life satisfaction levels to find out actual life conditions and level of living of baby boomers. This study used the fourth wave of KReIS survey data(NPS, 2011) to investigate baby boomers" financial status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baby boomers. The annual household income for baby boomers was 39,129.91 thousand won, total household asset was 299,118.42 thousand won, and total debt was 17,906.91 thousand won. The household total asset and total deb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employed and non-employed baby boome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household income for the two groups. Second,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for the life satisfaction components two factors were identified: factor Ⅰ, economic status and activity satisfaction, and factor Ⅱ,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average score for each factor was 3.23 and 3.44 out of 5, appears as a normal level.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were different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baby boomers with employed baby boomers had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than non-employed,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the life satisfaction factors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Third, path analyses for life satisfaction results showed that number of employed in the household, household income, and household total debts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life satisfaction. There were minor differences on coefficients for each variables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baby boomer groups. This study of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employment status of baby boomers c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future policy and research in terms of work and life satisfaction for baby boomer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