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소 골격근 수축시 동맥 혈류속도 및 산소운반계의 변화

        장용우,김성칠,조병곤,이하얀,김동희,김용규,권양기 한국운동과학회 2002 운동과학 Vol.11 No.1

        장용우, 김성철, 조병곤, 이하얀, 김동희, 김용규, 권양기. 운동과학, 제11권 제1호, 93-104, 2002. 본 연구는 국소 골격근 수축시 혈류 및 산소운반 변인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중량운동으로 단련된 선수군과 일반학생 등 총 18명을 대상으로 상완이두근의 반복적 최대 굴신전 운동틀 통해 운동 전, 후 및 회복기 혈류변인인 최대혈류속도(PBV), 평균혈류속도(MBV)와 산소운반변인인 RBC, Hb, Hct, Myoglobln 등을 측정 분석한 결과 국소적 골격근 수축시 PBV의 경우 선수군은 운동직후 85.0%로 비교군 96.3%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증가율을 나타냈고, 회복시에는 선수군이 비교군 -16.0%에 비해 -40.2%로 유의하게 높은 회복비를 나타냈다. MBV는 선수군의 경우 운동직후 131.8%로 비교군 154.1%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증가율을 나타냈고, 회복시에는 선수군이 비교군 -24.3%에 비해 -50.5%로 유의하게 높은 회복비를 나타냈다. 국소적 골격근 수축시 RBC의 경우 운동직후 7.5%로 비교군 6.9%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고, 회복시에는 선수군이 비교군 -5.9%에 비해 -4.8%로 유의하게 높은 회복비를 나타냈다. Hb의 경우 선수군은 운동직후 10.7%로 비교군 8.2%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고, 회복시에는 선수군이 비교군 -7%에 비해 -11.4%로 유의하게 높은 회복비를 나타냈다. Hct의 경우 선수군은 운동직후 8.8%로 비교군 9.1%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나, 회복시에는 선수군이 비교군 -7.7%에 비해 -4.5%로 유의하게 높은 회복비를 나타냈다. Mgb의 경우 선수군온 운동직후 -21.2%로 비교군 -14.2%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고, 회복시에는 선수군이 비교군 -23.1%에 비해 -12.6%로 유의하게 높은 회복비를 나타냈다. 따라서 국소 골격근의 반복적인 근수축시 혈류변화는 안정시 비활동근에 비해 운동근으로 유입되는 혈류의 정확한 이동속도와 활동근의 산소소모에 따른 운반변인의 유동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추후 측정부위가 달리된 혈류검사를 통해 혈관계 질환의 임상적 운동 검사 및 처방에 그 적용폭을 넓혀 모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Jang Y.W, Kim, S.C., Cho, B.K., Lee, H.Y., Kim, D.H. Mm, Y.K., & Kwon, Y.K. The Change of Artery Blood Velocity and Oxygen Transfer System at Partial Musculoskeletal Contraction. Exercise Science, 11(1): 99-104, 200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nine the change of oxygen transfer system when partial musculoskeletal contracticn.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consist of 18 subjects and into two groups, which are experiment group compose of dumbell exercise trained sports players and control group that has not took part regularly in sport activity for a minimum of 3 times per week. They are measured blood velocity factors of PBV, MBV and oxygen transfer factors of RBC, Hb, Hct, Myoglobin by pre-post, recovery exercise through maximum extension and flexion movement of bioeps branchii. The result are as following: In the case of PBV when partial musculoskeetal systolic, the experiment group(85.0%) has shown significantly lower rates of increase than control group(96.3%) in the pre-post exercise, and experiment group(40.2%) h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recovery than control group(-16.0%) in the recovery. In the case of MBV, the experiment group (13.18%) has shown significantly lower rate of increase than control group(15.41%) in the pre-post exercise, and experiment group(-50.5%) h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recovery than control group(-24.3%) in the recovery. In the case of RBC when partial musculoskeletal systolic, the experiment group(6.9%) in the pre-post exercise and the experiment group(-5.9%) has shown significantly higherrates of recovey than control group(-4.8%) in the recovery. In the case of Hb, the experiment group (10.7%) g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increase than control group(8.2%) in the pre-post exercise, and the experiment group(-11.4%) h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recovery than control group(-7%) in the recovery. In the case of Hct, there are no significantly relationship between experiment group(8.8%) and control group(9.1%) in the pre-post exercise, and the experiment group(-7.7%) h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recovery than control group(-4.5%) in the recovery, In the case of Mgb, the experiment group(-21.2%) h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increase than control group(-14.2%) in the pre-post exercise, and the experiment group(-12.6%) h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recovery than control group(-23%) in the recovery. Therfore, blood flow change at repetition muscle contraction of partial musculoskeletal was confirmed to correct a mobile velocity of blood flow an influx to exercise muscle as compared with inactivity muscle at rest and to fluctuation of transport variation according to O_2 consumption of activity muscle, it will selected adaption to clinic exercise test and prescription of vascular disease according to blood flow test in a different way measurement position..

      • KCI등재

        저항성 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혈중지질 , 성장호르몬 및 인슐린양성인자 - 1 에 미치는 영향

        김동희,김선호,최석준,고영호,김성칠 한국운동과학회 2001 운동과학 Vol.10 No.1

        저항성 운동이 비만 여중생의 혈중지질, 성장호르몬 및 인슐린양성인자-I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0권 1호, 57-68, 2001. 본 연구의 목적은 10주간의 저항성운동이 혈중 지질 성분, 성장호르몬과 인슐린양성인자-I 농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만도가 30% 이상인 여중생 9명을 대상으로 1∼5주 동안은 1㎏의 중량을, 6∼10주 동안은 2㎏의 중량을 이용하여 12개 종목을 1개 종목당 15∼20회 일정한 속도로 반복하는 운동을 주 4회(월, 수, 금, 토), 1일 30∼40분씩 실시하여 운동 전·후 변인들의 측정치를 비교 분석한 결과, 혈중지질의 변화에 있어서 10주 운동 후에 TC는 49.23㎎/㎗(p<0.01)의 유의한 감소를, HDL-C는 17.33㎎/㎗(p<0.01)의 유의한 증가, TG는 60.41㎎/㎗(p<0.01)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성장 호르몬의 변화는 9.88ng/㎖(p<0.01), 인슐린양성인자-I의 변화는 144.8ng/㎖(p<0.01)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이들 변인간은 운동 전·후 유의하게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12개 종목의 저항성운동 프로그램은 혈중지질, 성장호르몬 및 인슐린양성인자-I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덤벨체조 운동은 에너지소비 증가와 지질분해 작용을 촉진시켜 비만의 예방과 치료 및 관상동맥질환 예방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resistance exercise for 10 weeks on blood lipids, GH and IGH-I in obesity girl students. Exercise Silence, 10(1): 57-68, 200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istance exercise on the blood lipids(TC, H㎗-C, TG), growth hormone(GH) and insulin like growth factor-I(IGF-I). 9 obese girl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objects for this study. The exercise program was resistance exercise which consists of 12 components using 1∼2㎏ dumbbell. The dumbbell exercise was performed as follows; From the first week to 5th week for using 1㎏ dumbbell, and 6th to 10th week for using 2kgs. 30-40 minutes exercise a day was performed tour times a week The paired t-test was used and the 0.05 level of significance was as critical level for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 First, the concentration of TC and TG(49.23㎎/㎗, 60.41㎎/㎗, p<0.01)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10 weeks, respectively. But, H㎗-C(17.33㎎/㎗, p<0.01) was increased. Second, the concentration of GH and IGF-I(9.88㎎/㎖, 144.8㎎/㎖, p<0.01)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10 weeks, respectively.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GH and IGF-I were significantly before resistance exercise. And this correlation were continuously maintained after 10 weeks of resistance exerci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12 components resistance exercise program for 10 weeks effects on blood lipids, GH and IGF-I in obese gir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