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산시 명암리 출토 인골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김윤지,김수훈,조은민,이정원,Kim, Yun-Ji,Kim, Sue-Hoon,Cho, Eun-Min,Lee, Jeong-won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保存科學硏究 Vol.36 No.-

        본 연구는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 명암리 유적 9지점에서 발굴조사 된 고려 말에서 조선시대 초기 분묘 출토 인골 27개체를 대상으로 고유전학적 연구를 수행한 결과를 보고한 것이다. 실리카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출토 인골로 부터 DNA를 추출한 후, 미토콘드리아 DNA(mtDNA)의 과변이지역을 9지역으로 나누어 PCR법에 의해 부분 증폭을 실시하였다. 증폭산물에 대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과변이지역의 변이형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18개체의 mtDNA 분석이 가능하였으며, 아멜로제닌 유전자 분석에 의한 성결정은 M-26, M-29, M-37(L), M-49(R)의 4개체만이 분석되었고 모두 여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ancient DNA analyses were carried out on the human skeletal remains from a historical cemetery site in Myeongam-ri, Asan, Korea. Human remains of 27 individuals out of tombs from the Goryeo to Joseon Dynasty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 order to identify the genealogy of the population and traditional burial pattern of the cemetery, we conducted comparative analyses of the hyper variable regions (HVRs) in mitochondrial DNA (mtDNA) of each sample. We sequenced 9 segmental amplicons of HVRs and assigned relevant haplogroups according to the sequence polymorphism on the basis of the known mtDNA database. As a result, we were analyses 18 human remains of 27 individuals and result of amelogenin analysis were only 4 samples.

      • 적외선 분광 분석과 조직 분석을 통한 출토 인골의 보존 상태 평가

        이정원,김수훈,김윤지,조은민,강소영,Lee, Jeongwon,Kim, Sue Hoon,Kim, Yun-Ji,Cho, Eun Min,Kang, Soyeong 국립문화재연구소 2014 保存科學硏究 Vol.35 No.-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ATR) was applied to chemical analysis for conservation status of 10 human bone remains from Joseon Dynasty. The result of crystallinity index (CI) is $4.25{\pm}0.78$, carbonate to carbonate ratio (C/C) is $0.91{\pm}0.04$ and cabonate content (C/P) is $0.19{\pm}0.06$. The higher histological index (HI) confirmed CI and C/P value was increased and C/C value was reduced. While C/C or C/P values analysis is possible. While DNA analysis can be extracted from the bone, C/C values are lower or C/P values are higher was found to the analysis is possible. Chemical assessment of FTIR and histological index consequence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as a basis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onservation status excavated bones. 뼈의 보존 상태를 화학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조선시대 인골 10점을 대상으로 감쇠전반사법을 활용한 적외선 분광분석(FTIR-ATR)을 실시하였다. FTIR-ATR 스펙트럼을 통해 결정화 지수(crystallinity index; CI), 탄산염간의 비(C/C), 탄산염과 인산염의 비(C/P)를 계산한 결과 CI는 $4.25{\pm}0.78$, C/C는 $0.91{\pm}0.04$, C/P 는 $0.19{\pm}0.06$으로 확인되었다. 화학적 평가 결과 조직학 지수가 높을수록 CI와 C/P 값이 증가하며, C/C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뼈에서 추출한 DNA 분석 가능 여부는 C/C가 낮고 C/P가 높을수록 분석이 가능 하였다. 이를 통해 FTIR을 이용한 화학적 평가와 조직 분석 결과가 출토 인골의 보존 상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기준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출토 인골 DNA의 real-time PCR 정량에 의한 보존상태 평가 연구 - 부여 오수리 출토 인골을 중심으로 -

        권은실,조은민,김수훈,강소영,Kwon, Eun-Sil,Cho, Eun-Min,Kim, Sue-Hoon,Kang, Soyeong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保存科學硏究 Vol.32 No.-

        본 연구는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오수리 유적에서 발굴된 인골 4개체를 대상으로 조직학, 분자유전학, 골화학 분석 등 종합적인 연구를 통해 이들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체현미경을 통해 인골 시료의 골조직 단면 구조를 관찰함으로써 각 시료의 조직학적 보존 상태를 단계별로 구분하였고, 잔존하는 단백질의 보존 상태는 콜라겐을 추출하여 수율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b 유전자를 이용한 실시간 유전자 증폭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인골 시료에 잔존하는 미토콘드리아 DNA의 상대적 보존량 및 복제수를 분석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 과변위부위의 염기서열을 동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인골 시료의 조직학적 보존정도, 콜라겐 단백질의 잔존량, 미토콘드리아 DNA의 복제수는 상호 긍정적인 연관관계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출토 인골의 생물 화학적 분석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한 특성지표 연구의 중요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molecular genetic analysis was carried out on 4 human skeletal remains from Osuri, Buyeo. We showed that real-time PCR is the method of the choice to assess the initial number of genuine ancient DNA molecules. Human mitochondrial DNA quantification was accomplished by the real-time PCR for the cytochrome b gene of the mitochondria. Histological results proved to be a good potentiality for biochemical analysis using biomolecule. The level of specimen's preservation state was proved that level of quantitative result was BO-04, BO-01, BO-03, BO-02. Continually, we showed that biochemical and biomolecule results for the level of preservation state were similar. This study will be useful to important material for predicting biochemistry and biology analysis of the ancient bone.

      • KCI등재

        김포 장기동 유적 출토 인골의 유전자 분석 연구

        서민석,조은민,김윤지,김수훈,강소영,Seo, Min Seok,Cho, Eun Min,Kim, Yun Ji,Kim, Sue Hoon,Kang, So Yeong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4 보존과학회지 Vol.30 No.4

        유적지에서 발굴되는 조선시대 인골은 보존 상태가 대부분 양호하여 형질인류학, 유전학, 그리고 화학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포 장기동 유적지에서 발굴된 조선시대 인골 6개체에 대한 DNA 분석을 통하여 미토콘드리아 DNA 변이형을 결정하였으며, 성별 분석결과를 토대로 남성 피장자의 Y 하플로그룹을 동정하였다. 유전자 분석에 앞서 보존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는 인골 6구를 대상으로 조직학 지수를 판별하였다. 미토콘드리아 DNA 변이형은 아시아인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G, R11, M7, A5 등의 하플로그룹이 확인되었다. 인골의 성별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밀로제닌 유전자 분석을 수행한 결과, 6구의 인골에서 여성 4구와 남성 2구의 성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성으로 판명된 인골에 Y 염색체 단일염기다형성 분석을 적용해본 결과, 하플로그룹 O로 확인되었다. 향후 출토 인골의 광범위한 분석을 위하여 인골을 선별한 경우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조직학 지수를 적용하고, 미토콘드리아 DNA와 핵 DNA의 다양한 분석을 병행하여 출토 인골간의 유연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Most human bones of Joseon Dynasty period are so good condition that we can do research in physical anthropology, genetics and chemistry with them. In this study, we analyzed DNA typing using 6 human bones of Joseon dynasty period excavated at Janggi-dong, Gimpo. The DNA typing was mitochondrial DNA haplotype, Y-chromosome haplotype and sex determination. Prior to DNA analysis, we distinguished histological index of 6 human bones. As the result of mitochondrial DNA analysis, most of bones were confirmed as haplogroup G, R11, M7, A5, etc. As the result of sex determination, 4 human bones were female and 2 human bones were male. The male haplogroup was confirmed as haplogroup O by th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analysis of Y chromosome. For extensive ancient human bone analysis, researchers need to apply a histological index to select ancient human bones and explain a relationship among ancient human bones with various analyses of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