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시스템에 관한 요구 분석

        김순녀(Sun Nyeo Gim),정용재(Yong Jae Joung),설양환(Yanghwan S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 시스템에 관한 유⋅초등 예비교원과 현장교원, 대학교수 등의 요구를 조사함으로써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방법 이를 위하여, 총 531명의 유⋅초등 예비교원과 현장교원, 그리고 대학교수를 대상의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초등 예비교원과 현장교원, 대학교수 등의 교육실습 주체들은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시스템의 내용으로 수업 지도 관련 내용, 교육실습 입문 관련 내용, 교직실무 관련 내용 순으로 요구 정도가 높았다. 둘째, 교육실습 온라인 지원시스템의 기능과 관련해서는 자료 공유 기능, 다양한 유형의 자료제시 기능, 교육실습 평가 기능, 의사소통 기능 순으로 요구 정도가 높았다. 셋째, 이러한 요구 정도는 일부 내용과 기능에서 연령, 신분, 교육실습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결론 교육실습 주체들은 효율적인 교육실습 운영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교육 실행 능력의 개선에 관련된 내용과 기능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과 관련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round data for building online support system for teaching practicum by investigating the needs of pre-service teachers, in-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531 pre-service teachers, in-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demanded the content of online support system in the order of ‘instruction methods’, ‘introduction of teaching practicum’, ‘teaching practices’. Second, with regard to the function of online support system, the participants’ demands were high in the order of ‘sharing materials’, ‘providing various type of material’, ‘teaching practicum evaluation’, and ‘communication’. Third, the degree of such demands for some content and func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age, status, and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s. Conclusion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demanding content and function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ability as well as efficient management of teaching practicum.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related to teaching practicum were suggested.

      • KCI등재

        산불재난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이시영,김순녀,Lee, Si-Young,Gim, Sun-Nyeo 한국재난정보학회 2020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6 No.4

        연구목적, 방법:본 연구는 강원도 영동지역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산불 재난 경험, 산불 발생, 산불 재난교육, 산불 대처 행동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하였고, 산불재 난교육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산불재난 경험에 대한 인식에서 산불의 뜻에 대해 알고 있는 학생이 95.8%, 재난의 의미에 대해 알고 있는 학생은 80.8%로 나타났다. 둘째, 산불 발생에 대한 인식으로는 산불이 여름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35.8%가 생각하였다. 산불이 난 것을 본 적이 없는 학생은 79.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산불의 인지 경로는 텔레비전을 통해서 접한 학생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족, 친구들, 선생님, 라디오와 학교, 교과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산불재난 학습경험으로는 산불재난 교육을 배운 적이 있는 학생이 83.3%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산불재난 교육은 학교가 대부분이었고 소방서가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넷째, 산불 발생에 대한 대처행동으로는 119 신고를 80.5%가 응답하였고, 산꼭대기로 올라간다, 얼른 집으로 내려온다, 모르겠다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산불재난에 대한 교육과 교육자료 제작이 일관성 있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Methoud: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region of Youngdong, Gangwon Province, to find out their awareness about their forest fire disaster experiences,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 forest fire disaster education and coping behaviors for it. It's mean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forest fire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ir own forest fire disaster experiences? 2. What is their awareness on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 disaster? 3. What is their awareness on forest fire disaster education? 4. What is their awareness on coping behaviors for it? Resul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awareness on forest fire disaster experiences, 95.8 percent of the students that accounted for the majority knew about the meaning of forest fire. The students who knew about the meaning of disaster represented 80.8 percent. Second, as for awareness on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 35.8 percent thought forest fire broke out the most in summer. The students who had never seen forest fire in person accounted for 79.2 percent, which were the majority. Concerning the route of being aware of forest fire,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learned about it from TV, followed by families, friends, teachers, radio/schools and textbooks. Third, as for learning experiences on forest fire disaster, the students who had received this education accounted for 83.3 percent, which were the majority. This education was mostly provided by schools, and the second most common educational place was fire stations. Fourth, as for coping behaviors for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 80.5 percent replied they would dial the 119 emergency center, and the second most dominant answer was going up to the mountaintop, followed by quickly coming down to go home and having no idea.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education on forest fire disasters and produc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consistent and continuous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